ㅌ 🌷자음(초성) 단어 127개
-
티 (T) : ‘T’ 자 모양으로 생긴 반소매 셔츠.
-
투 (套) : 말이나 글, 행동 따위에서 버릇처럼 일정하게 굳어진 본새나 방식.
🌏 套: 덮개 투 -
턱 : 1 입의 위와 아래에 있는, 발음하거나 씹는 일을 하는 기관. 위턱뼈와 아래턱뼈로 이루어져 있다. 2 사람의 입 아래에 있는 뾰족하게 나온 부분.
-
통 (通) : 편지나 서류, 전화 따위를 세는 단위.
🌏 通: 통할 통 -
태 (態) : 1 아름답고 보기 좋은 모양새. 2 겉에 나타나는 모양새. 3 일부러 꾸며 드러내려는 태도.
🌏 態: 모양 태 -
태 (胎) : 주련(柱聯), 병풍 따위를 배접할 때 끝에 모자라는 종이를 채워서 넣는 종이.
🌏 胎: 아이 밸 태 -
탈 (頉) : 1 뜻밖에 일어난 걱정할 만한 사고. 2 몸에 생긴 병. 3 핑계나 트집. ... (총 5개의 의미)
🌏 頉: 털날 탈 -
태 : 1 가을철에 논밭의 새를 쫓기 위한 매끼. 짚을 꼬아 만든 줄 끝에 삼, 말총, 짐승 가죽 따위를 매어 만드는데 이것을 둘러서 치면 그 끝이 휘감기게 되어 총소리와 같은 소리가 난다. 2 볏단이나 보릿단 따위를 개상에 메어쳐서 이삭을 떠는 일.
-
퉁 : 1 큰북이나 속이 빈 나무통 따위를 두드려 울리는 소리. 2 발로 탄탄한 곳을 세게 굴러 울리는 소리. 3 물방울이나 덩이 따위가 떨어지는 소리. ... (총 5개의 의미)
-
탐 (貪) : 1 가지거나 차지하고 싶은 마음. 2 육번뇌의 하나. 자기의 뜻에 잘 맞는 사물에 집착하는 번뇌이다.
🌏 貪: 탐할 탐 -
토 (吐) : ‘토하다’의 어근. (토하다: 먹은 것을 삭이지 못하고 도로 입 밖으로 내어놓다., 밖으로 내뿜다., 느낌이나 생각을 소리나 말로 힘 있게 드러내다.)
🌏 吐: 토할 토 -
툴 (Toul) : 프랑스 동북부에 있는 도시. 중세에는 독립된 주교 도시(主敎都市)로 번영하였으며 지금은 도자기, 포도주, 브랜디 따위의 집산지이다.
-
통 : 1 한 구역을 이루는 공간의 일정한 범위. 2 어떤 일에 뜻이 맞아 하나로 묶인 무리.
-
탱 (幀) : 부처, 보살, 성현들을 그려서 벽에 거는 그림.
🌏 幀: -
템 : 생각보다 많은 정도라는 뜻을 나타내는 말.
-
통 (統) : 시간 층서 분류 단위의 하나. 지질 시대 가운데 세(世)에 퇴적한 지층을 이른다.
🌏 統: 거느릴 통 -
터 : 1 ‘처지’나 ‘형편’의 뜻을 나타내는 말. 2 ‘예정’이나 ‘추측’, ‘의지’의 뜻을 나타내는 말.
-
타 (舵) : 배의 방향을 조종하는 장치.
🌏 舵: 키 타 -
탄 (彈) : 우리나라 성(姓)의 하나. 본관은 해주(海州), 진주(晉州) 등이 현존한다.
🌏 彈: 탄알 탄 -
탕 : 작은 것이 속이 비어 아무것도 없는 모양.
-
태 (泰) : 육십사괘의 하나. 곤괘(坤卦)와 건괘(乾卦)가 거듭한 것으로, 하늘과 땅이 사귐을 상징한다.
🌏 泰: 클 태 -
퉁 : 고수(鼓手)가 왼손으로 북 가죽을 치는 기법.
-
톨 : 밤이나 곡식의 낱알을 세는 단위.
-
통 (通) : 과거를 볼 때나 서당에서 글을 욀 때, 성적을 매기던 다섯 등급 가운데 둘째 등급.
🌏 通: 통할 통 -
탈 : 1 얼굴을 감추거나 달리 꾸미기 위하여 나무, 종이, 흙 따위로 만들어 얼굴에 쓰는 물건. 2 속뜻을 감추고 겉으로 거짓을 꾸미는 의뭉스러운 얼굴. 또는 그런 태도나 모습.
-
타 (打) : 야구에서, 실제로 타석에 들어간 횟수에서, 사구(四球)ㆍ사구(死球)ㆍ희생타 및 타격 방해에 의한 출루의 횟수를 뺀 수.
🌏 打: 칠 타 -
통 (筒/筩) : 둥글고 긴 동강으로서 속이 빈 물건.
🌏 筒: 통 통 筩: 대통 통 전동 용 -
태 : 질그릇이나 놋그릇의 깨진 금.
-
툭 : ‘툭하다’의 어근. (툭하다: 끝이 좀 뭉툭하다., 좀 거칠고 투박하다., 말소리 따위가 좀 굵다., 성질이 상냥하지 못하고 꽤 무뚝뚝하다.)
-
톱 (top) : 방적(紡績)의 중간 공정에서, 길이를 맞추어 굵은 끈과 같은 모양으로 만든 섬유 다발. 이것을 꼬아서 실을 만든다.
-
통 : 어떤 일이 벌어진 환경이나 판국.
-
톡 : 1 작은 것이 갑자기 튀거나 터지는 소리. 또는 그 모양. 2 작은 것이 갑자기 떨어지는 소리. 또는 그 모양. 3 말을 야멸치게 쏘아붙이는 모양. ... (총 10개의 의미)
-
텔 (tell) : 서남아시아에서 소아시아, 이집트의 일부에 걸쳐 들 가운데에 만들어진 인공 언덕. 신석기 시대에서 역사 시대에 이르는 장기간에 걸쳐 만들어진 것이 많아서, 고고학의 층위적 연구에 좋은 자료가 된다.
-
턱 : 좋은 일이 있을 때에 남에게 베푸는 음식 대접.
-
타 (朶) : 꽃송이나 꽃가지를 세는 단위.
🌏 朶: 늘어질 타 -
탄 : ‘탄하다’의 어근. (탄하다: 남의 일을 아랑곳하여 시비하다., 남의 말을 탓하여 나무라다.)
-
톳 : 갈조류 모자반과의 해조. 몸은 섬유상의 뿌리로 지탱되며, 줄기는 원기둥 모양이다. 늦은 여름 발아하여 겨울에 자라기 시작하여 이듬해 봄이 되면 30~100cm까지 자라서 여름에 말라 죽는다. 바닷가 바윗돌에 붙어 자라는데 채취하여 잎을 식용한다.
-
톱 (top) : 1 순서의 맨 처음. 또는 정상이나 선두. 2 신문ㆍ잡지 따위에서, 첫머리에 싣는 중요한 기사.
-
턴 (turn) : 1 수영에서, 수영장의 한쪽 끝에서 반대 방향으로 방향을 바꿈. 또는 그 동작. 2 꾸밈음의 하나. 주요음을 끼고 2도 위아래를 거쳐 다시 주요음으로 돌아오는 것을 이른다. 기호는 ‘∽, S’. 3 골프에서, 전반의 9홀을 끝내고 후반 9홀로 옮겨 침. 또는 그 일.
-
톳 : 김을 묶어 세는 단위. 한 톳은 김 100장을 이른다.
-
텅 : 1 총이나 대포 따위를 쏘는 소리. ‘떵’보다 거센 느낌을 준다. (떵: 총이나 대포 따위를 쏘는 소리.) 2 큰 쇠붙이나 단단한 물건이 세게 부딪쳐 울리는 소리. ‘떵’보다 거센 느낌을 준다. (떵: 큰 쇠붙이나 단단한 물건이 세게 부딪쳐 울리는 소리.)
-
토 : 윷놀이에서, ‘도’를 이르는 말. (도: 윷놀이에서, 윷짝의 세 개는 엎어지고 한 개만 젖혀진 경우를 이르는 말. 끗수는 한 끗으로 친다., 윷판의 첫 번째 자리. 윷놀이를 시작하여 ‘「1」’이 나왔을 때 말을 놓는 자리이다.)
-
토 : 1 간장을 졸일 때에 위에 떠오르는 찌꺼기. 2 간장을 담은 그릇의 밑바닥에 가라앉는 된장 부스러기.
-
탐 (Tamm, Igor Yevgenevich) : 소련의 물리학자(1895~1971). 수소 폭탄을 제조하는 데 지도적 역할을 하였다. 체렌코프(Cherenkov) 효과에 관한 이론적 연구로 1958년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다.
-
톡 : 골패로 하는 노름의 하나.
-
탄 (炭) : 1 태고 때의 식물질이 땅속 깊이 묻히어 오랫동안 지압과 지열을 받아 차츰 분해하여 생긴, 타기 쉬운 퇴적암. 검은색 또는 검은 갈색을 띠며 탄소ㆍ산소ㆍ수소를 주성분으로 하는데 약간의 유황과 많은 양의 회분(灰分)과 수분이 들어 있다. 탄화 정도에 따라 토탄, 갈탄, 역청탄, 무연탄 따위로 나뉘며 연료 또는 화학 공업 재료로 널리 쓰인다. 2 주원료인 무연탄과 코크스, 목탄 따위의 가루에 피치(pitch), 해조(海藻), 석회(石灰) 따위의 점결제(粘結劑)를 섞어서 굳혀 만든 연료. 여러 가지 모양이 있는데, 보통은 잘 타게 하기 위하여 상하로 통하는 여러 개의 구멍을 뚫는다.
🌏 炭: 숯 탄 -
통 : 1 ‘온통’의 뜻을 나타내는 말. 2 ‘전혀’, ‘도무지’의 뜻을 나타내는 말.
-
퉁 : → 창병. (창병: 피부에 나는 질병을 통틀어 이르는 말. 심하면 고름이 생기고 짓무른다.)
-
툭 : 1 갑자기 튀거나 터지는 소리. 또는 그 모양. 2 갑자기 떨어지는 소리. 또는 그 모양. 3 말을 퉁명스럽게 쏘아붙이는 모양. ... (총 9개의 의미)
-
탕 (湯) : 1 ‘국’의 높임말. (국: 고기, 생선, 채소 따위에 물을 많이 붓고 간을 맞추어 끓인 음식.) 2 제사에 쓰는, 건더기가 많고 국물이 적은 국. 소탕, 어탕, 육탕 따위가 있다.
🌏 湯: 끓일 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