당나귀 하품한다고… 🌟의미
- 귀머거리 귀 있으나 마나 : 일을 하나 하지 않으나 별로 차이가 없다는 말.
- 귀머거리 눈치 빠르다 : 귀가 먹어 듣지 못하는 사람은 그 대신 눈치가 빨라 상황을 잘 알아차림을 이르는 말.
- 귀머거리 들으나 마나 : 일을 하나 하지 않으나 별로 차이가 없다는 말.
- 귀머거리 삼 년이요 벙어리 삼 년(이라) : 여자는 시집가서 남의 말을 듣고도 못 들은 체하고 하고 싶은 말이 있어도 하지 말아야 한다는 뜻으로, 시집살이의 어려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귀머거리 제 마음에 있는 소리 한다 : 귀머거리는 남의 말을 듣지 못하므로 그저 제가 생각하고 있는 말만을 한다는 뜻으로, 남의 이야기는 듣지도 않고 자기 마음에 있는 이야기만 함을 이르는 말.

- 개도 나갈 구멍을 보고 쫓아라 : 개를 쫓되 살길은 터 주어야 피해를 입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어떤 대상을 호되게 몰아치는 경우에 궁지에서 빠져나갈 여지를 주어야지 그렇지 아니하면 오히려 저항에 부딪히게 됨을 이르는 말.
- 개에게 메스꺼움 : 개는 아무리 더러워도 메스꺼움을 느끼지 못한다는 뜻으로, 옳고 그른 것을 판단할 능력도 없으면서 공연히 앞에 나서 이렇다 저렇다 함부로 판단함을 이르는 말.
- 게으른 놈 짐 많이 지기[진다] : 게으른 사람이 일하기 싫어 한 번에 많이 해치우려고 하거나, 능력도 없으면서 일에 대한 욕심이 지나치게 많음을 빈정대어 이르는 말.
- 게으른 말 짐 탐하기[탐한다] : 게으른 사람이 일하기 싫어 한 번에 많이 해치우려고 하거나, 능력도 없으면서 일에 대한 욕심이 지나치게 많음을 빈정대어 이르는 말.
- 곧은 나무 쉬[먼저] 꺾인다[찍힌다] : 겉으로는 강직한 듯한 사람이 의외로 약하여 잘 굴복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공짜라면 당나귀도 잡아먹는다 : 공짜라면 무엇이든지 가리지 않고 닥치는 대로 거두어들이는 것을 비꼬는 말.
- 당나귀 귀 치레 : 당나귀의 큰 귀에다 여러 가지 치레를 잔뜩 한다는 뜻으로, 당치도 않은 곳에 어울리지 않게 쓸데없는 치레를 하여 오히려 겉모양을 흉하게 만듦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당나귀 못된 것은 생원님만 업신여긴다 : 못된 사람일수록 윗사람이나 남을 격에 맞지 않게 깔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당나귀 새낀가 보다 술 때 아는 걸 보니 : 술 잘 먹는 사람이 술 먹을 때를 용하게 알아서 오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당나귀 찬물 건너가듯 : 글을 막힘없이 줄줄 잘 읽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남산 소나무를 다 주어도 서캐조롱 장사를 하겠다 : 남산의 소나무를 다 주어도 고작 서캐조롱 장사밖에 못한다는 뜻으로, 소견이 몹시 좁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삼 년 묵은 말가죽도 오롱조롱 소리 난다 : 봄이 되어 만물이 다시 활동하기 시작하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조롱 속[안]의 새 : 자유를 속박당한 몸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조롱에 갇힌 새 : 자유를 속박당한 몸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굴우물에 말똥 쓸어 넣듯 한다 : 음식을 가리지 아니하고 마구 먹음을 조롱하여 이르는 말.
- 가락꼬치 아니면 송곳 : 날카로워서 잘 꿰뚫는다는 뜻으로, 판단이 아주 정확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마가 검기로 밥도 검을까 : 가마가 검다고 하여 가마 안의 밥까지 검겠느냐는 뜻으로, 겉이 좋지 않다고 하여 속도 좋지 않을 것이라고 경솔하게 판단하지 말라는 말.
- 가마솥이 검기로 밥도 검을까 : 가마가 검다고 하여 가마 안의 밥까지 검겠느냐는 뜻으로, 겉이 좋지 않다고 하여 속도 좋지 않을 것이라고 경솔하게 판단하지 말라는 말.
- 개에게 메스꺼움 : 개는 아무리 더러워도 메스꺼움을 느끼지 못한다는 뜻으로, 옳고 그른 것을 판단할 능력도 없으면서 공연히 앞에 나서 이렇다 저렇다 함부로 판단함을 이르는 말.
- 겉이 검기로 속도 검을까 : 가마가 검다고 하여 가마 안의 밥까지 검겠느냐는 뜻으로, 겉이 좋지 않다고 하여 속도 좋지 않을 것이라고 경솔하게 판단하지 말라는 말.
- 귀신이 하품을 할 만하다 : 너무나 묘하고 신통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당나귀 하품한다고 한다 : 귀머거리는 당나귀가 우는 것을 보고 하품하는 줄로 안다는 뜻으로, 귀머거리의 판단 능력을 조롱하는 말.
- 시앗끼리는 하품도 옮지 않는다 : 시앗끼리는 시기하는 마음이 몹시 강하여 흔히 잘 옮는 하품도 옮지 않는다는 말.
- 작은댁네 하품은 큰댁네한테는 옮지 않는다 : 하품은 본디 쉽게 옮겨지는 법인데도 옮겨지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본처와 첩 사이의 관계가 매우 좋지 않음을 이르는 말.
- 하품에 딸꾹질 : 어려운 일이 공교롭게 계속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어휘력 향상을 위한 통계
-
당나귀 하품한다고 한다
:
다로 끝나는 단어: 총 76,978개
-
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4개의 품사 중에서 동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55,772개입니다.- 예: 째다, 톺다, 쓰다, 틔다, 틀다
-
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39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4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46,186개입니다.- 예: 선행하다, 임면하다, 게기하다, 화합하다, 해안하다
-
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분야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60개의 분야 중에서 역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413개입니다.- 예: 망괴다, 배하다, 상다, 주다, 날란다
-
다로 끝나는 단어들을 이루는 한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4,289 종류의 한자 중에서 898번 사용된 化이 최다입니다.- 예: 경화되다(硬化되다), 화육하다(化育하다), 궁화하다(躬化하다), 화하다(化하다), 둔화되다(鈍化되다)
-
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시작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294개의 시작 글자 중에서 가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806개입니다.- 예: 가루다, 가렵다, 가말다, 가닿다, 가다
-
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첫 자음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9 종류의 첫 자음 중에서 11,340번 사용된 ㅇ이 최다입니다.- 예: 익다, 오다, 웃다, 엮다, 앓다
-
-
당나귀 하품한다고 한다
:
한다로 끝나는 단어: 총 546개
-
한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개의 품사 중에서 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546개입니다.- 예: 괴 밥 먹듯 한다, 모래로 방천한다, 씨도둑은 못한다, 떡국이 농간한다, 머슴이 강짜한다
-
한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28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10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48개입니다.- 예: 보리누름까지 세배한다, 무엇이든지 먹고자 한다, 하늘을 쓰고 도리질한다, 잉엇국 먹고 용트림한다, 사람은 조석으로 변한다
-
한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시작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212개의 시작 글자 중에서 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9개입니다.- 예: 사돈(의) 잔치에 중이 참여한다, 사복 어미냐 지껄이기도 한다, 사람은 조석으로 변한다, 사람의 얼굴은 열[열두] 번 변한다, 사람은 얼굴보다 마음이 고와야 한다
-
한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첫 자음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7 종류의 첫 자음 중에서 80번 사용된 ㅅ이 최다입니다.- 예: 선무당이 장구 탓한다, 상두꾼은 연폿국에 반한다, 사람은 조석으로 변한다, 술은 괼 때 걸러야 한다, 세 살에 도리질한다
-
-
: 자음 ㄷㄴㄱㅎㅍㅎㄷㄱㅎㄷ 단어: 총 1개
-
자음 ㄷㄴㄱㅎㅍㅎㄷㄱㅎㄷ 단어들은 총 1 종류의 품사로 분류됩니다.
-
-
: 모음 ㅏㅏㅟㅏㅜㅏㅏㅗㅏㅏ 단어: 총 1개
-
모음 ㅏㅏㅟㅏㅜㅏㅏㅗㅏㅏ 단어들은 총 1 종류의 품사로 분류됩니다.
-
-
당나귀 하품한다고 한다
:
당으로 시작하는 단어: 총 890개
-
당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9개의 품사 중에서 명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677개입니다.- 예: 당(唐), 당붕(黨朋), 당안(唐雁), 당기(黨旗), 당(糖)
-
당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4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2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370개입니다.- 예: 당안, 당책, 당본, 당분, 당기
-
당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분야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36개의 분야 중에서 역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71개입니다.- 예: 당주, 당자, 당평, 당붕, 당로
-
당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을 이루는 한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592 종류의 한자 중에서 288번 사용된 當이 최다입니다.- 예: 당소(當所), 당무(當務), 당상(當相), 당평(當坪), 당삭(當朔)
-
당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끝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279개의 끝 글자 중에서 다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99개입니다.- 예: 당찮다, 당지다, 당차다, 당치다, 당사하다
-
-
당나귀 하품한다고 한다
:
당나로 시작하는 단어: 총 12개
-
당나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2개의 품사 중에서 명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7개입니다.
-
당나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8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3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5개입니다.
-
당나로 시작하는 단어들은 총 5 종류의 분야로 분류됩니다.
-
당나로 시작하는 단어들을 이루는 한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4 종류의 한자 중에서 6번 사용된 唐이 최다입니다.
-
당나로 시작하는 단어들은 총 11 종류의 끝나는 글자로 분류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