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 상실증 (言語喪失症) 🌟의미
言
말씀 언
총획:7
부수:言
-
언어
:
와언(訛言)
약언(約言)
방언(方言)
체언(體言)
용언(用言)
박언학(博言學)
언어사(言語史)
수식언(修飾言)
본용언(本用言)
언리학(言理學)
-
철학
:
정언(定言)
입언(立言)
언명(言明)
연언(連言)
선언(選言)
가언(假言)
가언적(假言的)
선언적(選言的)
사언교(四言敎)
정언적(定言的)
-
역사
:
언지(言地)
구언(求言)
정언(正言)
전언(典言)
언관(言官)
대언(代言)
헌언(獻言)
상언(上言)
납언(納言)
언책(言責)
-
문학
:
칠언(七言)
오언(五言)
사언(四言)
잡언(雜言)
우언(寓言)
일언제(一言題)
사언시(四言詩)
칠언율(七言律)
환언법(換言法)
칠언시(七言詩)
-
정보·통신
:
시 언어(C言語)
전언 통신(傳言通信)
형식 언어(形式言語)
공통 언어(共通言語)
인공 언어(人工言語)
정보 언어(情報言語)
산법 언어(算法言語)
기호 언어(記號言語)
로봇 언어(robot言語)
간이 언어(簡易言語)
語
말씀 어
총획:14
부수:言
-
언어
:
수어(手語)
어말(語末)
영어(英語)
어계(語系)
조어(造語)
호어(呼語)
어지(語誌)
짬어(Cham語)
일어(日語)
어소(語素)
-
책명
:
논어(論語)
국어(國語)
신어(新語)
자불어(子不語)
어록해(語錄解)
논어정음(論語正音)
논어수차(論語手箚)
첩해몽어(捷解蒙語)
주자어류(朱子語類)
논어정의(論語正義)
-
정보·통신
:
예약어(豫約語)
명령어(命令語)
기호어(記號語)
인공어(人工語)
부호어(符號語)
전단어(全單語)
반단어(半單語)
기계어(機械語)
시 언어(C言語)
키 단어(key單語)
-
의학
:
착어(錯語)
어눌증(語訥症)
착어증(錯語症)
실어증(失語症)
언어 요법(言語療法)
도성실어증(導性失語症)
언어 장애(言語障礙)
언어 중추(言語中樞)
언어 치료사(言語治療士)
건망 실어증(健忘失語症)
-
불교
:
어밀(語密)
망어(妄語)
실어(實語)
염어(拈語)
밀어(密語)
선어(禪語)
기어(綺語)
애어(愛語)
착어(着語)
하어(下語)
喪
죽을 상
총획:12
부수:口
-
의학
:
의식 상실(意識喪失)
심신 상실(心神喪失)
감각 상실(感覺喪失)
기억 상실(記憶喪失)
현실감 상실(現實感喪失)
기억 상실증(記憶喪失症)
행위 상실증(行爲喪失症)
언어 상실증(言語喪失症)
간 기능 상실(肝機能喪失)
심장 기능 상실(心臟機能喪失)
-
민속
:
상문(喪門)
호상꾼(護喪꾼)
상문상(喪門床)
탈상굿(脫喪굿)
상문굿(喪門굿)
상문살(喪門煞)
상부살(喪夫煞)
탈상씻김(脫喪씻김)
상문풀이(喪門풀이)
상문부정(喪門不淨)
-
법률
:
자격 상실(資格喪失)
국적 상실(國籍喪失)
심신 상실자(心神喪失者)
능력 상실자(能力喪失者)
정신 상실자(精神喪失者)
-
역사
:
국상(國喪)
상두쌀(喪두쌀)
상여계(喪輿契)
복상 문제(服喪問題)
-
동물
:
상제잎벌(喪制잎벌)
상제나비(喪制나비)
상제각다귀(喪制각다귀)
왕상제각다귀(王喪制각다귀)
失
잃을 실
총획:5
부수:大
-
법률
:
과실(過失)
유실(遺失)
멸실(滅失)
과실살(過失殺)
실종자(失踪者)
과실죄(過失罪)
중과실(重過失)
분실계(紛失屆)
실화죄(失火罪)
경과실(輕過失)
-
의학
:
실조(失調)
실독증(失讀症)
소실성(消失性)
실인증(失認症)
실서증(失書症)
실어증(失語症)
실혈성(失血性)
영양실조(營養失調)
섬광 실명(閃光失明)
감각 소실(感覺消失)
-
경제
:
실업(失業)
순손실(純損失)
실업자(失業者)
실권주(失權株)
실업률(失業率)
자본 손실(資本損失)
실업 이론(失業理論)
실업 수당(失業手當)
구조적 실업(構造的失業)
경기적 실업(景氣的失業)
-
전기·전자
:
동손실(銅損失)
손실률(損失率)
전압 손실(電壓損失)
손실 변조(損失變調)
도중 손실(途中損失)
전력 손실(電力損失)
손실 전류(損失電流)
이력 손실(履歷損失)
양극 손실(陽極損失)
전반 손실(傳搬損失)
-
체육
:
범실(凡失)
실투(失投)
실책(失策)
무실(無失)
실축(失蹴)
연실(連失)
분실구(紛失球)
실격패(失格敗)
실투하다(失投하다)
연실하다(連失하다)
症
증세 증
총획:10
부수:疒
-
의학
:
철증(鐵症)
산증(酸症)
틱증(tic症)
병증(病症)
대증(對症)
잡증(雜症)
절증(癤症)
열증(熱症)
회증(蛔症)
외증(外症)
-
한의
:
집증(執症)
경증(痙症)
객증(客症)
순증(順症)
태증(胎症)
실증(實症)
양증(陽症)
패증(敗症)
이증(裏症)
위증(痿症)
-
심리
:
조증(躁症)
울증(鬱症)
염세증(厭世症)
송신증(竦身症)
심신증(心身症)
관음증(觀淫症)
거절증(拒絕症)
시간증(屍姦症)
유치증(幼稚症)
공사증(恐死症)
-
수의
:
골연증(骨軟症)
간질증(肝蛭症)
위충증(胃蟲症)
백색증(白色症)
신충증(腎蟲症)
안충증(眼蟲症)
만곡증(彎曲症)
닻벌레증(닻벌레症)
세균성 농증(細菌性膿症)
점액포자충증(粘液胞子蟲症)
-
생명
:
염증(炎症)
증식증(增殖症)
염증 조직(炎症組織)
탄산 결핍증(炭酸缺乏症)
지라 과다증(지라過多症)
탄산 과잉증(炭酸過剩症)
▹ 어휘력 향상을 위한 통계
-
언어 상실증
:
증으로 끝나는 단어: 총 1,655개
-
증으로 끝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3개의 품사 중에서 명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042개입니다.- 예: 증(甑), 위증(僞證), 증(繒), 증(贈), 증(症)
-
증으로 끝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1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3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598개입니다.- 예: 연계증, 중풍증, 무언증, 협심증, 불출증
-
증으로 끝나는 단어들의 분야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25개의 분야 중에서 의학이 가장 많고, 단어수는 918개입니다.- 예: 열증, 철증, 대증, 잡증, 병증
-
증으로 끝나는 단어들을 이루는 한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947 종류의 한자 중에서 1,330번 사용된 症이 최다입니다.- 예: 논증(論症), 두증(痘症), 집증(執症), 증(症), 경증(驚症)
-
증으로 끝나는 단어들의 시작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351개의 시작 글자 중에서 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30개입니다.- 예: 무력증, 무언증, 무유증, 무섬증, 무산증
-
증으로 끝나는 단어들의 첫 자음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8 종류의 첫 자음 중에서 262번 사용된 ㄱ이 최다입니다.- 예: 경증, 기증, 결증, 객증, 견증
-
-
언어 상실증
:
실증으로 끝나는 단어: 총 15개
-
실증으로 끝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2개의 품사 중에서 없음이 가장 많고, 단어수는 10개입니다.
-
실증으로 끝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4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5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5개입니다.
-
실증으로 끝나는 단어들의 분야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4개의 분야 중에서 의학이 가장 많고, 단어수는 8개입니다.
-
실증으로 끝나는 단어들을 이루는 한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25 종류의 한자 중에서 14번 사용된 症이 최다입니다.
-
실증으로 끝나는 단어들은 총 14 종류의 시작하는 글자로 분류됩니다.
-
실증으로 끝나는 단어들의 첫 자음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8 종류의 첫 자음 중에서 5번 사용된 ㅇ이 최다입니다.
-
-
: 자음 ㅇㅇㅅㅅㅈ 단어: 총 2개
-
자음 ㅇㅇㅅㅅㅈ 단어들은 총 1 종류의 품사로 분류됩니다.
-
-
: 모음 ㅓㅓㅏㅣㅡ 단어: 총 5개
-
모음 ㅓㅓㅏㅣㅡ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2개의 품사 중에서 명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4개입니다.
-
모음 ㅓㅓㅏㅣㅡ 단어들은 총 2 종류의 분야로 분류됩니다.
-
모음 ㅓㅓㅏㅣㅡ 단어들은 총 5 종류의 한자로 분류됩니다.
-
모음 ㅓㅓㅏㅣㅡ 단어들은 총 4 종류의 첫 자음으로 분류됩니다.
-
-
언어 상실증
:
언으로 시작하는 단어: 총 413개
-
언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8개의 품사 중에서 명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240개입니다.- 예: 언구(言句), 언표(言表), 언, 언건(偃蹇), 언모(言貌)
-
언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4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4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38개입니다.- 예: 언뜻번뜻, 언앙굴신, 언더셔츠, 언지하익, 언무이가
-
언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분야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30개의 분야 중에서 언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33개입니다.- 예: 언어사, 언어 형식, 언리학, 언, 언씨
-
언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을 이루는 한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296 종류의 한자 중에서 226번 사용된 言이 최다입니다.- 예: 언졸(言拙), 언소(言笑), 언구(言句), 언편(言編), 언표(言表)
-
언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끝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86개의 끝 글자 중에서 다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75개입니다.- 예: 언색하다, 언앙하다, 언역하다, 언의하다, 언술하다
-
-
언어 상실증
:
언어로 시작하는 단어: 총 68개
-
언어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5개의 품사 중에서 없음이 가장 많고, 단어수는 43개입니다.- 예: 언어 분류(言語分類), 언어 단위(言語單位), 언어 형식(言語形式), 언어 조사(言語調査), 언어 지도(言語地圖)
-
언어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6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4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35개입니다.- 예: 언어폭력, 언어유희, 언어도단, 언어문화, 언어불공
-
언어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분야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1개의 분야 중에서 언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30개입니다.- 예: 언어사, 언어 활동, 언어 형식, 언어 정책, 언어 지도
-
언어로 시작하는 단어들을 이루는 한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05 종류의 한자 중에서 67번 사용된 語이 최다입니다.- 예: 언어불공(言語不恭), 언어학(言語學), 언어량(言語量), 언어불통(言語不通), 언어적(言語的)
-
언어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끝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46개의 끝 글자 중에서 학이 가장 많고, 단어수는 8개입니다.- 예: 언어 지리학, 언어 심리학, 언어 사회학, 언어 철학, 언어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