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언하다 (失言하다) 🌟의미
失
잃을 실
총획:5
부수:大
-
법률
:
과실(過失)
유실(遺失)
멸실(滅失)
과실살(過失殺)
실종자(失踪者)
과실죄(過失罪)
중과실(重過失)
분실계(紛失屆)
실화죄(失火罪)
경과실(輕過失)
-
의학
:
실조(失調)
실독증(失讀症)
소실성(消失性)
실인증(失認症)
실서증(失書症)
실어증(失語症)
실혈성(失血性)
영양실조(營養失調)
섬광 실명(閃光失明)
감각 소실(感覺消失)
-
경제
:
실업(失業)
순손실(純損失)
실업자(失業者)
실권주(失權株)
실업률(失業率)
자본 손실(資本損失)
실업 이론(失業理論)
실업 수당(失業手當)
구조적 실업(構造的失業)
경기적 실업(景氣的失業)
-
전기·전자
:
동손실(銅損失)
손실률(損失率)
전압 손실(電壓損失)
손실 변조(損失變調)
도중 손실(途中損失)
전력 손실(電力損失)
손실 전류(損失電流)
이력 손실(履歷損失)
양극 손실(陽極損失)
전반 손실(傳搬損失)
-
체육
:
범실(凡失)
실투(失投)
실책(失策)
무실(無失)
실축(失蹴)
연실(連失)
분실구(紛失球)
실격패(失格敗)
실투하다(失投하다)
연실하다(連失하다)
言
말씀 언
총획:7
부수:言
-
언어
:
와언(訛言)
약언(約言)
방언(方言)
체언(體言)
용언(用言)
박언학(博言學)
언어사(言語史)
수식언(修飾言)
본용언(本用言)
언리학(言理學)
-
철학
:
정언(定言)
입언(立言)
언명(言明)
연언(連言)
선언(選言)
가언(假言)
가언적(假言的)
선언적(選言的)
사언교(四言敎)
정언적(定言的)
-
역사
:
언지(言地)
구언(求言)
정언(正言)
전언(典言)
언관(言官)
대언(代言)
헌언(獻言)
상언(上言)
납언(納言)
언책(言責)
-
문학
:
칠언(七言)
오언(五言)
사언(四言)
잡언(雜言)
우언(寓言)
일언제(一言題)
사언시(四言詩)
칠언율(七言律)
환언법(換言法)
칠언시(七言詩)
-
정보·통신
:
시 언어(C言語)
전언 통신(傳言通信)
형식 언어(形式言語)
공통 언어(共通言語)
인공 언어(人工言語)
정보 언어(情報言語)
산법 언어(算法言語)
기호 언어(記號言語)
로봇 언어(robot言語)
간이 언어(簡易言語)
▹ 어휘력 향상을 위한 통계
-
실언하다
:
다로 끝나는 단어: 총 76,978개
-
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4개의 품사 중에서 동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55,772개입니다.- 예: 째다, 톺다, 쓰다, 틔다, 틀다
-
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39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4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46,186개입니다.- 예: 선행하다, 임면하다, 게기하다, 화합하다, 해안하다
-
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분야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60개의 분야 중에서 역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413개입니다.- 예: 망괴다, 배하다, 상다, 주다, 날란다
-
다로 끝나는 단어들을 이루는 한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4,289 종류의 한자 중에서 898번 사용된 化이 최다입니다.- 예: 경화되다(硬化되다), 화육하다(化育하다), 궁화하다(躬化하다), 화하다(化하다), 둔화되다(鈍化되다)
-
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시작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294개의 시작 글자 중에서 가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806개입니다.- 예: 가루다, 가렵다, 가말다, 가닿다, 가다
-
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첫 자음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9 종류의 첫 자음 중에서 11,340번 사용된 ㅇ이 최다입니다.- 예: 익다, 오다, 웃다, 엮다, 앓다
-
-
실언하다
:
하다로 끝나는 단어: 총 48,666개
-
하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8개의 품사 중에서 동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37,855개입니다.- 예: 짬하다, 책하다(責하다), 연하다(練하다), 취하다(取하다), 주하다(奏하다)
-
하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22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4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35,359개입니다.- 예: 선행하다, 임면하다, 게기하다, 화합하다, 해안하다
-
하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분야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57개의 분야 중에서 역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266개입니다.- 예: 공하다, 세초하다, 배하다, 입역하다, 팽하다
-
하다로 끝나는 단어들을 이루는 한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4,254 종류의 한자 중에서 800번 사용된 不이 최다입니다.- 예: 부정하다(不正하다), 불길하다(不吉하다), 불요하다(不撓하다), 불하하다(不下하다), 불안하다(不安하다)
-
하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시작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045개의 시작 글자 중에서 수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591개입니다.- 예: 수연하다, 수음하다, 수륜하다, 수득하다, 수렴하다
-
하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첫 자음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9 종류의 첫 자음 중에서 7,590번 사용된 ㅇ이 최다입니다.- 예: 용하다, 약하다, 연하다, 유하다, 양하다
-
-
: 자음 ㅅㅇㅎㄷ 단어: 총 554개
-
자음 ㅅㅇㅎㄷ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4개의 품사 중에서 동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440개입니다.- 예: 솔양하다(率養하다), 수와하다(睡臥하다), 수음하다(手淫하다), 선위하다(禪位하다), 설익히다
-
자음 ㅅㅇㅎㄷ 단어들의 분야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22개의 분야 중에서 역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7개입니다.- 예: 수용하다, 승일하다, 솔악하다, 신연하다, 사악하다
-
자음 ㅅㅇㅎㄷ 단어들을 이루는 한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420 종류의 한자 중에서 19번 사용된 用이 최다입니다.- 예: 습용하다(襲用하다), 수용하다(受用하다), 상용하다(商用하다), 식용하다(食用하다), 실용하다(實用하다)
-
-
: 모음 ㅣㅓㅏㅏ 단어: 총 493개
-
모음 ㅣㅓㅏㅏ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4개의 품사 중에서 동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379개입니다.- 예: 치적하다(峙積하다), 입성하다(入聖하다), 익선하다(翼善하다), 기어하다(寄語하다), 피접하다(避接하다)
-
모음 ㅣㅓㅏㅏ 단어들의 분야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5개의 분야 중에서 역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1개입니다.- 예: 이천하다, 진덕박사, 비천하다, 입철하다, 시청하다
-
모음 ㅣㅓㅏㅏ 단어들을 이루는 한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358 종류의 한자 중에서 19번 사용된 入이 최다입니다.- 예: 입성하다(入聖하다), 입거하다(入渠하다), 입성하다(入城하다), 입적하다(入籍하다), 입정하다(入廷하다)
-
모음 ㅣㅓㅏㅏ 단어들의 첫 자음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3 종류의 첫 자음 중에서 115번 사용된 ㅇ이 최다입니다.- 예: 이첩하다, 이천하다, 임석하다, 인서하다, 입정하다
-
-
실언하다
:
실로 시작하는 단어: 총 1,334개
-
실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9개의 품사 중에서 명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778개입니다.- 예: 실(實), 실(seal), 실포(實包), 실(失), 실신(失神)
-
실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4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4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417개입니다.- 예: 실레지아, 실기하다, 실격하다, 실떡실떡, 실쭉샐쭉
-
실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분야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54개의 분야 중에서 철학이 가장 많고, 단어수는 58개입니다.- 예: 실천, 실존, 실학자, 실증론, 실적
-
실로 시작하는 단어들을 이루는 한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573 종류의 한자 중에서 647번 사용된 實이 최다입니다.- 예: 실법(實法), 실(實), 실백(實柏), 실공(實功), 실포(實包)
-
실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끝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332개의 끝 글자 중에서 다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220개입니다.- 예: 실기하다, 실다, 실답다, 실없다, 실달다
-
-
실언하다
:
실언으로 시작하는 단어: 총 2개
-
실언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은 총 2 종류의 품사로 분류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