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대놀음하다 (山臺놀음하다) 🌟의미

산대놀음하다 :
탈을 쓰고 큰길가나 빈터에 만든 무대에서 복합적인 구성의 탈놀음을 하다. 바가지, 종이, 나무 따위로 만든 탈을 쓰고 소매가 옷을 입은 광대들이 음악에 맞추어 춤을 추며 노래하고 이야기를 한다. 고려 시대에 발생하여 조선 시대까지 궁중에서 성행하였으나 후에 민간에 전파되어 탈놀음 중심의 평민극으로 이어졌다. 현대 산대놀이 계통의 것으로 양주 별산대놀이, 송파 산대놀이, 봉산 탈춤, 강령 탈춤, 오광대놀이 따위가 전하고 있다.

동사 혼종어 단어

한자어/외래어/혼종어: 山臺놀음하다 (한자고유어)
동의어/반의어/비슷한말/준말:
  • 동의어 산대극하다: 탈을 쓰고 큰길가나 빈터에 만든 무대에서 복합적인 구성의 탈놀음을 하다. 바가지, 종이, 나무 따위로 만든 탈을 쓰고 소매가 긴 옷을 입은 광대들이 음악에 맞추어 춤을 추며 노래하고 이야기를 한다. 고려 시대에 발생하여 조선 시대까지 궁중에서 성행하였으나 후에 민간에 전파되어 탈놀음 중심의 평민극으로 이어졌다. 현대 산대놀이 계통의 것으로 양주 별산대놀이, 송파 산대놀이, 봉산 탈춤, 강령 탈춤, 오광대놀이 따위가 전하고 있다.
  • 동의어 산대놀이하다: 탈을 쓰고 큰길가나 빈터에 만든 무대에서 복합적인 구성의 탈놀음을 하다. 바가지, 종이, 나무 따위로 만든 탈을 쓰고 소매가 긴 옷을 입은 광대들이 음악에 맞추어 춤을 추며 노래하고 이야기를 한다. 고려 시대에 발생하여 조선 시대까지 궁중에서 성행하였으나 후에 민간에 전파되어 탈놀음 중심의 평민극으로 이어졌다. 현대 산대놀이 계통의 것으로 양주 별산대놀이, 송파 산대놀이, 봉산 탈춤, 강령 탈춤, 오광대놀이 따위가 전하고 있다.
  • 동의어 산대도감놀이하다: 탈을 쓰고 큰길가나 빈터에 만든 무대에서 복합적인 구성의 탈놀음을 하다. 바가지, 종이, 나무 따위로 만든 탈을 쓰고 소매가 긴 옷을 입은 광대들이 음악에 맞추어 춤을 추며 노래하고 이야기를 한다. 고려 시대에 발생하여 조선 시대까지 궁중에서 성행하였으나 후에 민간에 전파되어 탈놀음 중심의 평민극으로 이어졌다. 현대 산대놀이 계통의 것으로 양주 별산대놀이, 송파 산대놀이, 봉산 탈춤, 강령 탈춤, 오광대놀이 따위가 전하고 있다.
  • 동의어 산대무극하다: 탈을 쓰고 큰길가나 빈터에 만든 무대에서 복합적인 구성의 탈놀음을 하다. 바가지, 종이, 나무 따위로 만든 탈을 쓰고 소매가 긴 옷을 입은 광대들이 음악에 맞추어 춤을 추며 노래하고 이야기를 한다. 고려 시대에 발생하여 조선 시대까지 궁중에서 성행하였으나 후에 민간에 전파되어 탈놀음 중심의 평민극으로 이어졌다. 현대 산대놀이 계통의 것으로 양주 별산대놀이, 송파 산대놀이, 봉산 탈춤, 강령 탈춤, 오광대놀이 따위가 전하고 있다.
  • 동의어 산대잡극하다: 탈을 쓰고 큰길가나 빈터에 만든 무대에서 복합적인 구성의 탈놀음을 하다. 바가지, 종이, 나무 따위로 만든 탈을 쓰고 소매가 긴 옷을 입은 광대들이 음악에 맞추어 춤을 추며 노래하고 이야기를 한다. 고려 시대에 발생하여 조선 시대까지 궁중에서 성행하였으나 후에 민간에 전파되어 탈놀음 중심의 평민극으로 이어졌다. 현대 산대놀이 계통의 것으로 양주 별산대놀이, 송파 산대놀이, 봉산 탈춤, 강령 탈춤, 오광대놀이 따위가 전하고 있다.
  • 동의어 산붕희하다: 탈을 쓰고 큰길가나 빈터에 만든 무대에서 복합적인 구성의 탈놀음을 하다. 바가지, 종이, 나무 따위로 만든 탈을 쓰고 소매가 긴 옷을 입은 광대들이 음악에 맞추어 춤을 추며 노래하고 이야기를 한다. 고려 시대에 발생하여 조선 시대까지 궁중에서 성행하였으나 후에 민간에 전파되어 탈놀음 중심의 평민극으로 이어졌다. 현대 산대놀이 계통의 것으로 양주 별산대놀이, 송파 산대놀이, 봉산 탈춤, 강령 탈춤, 오광대놀이 따위가 전하고 있다.
분류: 인문 / 민속
활용: 산대놀음하여 (산대놀음해) 산대놀음하니
발음: 산대노름하다
산대놀음하다 山臺놀음하다: 탈을 쓰고 큰길가나 빈터에 만든 무대에서 복합적인 구성의 탈놀음을 하다. 바가지, 종이, 나무 따위로 만든 탈을 쓰고 소매가 긴 옷을 …
총획:3 부수:
  • 지명 : 서산(瑞山) 백산(白山) 경산(慶山) 독산(獨山) 항산(恒山) 안산(安山) 영산(靈山) 당산(唐山) 풍산(豐山) 형산(衡山)
  • 식물 : 산다(山茶) 상산(常山) 산사(山査) 산외(山외) 산삼(山蔘) 산총(山葱) 산규(山葵) 산도(山桃) 산뽕(山뽕) 산리(山梨)
  • 역사 : 산군(山軍) 인산(因山) 봉산(封山) 진산(鎭山) 산호(山呼) 산릉(山陵) 산로(山爐) 산융(山戎) 산방(山房) 사산(四山)
  • 불교 : 구산(九山) 침산(針山) 도산(刀山) 산무(山務) 오산(五山) 진산(晉山) 산내(山內) 개산(開山) 소산(燒山) 취산(鷲山)
  • 지구 : 산태(山汰) 산붕(山崩) 조산(造山) 산풍(山風) 빙산(氷山) 화산탄(火山彈) 산곡풍(山谷風) 화산사(火山沙/火山砂) 산안개(山안개) 화산암(火山巖)

돈대 총획:14 부수:
  • 역사 : 대론(臺論) 대망(臺望) 대각(臺閣) 대관(臺官) 대륜(臺輪) 연대(燕臺) 시대(屍臺) 대차(臺箚) 난대(蘭臺) 대보(臺輔)
  • 지명 : 동대(東臺) 대남(臺南) 대중(臺中) 대만(臺灣) 연대(煙臺) 대동(臺東) 대북(臺北) 연대봉(淵臺峯) 타이완(Taiwan[臺灣]) 천상대(天上臺)
  • 건설 : 교대(橋臺) 장대(長臺) 비대(碑臺) 토대(土臺) 지대(址臺) 적대(敵臺) 노대(露臺) 평고대(平高臺) 농대석(籠臺石) 비대석(碑臺石)
  • 불교 : 생대(生臺) 대좌(臺座) 연대(蓮臺) 향대(香臺) 중대(中臺) 소대(燒臺) 전대(錢臺) 선대(禪臺) 화대(華臺) 공대(供臺)
  • 민속 : 적대(炙臺) 산대(山臺) 별산대(別山臺) 사대석(莎臺石) 산대판(山臺판) 산대탈(山臺탈) 산대굿(山臺굿) 본산대(本山臺) 산대희(山臺戲) 산대극(山臺劇)

어휘력 향상을 위한 통계

💡산대놀음하다의 시작 단어, 끝 단어, 자음, 모음에 관해 분석한 통계를 제공합니다.

🎁 단어 유희를 위한 선물 상자를 열어보세요

맛있는 속담 모음

알아두면 쓸모있는 분야별 한자 단어

초성 모음

중성 모음

시작 단어 모음

끝 단어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