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재 (漢才) 🌟의미
漢
한나라 한
총획:14
부수:水
-
역사
:
한(漢)
계한(季漢)
염한(鹽漢/鹽干)
역한(驛漢)
전한(前漢)
북한(北漢)
남한(南漢)
반한(泮漢)
한당(漢黨)
후한(後漢)
-
인명
:
한음(漢陰)
최한기(崔漢綺)
호한민(胡漢民)
이명한(李明漢)
정한모(鄭漢模)
홍익한(洪翼漢)
김한록(金漢祿)
김복한(金福漢)
이한진(李漢鎭)
홍인한(洪麟漢)
-
지명
:
한강(漢江)
무한(武漢)
한조(漢朝)
우한(Wuhan[武漢])
강한(江漢)
한수(漢水)
한산(漢山)
한양(漢陽)
한중(漢中)
한양(Hanyang[漢陽])
-
불교
:
한찬(漢讚)
나한(羅漢)
여한(驢漢)
속한(俗漢)
나한도(羅漢圖)
나한전(羅漢殿)
화목한(火木漢)
나한상(羅漢像)
아라한(阿羅漢)
아라한과(阿羅漢果)
-
식물
:
나한송(羅漢松)
한라부추(漢拏부추)
한라골풀(漢拏골풀)
한라사초(漢拏莎草)
한라꽃장포(漢拏꽃장蒲)
한라장구채(漢拏장구채)
한라돌쩌귀(漢拏돌쩌귀)
한라개승마(漢拏개升麻)
한라솜다리(漢拏솜다리)
한라고사리(漢拏고사리)
才
재주 재
총획:3
부수:手
-
역사
:
정재(呈才)
무재(茂才)
재인(才人)
수재(秀才)
재인말(才人말)
성재방(成才房)
관무재(觀武才)
재인방(才人坊)
재백정(才白丁)
재인청(才人廳)
-
책명
:
재물보(才物譜)
무재록(武才錄)
재조집(才調集)
삼재도회(三才圖會)
광재물보(廣才物譜)
육재자서(六才子書)
-
체육
:
쌍마재(雙馬才)
마상재(馬上才)
들재간(들才幹)
팔재간(팔才幹)
다리재간(다리才幹)
-
민속
:
삼재(三才)
삭상재(索上才)
곡재인(哭才人)
재인놈(才人놈)
재인단골(才人단골)
-
불교
:
공재어(公才語)
변재천(辯才天)
대변재천(大辯才天)
대변재공덕천(大辯才功德天)
▹ 어휘력 향상을 위한 통계
-
한재
:
재로 끝나는 단어: 총 1,162개
-
재로 끝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9개의 품사 중에서 명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995개입니다.- 예: 재(在), 재(財), 연재(硯材), 재(齋), 재(宰)
-
재로 끝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0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2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566개입니다.- 예: 노재, 길재, 출재, 전재, 연재
-
재로 끝나는 단어들의 분야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43개의 분야 중에서 역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83개입니다.- 예: 산재, 출재, 태재, 서재, 하재
-
재로 끝나는 단어들을 이루는 한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808 종류의 한자 중에서 289번 사용된 材이 최다입니다.- 예: 횡재(橫材), 항재(抗材), 웅재(雄才/雄材), 연재(硯材), 재(材)
-
재로 끝나는 단어들의 시작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308개의 시작 글자 중에서 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22개입니다.- 예: 재
-
재로 끝나는 단어들의 첫 자음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7 종류의 첫 자음 중에서 191번 사용된 ㄱ이 최다입니다.- 예: 길재, 가재, 간재, 국재, 기재
-
-
한재
:
한재로 끝나는 단어: 총 4개
-
한재로 끝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개의 품사 중에서 명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4개입니다.
-
-
: 자음 ㅎㅈ 단어: 총 1,196개
-
자음 ㅎㅈ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6개의 품사 중에서 명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135개입니다.- 예: 협접(蛺蝶), 흉종(凶終), 화준(花罇), 해제(解題), 하재(下齋)
-
자음 ㅎㅈ 단어들의 분야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48개의 분야 중에서 역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03개입니다.- 예: 회자, 훈적, 행주, 호종, 환작
-
자음 ㅎㅈ 단어들을 이루는 한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570 종류의 한자 중에서 34번 사용된 後이 최다입니다.- 예: 후제(後際), 후진(後秦), 후주(後主), 후제(後제), 후정(後庭)
-
-
: 모음 ㅏㅐ 단어: 총 1,374개
-
모음 ㅏㅐ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6개의 품사 중에서 명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333개입니다.- 예: 발뺌, 타맥(打麥), 하재(下齋), 다래, 안택(安宅)
-
모음 ㅏㅐ 단어들의 분야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43개의 분야 중에서 역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86개입니다.- 예: 탁대, 다색, 삼대, 강대, 하재
-
모음 ㅏㅐ 단어들을 이루는 한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572 종류의 한자 중에서 75번 사용된 行이 최다입니다.- 예: 감행(敢行), 판행(版行), 장행(壯行), 아행(牙行), 사행(使行)
-
모음 ㅏㅐ 단어들의 첫 자음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8 종류의 첫 자음 중에서 245번 사용된 ㅅ이 최다입니다.- 예: 사생, 사대, 상개, 삿대, 사앵
-
-
한재
:
한으로 시작하는 단어: 총 1,568개
-
한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0개의 품사 중에서 명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946개입니다.- 예: 한(韓), 한(漢), 한(恨), 한(汗), 한(限)
-
한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20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2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494개입니다.- 예: 한부, 한글, 한술, 한아, 한찬
-
한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분야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52개의 분야 중에서 역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12개입니다.- 예: 한당, 한주, 한국, 한권, 한
-
한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을 이루는 한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807 종류의 한자 중에서 227번 사용된 韓이 최다입니다.- 예: 한(韓), 한옥(韓屋), 한교(韓嶠), 한간(韓幹), 한식(韓式)
-
한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끝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371개의 끝 글자 중에서 다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266개입니다.- 예: 한눈팔다, 한료하다, 한거하다, 한빈하다, 한하다
-
-
한재
:
한재로 시작하는 단어: 총 4개
-
한재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개의 품사 중에서 명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4개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