ㅎ 🌷자음(초성) 단어 322개
-
황 (蝗) : 메뚜깃과의 곤충. 몸의 길이는 4.8~6.5cm이며, 누런 갈색 또는 초록색이고 앞날개에 불규칙한 검은 갈색 무늬가 있다. 잡초를 먹고 살며, 때로는 농작물에 큰 해를 끼치기도 하는데 전 세계에 분포한다.
-
호 (胡) : ‘중국에서 들여온’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
-
한 (干) : ‘간’의 원말. (간: 고대 부족 사회에서, 족장이나 국왕을 이르던 말., 신라 때에, 촌도전ㆍ마전ㆍ육전ㆍ와기전 등에 속한 벼슬을 이르던 말., 신라 때에 둔, 외위(外位)의 일곱째 등급. 경위(京位)의 사지(舍知)에 해당한다.)
-
합 (合) : 1 여럿이 한데 모임. 또는 여럿을 한데 모음. 2 인도의 인명학에서, 삼단 논법의 소전제에 해당하는 술어. 3 둘 이상의 수나 식을 더함. 또는 그렇게 얻은 값. ... (총 6개의 의미)
-
힝 : 아니꼬워 비웃는 콧소리.
-
호 : 1 뜻밖이어서 놀라거나 감탄할 때 내는 소리. 2 어려운 일을 끝내거나 고비를 넘겼을 때 안심하여 내쉬는 소리.
-
허 (虛) : 예전에, 육덕(六德)의 1억분의 1이 되는 수를 이르던 말. 즉, 10-104을 이른다.
-
후 (侯) : 국궁에서 쓰는 가장 작은 무명 과녁.
-
호 (戶) : 1 집을 세는 단위. 2 호적상의 가족으로 구성된 집.
-
혹 (或) : 1 그러할 리는 없지만 만일에. 2 어쩌다가 우연히. 3 어쩌다가 띄엄띄엄. ... (총 4개의 의미)
-
홀 (Hall, Granville Stanley) : 미국의 심리학자(1844~1924). 미국 심리학회 초대 회장을 지냈으며, 기관지 ≪미국 심리학보≫를 창간하였다. 아동 심리 연구에 질문지를 처음으로 사용하였고, 청년과 노인을 대상으로 한 심리학의 선구자가 되었다.
-
행 (行) : ‘행하다’의 어근. (행하다: 어떤 일을 실제로 해 나가다.)
-
호 (胡) : 우리나라 성(姓)의 하나. 본관은 파릉(巴陵), 가평(加平) 등이 현존한다.
-
하 : 입을 크게 벌리고 입김을 한 번 내어 부는 소리. 또는 그 모양.
-
활 : 1 목화를 타서 솜을 만드는 데 사용하는 활. 2 화살을 메겨서 쏘는 기구. 또는 그 몸체. 댓개비나 단단한 나무나 쇠, 뼈 따위를 휘어서 반달 모양의 몸체를 만들고, 두 끝에 시위를 건 다음 화살을 줄에 메워 함께 당겼다 놓으면 줄의 탄력으로 화살이 튀어 나간다. 3 찰현 악기의 현을 켜는 데에 쓰는 도구. 활 모양의 나무 부분과 현을 켜는 털 부분으로 되어 있는데 악기에 따라 모양과 크기가 다르다.
-
홉 : 1 부피의 단위. 곡식, 가루, 액체 따위의 부피를 잴 때 쓴다. 한 홉은 한 되의 10분의 1로 약 180mL에 해당한다. 2 땅 넓이의 단위. 1홉은 1평의 10분의 1이다.
-
협 (莢) : 콩과 식물의 씨앗을 싸고 있는 껍질.
-
홀 : ‘짝이 없이 혼자뿐인’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
-
헉 : 1 몹시 지쳐서 물러서거나 주저앉거나 자빠지는 모양. 2 몹시 놀라거나 숨이 차서 숨을 순간적으로 멈추거나 들이마시는 소리. 또는 그 모양. 3 마음에 끌리는 일이 있을 때 욕심이 나서 갑자기 덤비는 모양.
-
헐 (Hull, Clark Leonard) : 미국의 심리학자(1884~1952). 동물에 대한 실험을 통하여 자극과 반응의 관계를 수량적으로 연구하여 학습 이론을 체계화하였다. 저서에 ≪가설 연역법≫, ≪행동의 원리≫ 따위가 있다.
-
한 (限) : 1 시간, 공간, 수량, 정도 따위의 끝을 나타내는 말. 2 앞에 쓰인 형용사의 정도가 매우 심함을 나타내는 말. 3 조건의 뜻을 나타내는 말. ... (총 4개의 의미)
-
힐 (Hill, George William) : 미국의 천문학자(1838~1914). 달의 운동, 지구와 달과 태양의 운동 사이의 관계, 목성과 토성의 상호 간섭 운동 따위를 연구하여 천체 역학 분야의 발전에 이바지하였다.
-
행 (行) : 조선 시대에, 관계(官階)가 높고 관직이 낮은 경우에 벼슬 이름 앞에 붙여 이르던 말.
-
홉 (hop) : 뽕나뭇과의 여러해살이 덩굴풀. 길이는 6~12m이며 잎은 마주나고 3~5갈래로 갈라지며 톱니와 잔가시가 있다. 여름에 노란색을 띤 녹색 꽃이 피고 솔방울 비슷한 열매가 열린다. 열매는 맛이 쓰고 방향이 있어 약재나 맥주의 원료로 쓴다. 유럽이 원산지로 유럽, 아메리카, 아시아 등지에 분포한다.
-
히 : 1 ‘사동’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사동: 주체가 제3의 대상에게 동작이나 행동을 하게 하는 동사의 성질.) 2 ‘사동’의 뜻을 더하고 동사를 만드는 접미사. (사동: 주체가 제3의 대상에게 동작이나 행동을 하게 하는 동사의 성질.) 3 ‘피동’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피동: 남의 힘에 의하여 움직이는 일., 주체가 다른 힘에 의하여 움직이는 동사의 성질.)
-
홈 (platform) : → 플랫폼. (플랫폼: 역에서 기차를 타고 내리는 곳., 역도에서, 바벨을 드는 사방 4미터의 각재로 만든 대., 다이빙에서, 5~10미터 높이의 준비대를 이르는 말., 컴퓨터 시스템의 기반이 되는 소프트웨어가 구동 가능한 하드웨어 구조 또는 소프트웨어 프레임 워크의 하나. 구조, 운영 체제, 프로그래밍 언어 따위를 포함한다., 정보 시스템 환경을 구축하고 개방하여 누구나 다양하고 방대한 정보를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기반 서비스.)
-
하 (夏) : 치수(治水)에 공로가 있는 우(禹)가 순제(舜帝)로부터 왕위를 물려받아 세운 중국 최초의 나라. 기원전 15세기 무렵 은(殷)나라에 망하였다.
-
해 : 그 사람의 소유물임을 나타내는 말.
-
횡 (橫) :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나 있는 방향. 또는 그 길이.
-
항 (抗) : ‘그것에 저항하는’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
-
협 (狹) : ‘협하다’의 어근. (협하다: 지대가 좁다., 성정이 너그럽지 못하고 좁다.)
-
흉 (凶) : ‘흉하다’의 어근. (흉하다: 운이 사납거나 불길하다., 생김새나 태도가 보기에 언짢거나 징그럽다., 일이 나쁘거나 궂다., 성질이 내숭스럽고 거칠다.)
-
흔 : ‘흔하다’의 어근. (흔하다: 보통보다 더 자주 있거나 일어나서 쉽게 접할 수 있다.)
-
험 : 위엄 있게 내는 큰기침 소리. 또는 그 모양.
-
혹 (惑) : ‘혹하다’의 어근. (혹하다: 홀딱 반하거나 빠져서 정신을 못 차리다.)
-
홑 : 1 짝을 이루지 아니하거나 겹으로 되지 아니한 것. 2 병이 한때에 한곳에서만 발생하는 성질.
-
행 (行) : 행렬에서, 가로로 배열된 원소들의 합.
-
호 (好) : ‘좋은’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
-
함 (咸) : 육십사괘의 하나. 태괘와 간괘가 거듭된 것으로, 산 위에 못이 있음을 상징한다.
-
형 (兄) : 1 같은 부모에게서 태어난 사이이거나 일가친척 가운데 항렬이 같은 남자들 사이에서 손윗사람을 이르거나 부르는 말. 주로 남자 형제 사이에 많이 쓴다. 2 남남끼리의 사이에서 나이가 적은 남자가 나이가 많은 남자를 정답게 이르거나 부르는 말. 3 나이가 비슷한 동료나 아랫사람의 성 뒤에 붙여 상대방을 조금 높여 이르거나 부르는 말. 주로 남자들 사이에서 쓴다.
-
휘 (諱) : 죽은 어른의 생전의 이름.
-
햄 : 목소리를 고르느라고 조금 방정스럽게 내는 기침 소리.
-
헛 : 1 ‘이유 없는’, ‘보람 없는’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 2 ‘보람 없이’, ‘잘못’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
-
헤 : 일이 순조롭게 되지 아니하거나 곤란할 때 내는 소리.
-
힁 : ‘힁하다’의 어근. (힁하다: 놀라거나 피곤하거나 또는 머리가 어지러워서 정신을 못 차릴 정도로 머리가 띵하다.)
-
햄 (ham) : 돼지고기를 소금에 절여 훈제한 가공식품. 본디는 돼지의 넓적다리 살로 만들었지만 지금은 그 외의 부분으로도 만들고 있다.
-
홰 : 화톳불을 놓는 데 쓰는 물건. 싸리, 갈대, 또는 노간주나무 따위를 묶어 불을 붙여서 밤길을 밝히거나 제사를 지낼 때에 쓴다.
-
함 (Ham) : 노아의 둘째 아들. 아프리카 흑인 함족의 조상이 되었다고 한다.
-
홀 (笏) : 1 조선 시대에, 벼슬아치가 임금을 만날 때에 손에 쥐던 물건. 조복(朝服), 제복(祭服), 공복(公服) 따위에 사용하였으며, 일품부터 사품까지는 상아홀, 오품 이하는 목홀(木笏)을 썼다. 2 혼례나 제례 때에 의식의 순서를 적은 글.
-
해 : 1 ‘당해에 난’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 2 ‘얼마 되지 않은’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