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왕제 (龍王祭) 🌟의미

용왕제 :
음력 정월 14일에 배의 주인이 제주가 되어 뱃사공들이 지내는 제사. 무당을 부르지 않는 점에서 ‘용왕굿’과 다르다. (용왕굿: 별신굿의 하나. 바닷가로 나가 무당이 물동이를 타고 방울을 흔들며 공수를 내리고 음식을 떼어 바다에 던진다., 인천을 중심으로 서해안 갯마을의 도당굿. 정월 대보름을 전후하여 굿을 베풀어 마을의 안녕과 풍어를 빈다. 지역에 따라 명칭이 각각 다른데, 동해안에서는 별신굿, 서해안에서는 배연신굿, 위도에서는 띠뱃놀이, 강화도에서는 시선뱃놀이, 해운대에서는 용왕맞이, 정주에서는 축복놀이라고 한다.)

명사 한자어 단어

한자어/외래어/혼종어: 龍王祭 (한자)
동의어/반의어/비슷한말/준말:
  • 동의어 물산제: 음력 정월 14일에 배의 주인이 제주가 되어 뱃사공들이 지내는 제사. 무당을 부르지 않는 점에서 ‘용왕굿’과 다르다. (용왕굿: 별신굿의 하나. 바닷가로 나가 무당이 물동이를 타고 방울을 흔들며 공수를 내리고 음식을 떼어 바다에 던진다., 인천을 중심으로 한 서해안 갯마을의 도당굿. 정월 대보름을 전후하여 이 굿을 베풀어 마을의 안녕과 풍어를 빈다. 지역에 따라 명칭이 각각 다른데, 동해안에서는 별신굿, 서해안에서는 배연신굿, 위도에서는 띠뱃놀이, 강화도에서는 시선뱃놀이, 해운대에서는 용왕맞이, 정주에서는 축복놀이라고 한다.)
  • 동의어 배고사: 음력 정월 14일에 배의 주인이 제주가 되어 뱃사공들이 지내는 제사. 무당을 부르지 않는 점에서 ‘용왕굿’과 다르다. (용왕굿: 별신굿의 하나. 바닷가로 나가 무당이 물동이를 타고 방울을 흔들며 공수를 내리고 음식을 떼어 바다에 던진다., 인천을 중심으로 한 서해안 갯마을의 도당굿. 정월 대보름을 전후하여 이 굿을 베풀어 마을의 안녕과 풍어를 빈다. 지역에 따라 명칭이 각각 다른데, 동해안에서는 별신굿, 서해안에서는 배연신굿, 위도에서는 띠뱃놀이, 강화도에서는 시선뱃놀이, 해운대에서는 용왕맞이, 정주에서는 축복놀이라고 한다.)
  • 동의어 용왕먹이기: 음력 정월 14일에 배의 주인이 제주가 되어 뱃사공들이 지내는 제사. 무당을 부르지 않는 점에서 ‘용왕굿’과 다르다. (용왕굿: 별신굿의 하나. 바닷가로 나가 무당이 물동이를 타고 방울을 흔들며 공수를 내리고 음식을 떼어 바다에 던진다., 인천을 중심으로 한 서해안 갯마을의 도당굿. 정월 대보름을 전후하여 이 굿을 베풀어 마을의 안녕과 풍어를 빈다. 지역에 따라 명칭이 각각 다른데, 동해안에서는 별신굿, 서해안에서는 배연신굿, 위도에서는 띠뱃놀이, 강화도에서는 시선뱃놀이, 해운대에서는 용왕맞이, 정주에서는 축복놀이라고 한다.)
분류: 인문 / 민속
발음: 용왕제
용왕제 龍王祭: 음력 정월 14일에 배의 주인이 제주가 되어 뱃사공들이 지내는 제사. 무당을 부르지 않는 점에서 ‘용왕굿’과 다르다. (용왕굿: 별신굿의 하나. 바닷가로 …
총획:16 부수:
  • 역사 : 용기(龍旗) 용정(龍亭) 황룡(黃龍) 견룡(牽龍) 용선(龍扇) 용후(龍喉) 삼룡(三龍) 용절(龍節) 용잠(龍潛) 용가(龍駕)
  • 민속 : 용맥(龍脈) 주룡(主龍) 용제(龍祭) 지룡(支龍) 용호(龍虎) 나룡(懶龍) 용띠(龍띠) 용해(龍해) 청룡(靑龍) 심룡(尋龍)
  • 지명 : 주룽(Jiulong[九龍]) 용정(龍井) 룽징(Longjing[龍井]) 구룡(九龍) 룽먼(Longmen[龍門]) 허룽(Helong[和龍]) 용인(龍仁) 용강(龍岡) 계룡(鷄龍) 화룡(和龍)
  • 불교 : 용수(龍樹) 용왕(龍王) 용장(龍章) 용상(龍象) 용중(龍衆) 용신(龍神) 용차(龍車) 용화(龍華) 관룡사(觀龍寺) 청룡사(靑龍寺)
  • 식물 : 용린(龍鱗) 용담(龍膽) 용안(龍眼) 목룡(木龍) 용뇌(龍腦) 용규(龍葵) 산용담(山龍膽) 과산룡(過山龍) 석용예(石龍芮) 석룡추(石龍芻)

임금 총획:4 부수:
  • 인명 : 왕불(王紱) 왕유(王維) 왕발(王勃) 문왕(文王) 장왕(莊王) 왕도(王韜) 왕망(王莽) 왕연(王淵) 왕강(王康) 법왕(法王)
  • 역사 : 왕작(王爵) 왕세(王稅) 왕대(王代) 왕사(王嗣) 군왕(郡王) 왕사(王使) 왕지(王旨) 상왕(上王) 왕백(王白) 삼왕(三王)
  • 불교 : 안왕(雁王) 각왕(覺王) 공왕(空王) 아왕(鵝王) 약왕(藥王) 십왕(十王) 염왕(閻王) 천왕(天王) 상왕(象王) 용왕(龍王)
  • 동물 : 왕뱀(王뱀) 왕봉(王蜂) 왕치(王치) 왕벌(王벌) 왕유(王乳) 봉왕(蜂王) 왕게(王게) 왕저(王鴡) 왕지네(王지네) 여왕벌(女王벌)
  • 식물 : 나왕(羅王) 왕대(王대) 왕죽(王竹) 목왕(木王) 왕싱아(王싱아) 왕모람(王모람) 왕대황(王大黃) 왕씀배(王씀배) 왕바꽃(王바꽃) 패왕수(霸王樹)

제사 총획:11 부수:
  • 민속 : (祭) 마제(禡祭) 용제(龍祭) 둑제(纛祭) 샘제(샘祭) 동제(洞祭) 제석(祭石) 산제(山祭) 한제(旱祭) 여제(厲祭)
  • 가톨릭 : 제대(祭臺) 제의(祭衣) 혈제(血祭) 사제(司祭) 제병(祭餠) 육제(肉祭) 부제(副祭) 성제(聖祭) 강탄제(降誕祭) 총사제(總司祭)
  • 기독교 : 번제(燔祭) 화제(火祭) 속제(贖祭) 제사(祭司) 요제(搖祭) 소제(素祭) 제사(祭事) 전제(奠祭) 사은제(謝恩祭) 사순제(四旬祭)
  • 역사 : 좨주(祭酒) 차제(差祭) 우제(雩祭) 대제(大祭) 사제(賜祭) 승제(僧祭) 치제(致祭) 제전(祭田) 배제관(陪祭官) 분황제(焚黃祭)
  • 음악 : 제악(祭樂) 제전(祭奠) 제전악(祭典樂) 제례악(祭禮樂) 석전제악(釋奠祭樂) 빈 음악제(Wien音樂祭) 종묘 대제악(宗廟大祭樂) 세계 음악제(世界音樂祭) 종묘 제례악(宗廟祭禮樂) 문묘 제례악(文廟祭禮樂)

어휘력 향상을 위한 통계

💡용왕제의 시작 단어, 끝 단어, 자음, 모음에 관해 분석한 통계를 제공합니다.

🎁 단어 유희를 위한 선물 상자를 열어보세요

맛있는 속담 모음

알아두면 쓸모있는 분야별 한자 단어

초성 모음

중성 모음

시작 단어 모음

끝 단어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