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도 방언 (全羅道方言) 🌟의미
全
온전할 전
총획:6
부수:入
-
의학
:
전색맹(全色盲)
전신욕(全身浴)
관부전(冠不全)
전분비(全分泌)
신부전(腎不全)
심부전(心不全)
전분비선(全分泌腺)
간 부전(肝不全)
전분비샘(全分泌샘)
전색소경(全色소경)
-
법률
:
전권(全權)
준전손(準全損)
전국구(全國區)
전국구제(全國區制)
전권 대표(全權代表)
전부 보험(全部保險)
보전 집행(保全執行)
전부 용선(全部傭船)
완전 배서(完全背書)
증거 보전(證據保全)
-
책명
:
전당문(全唐文)
전당시(全唐詩)
성리대전(性理大全)
범학전편(範學全編)
율곡전서(栗谷全書)
조어대전(釣魚大全)
초암전집(草庵全集)
전운옥편(全韻玉篇)
백자전서(百子全書)
은봉전서(隱峯全書)
-
정치
:
전인대(全人代)
전면 강화(全面講和)
안전 조약(安全條約)
전권 대사(全權大使)
안전 보장(安全保障)
전당 대회(全黨大會)
전미 회의(全美會議)
전미 기구(全美機構)
전권 공사(全權公使)
안전 조치(安全措置)
-
경제
:
전손(全損)
전경련(全經聯)
안전공황(安全恐慌)
전손하다(全損하다)
안전기사(安全技師)
완전 경쟁(完全競爭)
완전 독점(完全獨占)
보전 회사(保全會社)
완전 고용(完全雇用)
전부 효용(全部效用)
羅
그물 라
총획:19
부수:网
-
불교
:
나찰(羅刹)
마라(魔羅)
다라(多羅)
나망(羅網)
염라(閻羅)
나한(羅漢)
수라(修羅)
나복(羅卜)
괘라(掛羅)
나절(羅切)
-
역사
:
가라(加羅/伽羅/迦羅)
전라(全羅)
설라(薛羅)
신라(新羅)
나졸(羅卒)
사라(斯羅)
나제(羅濟)
둔라(屯羅)
나당(羅唐)
탁라(乇羅)
-
인명
:
나식(羅湜)
나빈(羅彬)
일라(日羅)
나세(羅世)
나습(羅什)
나철(羅喆)
나빙(羅聘)
나목(羅牧)
나유(羅裕)
나중소(羅仲昭)
-
지명
:
나진(羅津)
섬라(暹羅)
나성(羅城)
나부(羅府)
나주(羅州)
나마(羅馬)
나남(羅南)
나마니(羅馬尼)
나진만(羅津灣)
마라도(馬羅島)
-
식물
:
다라(多羅)
나왕(羅王)
가라(伽羅)
암라(菴羅)
나한송(羅漢松)
전추라(翦秋羅)
암마라(菴摩羅)
전춘라(翦春羅)
나전초(羅氈草)
부라수(簿羅樹)
道
길 도
총획:13
부수:辵
-
교통
:
수도(隧道)
군도(郡道)
궤도(軌道)
도상(道床)
국도(國道)
가도교(架道橋)
차도부(車道部)
도로율(道路率)
궤도업(軌道業)
철도교(鐵道橋)
-
불교
:
혹도(惑道)
구도(求道)
멸도(滅道)
도안(道眼)
도업(道業)
행도(行道)
판도(辦道)
이도(二道)
도저(道底)
도미(道味)
-
역사
:
사도(使道)
도사(道使)
묘도(墓道)
연도(羨道)
도천(道薦)
갈도(喝道/喝導)
도계(道啓)
도신(道臣)
좌도(左道)
청도(淸道)
-
인명
:
도선(道詵)
풍도(馮道)
도안(道安)
순도(順道)
아도(阿道)
도육(道育)
도의(道義)
도현(道顯)
도헌(道憲)
도종(道宗)
-
종교 일반
:
도훈(道訓)
도교(道敎)
도인(道人)
강도(講道)
도사(道師)
도경(道經)
서도(西道)
도원(道院)
교도(敎道)
도정(道正)
方
모 방
총획:4
부수:方
-
수학
:
입방(立方)
개방(開方)
방장(方丈)
방수(方數)
방안(方眼)
평방(平方)
방멱(方冪)
방추(方錐)
평방근(平方根)
방추형(方錐形)
-
민속
:
계방(癸方)
손방(巽方)
자방(子方)
묘방(卯方)
방장(方丈)
미방(未方)
인방(寅方)
병방(丙方)
축방(丑方)
해방(亥方)
-
역사
:
방물(方物)
방좌(方佐)
중방(中方)
방성(方城)
방분(方墳)
방령(方領)
상방(尙方)
방패(方牌)
방산(方繖)
대방(帶方)
-
불교
:
방등(方等)
방장(方丈)
십방(十方)
서방(西方)
상방(上方)
시방(十方)
방편(方便)
방포(方袍)
방상(方相)
팔방천(八方天)
-
정보·통신
:
신호 방식(信號方式)
돌비 방식(Dolby方式)
세캄 방식(SECAM方式)
원방 측정(遠方測定)
원방 조종(遠方操縱)
장하 방식(裝荷方式)
대화 방식(對話方式)
완충 방식(緩衝方式)
기본 방식(基本方式)
동기 방식(同期方式)
言
말씀 언
총획:7
부수:言
-
언어
:
와언(訛言)
약언(約言)
방언(方言)
체언(體言)
용언(用言)
박언학(博言學)
언어사(言語史)
수식언(修飾言)
본용언(本用言)
언리학(言理學)
-
철학
:
정언(定言)
입언(立言)
언명(言明)
연언(連言)
선언(選言)
가언(假言)
가언적(假言的)
선언적(選言的)
사언교(四言敎)
정언적(定言的)
-
역사
:
언지(言地)
구언(求言)
정언(正言)
전언(典言)
언관(言官)
대언(代言)
헌언(獻言)
상언(上言)
납언(納言)
언책(言責)
-
문학
:
칠언(七言)
오언(五言)
사언(四言)
잡언(雜言)
우언(寓言)
일언제(一言題)
사언시(四言詩)
칠언율(七言律)
환언법(換言法)
칠언시(七言詩)
-
정보·통신
:
시 언어(C言語)
전언 통신(傳言通信)
형식 언어(形式言語)
공통 언어(共通言語)
인공 언어(人工言語)
정보 언어(情報言語)
산법 언어(算法言語)
기호 언어(記號言語)
로봇 언어(robot言語)
간이 언어(簡易言語)
▹ 어휘력 향상을 위한 통계
-
전라도 방언
:
언으로 끝나는 단어: 총 575개
-
언으로 끝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3개의 품사 중에서 명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439개입니다.- 예: 용언(庸言), 언, 회언(悔言), 불언(佛言), 맹언(盟言)
-
언으로 끝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0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2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315개입니다.- 예: 첨언, 세언, 회언, 허언, 맹언
-
언으로 끝나는 단어들의 분야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30개의 분야 중에서 언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56개입니다.- 예: 본용언, 언, 와언, 수식언, 독립언
-
언으로 끝나는 단어들을 이루는 한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506 종류의 한자 중에서 476번 사용된 言이 최다입니다.- 예: 용언(庸言), 회언(悔言), 불언(佛言), 맹언(盟言), 첨언(添言)
-
언으로 끝나는 단어들의 시작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263개의 시작 글자 중에서 불이 가장 많고, 단어수는 13개입니다.- 예: 불수다언, 불길지언, 불필재언, 불상지언, 불능성언
-
언으로 끝나는 단어들의 첫 자음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4 종류의 첫 자음 중에서 116번 사용된 ㅇ이 최다입니다.- 예: 양언, 언, 와언, 위언, 아언
-
-
전라도 방언
:
방언으로 끝나는 단어: 총 26개
-
방언으로 끝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2개의 품사 중에서 없음이 가장 많고, 단어수는 17개입니다.- 예: 기초 방언(基礎方言), 호남 방언(湖南方言), 지역 방언(地域方言), 영남 방언(嶺南方言), 관서 방언(關西方言)
-
방언으로 끝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4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4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7개입니다.- 예: 은거방언, 서북 방언, 영남 방언, 서부 방언, 고담방언
-
방언으로 끝나는 단어들의 분야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3개의 분야 중에서 언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8개입니다.- 예: 서북 방언, 동북 방언, 영남 방언, 서부 방언, 방언
-
방언으로 끝나는 단어들을 이루는 한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38 종류의 한자 중에서 24번 사용된 言이 최다입니다.- 예: 방언(放言), 기초 방언(基礎方言), 방언(謗言), 은거방언(隱居放言), 영남 방언(嶺南方言)
-
방언으로 끝나는 단어들의 시작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9개의 시작 글자 중에서 방이 가장 많고, 단어수는 4개입니다.- 예: 방언
-
방언으로 끝나는 단어들의 첫 자음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8 종류의 첫 자음 중에서 5번 사용된 ㅂ이 최다입니다.- 예: 방언, 별국방언
-
-
: 자음 ㅈㄹㄷㅂㅇ 단어: 총 1개
-
자음 ㅈㄹㄷㅂㅇ 단어들은 총 1 종류의 품사로 분류됩니다.
-
-
: 모음 ㅓㅏㅗㅏㅓ 단어: 총 1개
-
모음 ㅓㅏㅗㅏㅓ 단어들은 총 1 종류의 품사로 분류됩니다.
-
-
전라도 방언
:
전으로 시작하는 단어: 총 4,921개
-
전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9개의 품사 중에서 명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2,789개입니다.- 예: 전, 전(臇), 전(轉), 전(錢), 전(滇)
-
전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4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4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644개입니다.- 예: 전측되다, 전망하다, 전환하다, 전부야인, 전흉등판
-
전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분야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59개의 분야 중에서 전기·전자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433개입니다.- 예: 전극, 전류, 전사, 전지, 전교
-
전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을 이루는 한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596 종류의 한자 중에서 1,146번 사용된 電이 최다입니다.- 예: 전칙(電飭), 전사(電寫), 전화(電話), 전건(電鍵), 전송(電送)
-
전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끝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443개의 끝 글자 중에서 다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720개입니다.- 예: 전담되다, 전하다, 전다, 전망하다, 전환하다
-
-
전라도 방언
:
전라로 시작하는 단어: 총 10개
-
전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2개의 품사 중에서 명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9개입니다.
-
전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4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2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4개입니다.
-
전라로 시작하는 단어들은 총 5 종류의 분야로 분류됩니다.
-
전라로 시작하는 단어들을 이루는 한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4 종류의 한자 중에서 8번 사용된 全이 최다입니다.
-
전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끝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5개의 끝 글자 중에서 라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4개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