ㅊ ㅈ 🌷자음(초성) 단어 978개
-
천정 (天井) : → 천장. (천장: 반자의 겉면.)
🌏 天: 하늘 천 井: 우물 정 -
초준 (初準) : 조판한 뒤에 처음으로 보는 교정 또는 그 교정 인쇄.
🌏 初: 처음 초 準: 법도 준 -
청줄 (淸줄) : 거문고의 괘상청, 괘하청, 문현을 통틀어 이르는 말.
🌏 淸: 맑을 청 -
천정 (泉亭) : 샘터에 세운 정자(亭子).
🌏 泉: 샘 천 亭: 정자 정 -
착진 (錯陳) : 뒤섞여 늘어섬. 또는 뒤섞어 늘어놓음.
🌏 錯: 섞일 착 陳: 늘어놓을 진 -
치저 (雉菹) : 꿩을 삶은 물과 동치미 국물을 똑같이 타고 삶은 꿩고기를 넣은 음식.
🌏 雉: 꿩 치 菹: 김치 저 -
치중 (輜重) : 1 군대의 여러 가지 물품을 통틀어 이르는 말. 탄약, 식량, 장막, 피복 따위를 이른다. 2 말이나 수레에 실은 짐.
🌏 輜: 짐수레 치 重: 무거울 중 중요할 중 점잖을 중 삼갈 중 어려울 중 거듭 중 아낄 중 숭상할 중 -
첩적 (諜賊) : 몰래 형편을 살피는 도둑. 또는 도둑의 첩자.
🌏 諜: 염탐할 첩 賊: 도둑 적 -
천정 (天頂) : 지구 표면의 관측 지점에서 연직선을 위쪽으로 연장했을 때 천구(天球)와 만나는 점.
🌏 天: 하늘 천 頂: 정수리 정 -
침자 (針子) : 옷 따위를 짓거나 꿰매는 데 쓰는, 가늘고 끝이 뾰족한 쇠로 된 물건. 한쪽 끝에 있는 작은 구멍에 실을 꿰어서 쓴다.
🌏 針: 바늘 침 子: 아들 자 -
초종 (初終) : 초상이 난 뒤부터 졸곡까지 치르는 온갖 일이나 예식.
🌏 初: 처음 초 終: 마칠 종 -
칠정 (七政) : 1 큰곰자리에서 국자 모양을 이루며 가장 뚜렷하게 보이는 일곱 개의 별. 이름은 각각 천추(天樞), 천선(天璇), 천기(天璣), 천권(天權), 옥형(玉衡), 개양(開陽), 요광(搖光)이라 하며 앞의 네 별을 괴(魁), 뒤의 세 별을 표(杓)라 하고 합하여 두(斗)라 한다. 위치는 천구(天球)의 북극에서 약 30도 떨어져 있으며, 천추와 천선을 일직선으로 연결한 곳에서부터 그 길이의 다섯 배만큼 떨어진 거리에 북극성이 있다. 국자의 자루 끝에 있는 요광은 하루에 열두 방위를 가리키므로 옛날에는 시각(時刻)의 측정이나 항해의 지침으로 삼았다. 2 이십팔수 가운데 동ㆍ서ㆍ남ㆍ북에 각각 있는 일곱 개의 별자리. 3 태양, 달, 화성, 수성, 목성, 금성, 토성을 통틀어 이르는 말.
🌏 七: 일곱 칠 政: 정사 정 -
초자 (超資) : 벼슬의 품계를 건너뛰어 올림.
🌏 超: 넘을 초 資: 재물 자 -
철조 (凸彫) : 조각에서, 평평한 면에 글자나 그림 따위를 도드라지게 새기는 일.
🌏 凸: 볼록할 철 彫: 새길 조 -
차제 (差祭) : 나라의 제사를 지내는 제관(祭官)으로 임명하던 일.
🌏 差: 어그러질 차 祭: 제사 제 -
치적 (峙積) : 높이 쌓임. 또는 높이 쌓음.
🌏 峙: 우뚝솟을 치 積: 쌓을 적 -
칙제 (勅祭) : 칙명으로 지내는 제사.
🌏 勅: 조서 칙 祭: 제사 제 -
초좌 (草座) : 법회 때에 장로(長老)가 앉는 깔개. 본디 석가모니가 보리수 아래서 성도할 때에 길상초를 깔고 앉은 데서 유래한다.
🌏 草: 풀 초 座: 자리 좌 -
창졸 (倉卒) : 미처 어찌할 사이 없이 매우 급작스러움.
🌏 倉: 곳집 창 卒: 마칠 졸 -
체자 (帖子) : 돈을 받은 표. 곧 영수증.
🌏 帖: 체지 체 子: 아들 자 -
췌장 (膵臟) : 배안의 뒤쪽에 가로로 길쭉하게 자리한 기관. 소화 효소를 포함한 이자액은 샘창자로 보내고 인슐린 따위의 호르몬을 분비한다. 오른쪽은 샘창자의 고리에 꽉 붙어 있고 왼쪽은 지라까지 뻗어 있다.
🌏 膵: 췌장 췌 臟: 오장 장 -
청직 (淸直) : ‘청직하다’의 어근. (청직하다: 성품이 청렴하고 정직하다.)
🌏 淸: 맑을 청 直: 곧을 직 -
축주 (祝酒) : 축하하는 뜻을 나타내기 위하여 함께 마시는 술.
🌏 祝: 빌 축 酒: 술 주 -
채장 (菜腸) : 늘 채식을 하는 습관에 길든 위와 창자.
🌏 菜: 나물 채 腸: 창자 장 -
차지 (遮止) : 막아서 못하게 함.
🌏 遮: 막을 차 止: 그칠 지 -
초지 (初持) : 1 맥을 짧은 시간 짚어 보는 일. 일반적으로 맥은 1분 정도 짚어 보는데, 이보다 짧은 시간 짚어 보는 것을 이른다. 2 맥을 짚을 때에 먼저 손끝을 촌구 부위에 가볍게 대어 보는 일. 부맥을 가려볼 수 있다.
🌏 初: 처음 초 持: 가질 지 -
촉장 (促裝) : 서둘러 행장(行裝)을 챙김.
🌏 促: 재촉할 촉 裝: 꾸밀 장 -
창조 (倉曹) : 고려 초기에, 민관에 속하여 창곡(倉穀) 사무를 맡아보던 관아. 성종 14년(995)에 상서창부로 고쳤다.
🌏 倉: 곳집 창 曹: 무리 조 -
천주 (薦主) : 어떤 사람을 추천하여 준 사람.
🌏 薦: 드릴 천 主: 주인 주 -
찬좌 (贊佐) : 어떤 일의 뜻에 찬동하여 도와줌.
🌏 贊: 도울 찬 佐: 도울 좌 -
층제 (層梯) : 계단이 많은 사다리.
🌏 層: 층 층 梯: 사다리 제 -
청저 (靑菹) : 1 봄가을에 새로 나온 열무나 어린 배추로 담근 김치. 2 제사상에 올리는 무김치. 두(豆)에 담는다.
🌏 靑: 푸를 청 菹: 김치 저 -
척지 (尺地) : 1 얼마 안 되는 좁은 땅. 2 아주 가까운 곳.
🌏 尺: 자 척 地: 땅 지 -
침재 (沈滓) : 액체 속에 있는 물질이 밑바닥에 가라앉음. 또는 그 물질.
🌏 沈: 잠길 침 滓: 찌꺼기 재 찐득찐득해쉽게응결하는물질 재 더러운생각이나감정 재 더러울 재 오염될 재 -
철제 (鐵蹄) : 1 말굽에 대어 붙이는 ‘U’ 자 모양의 쇳조각. 2 침략자의 탄압이나 전제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鐵: 쇠 철 蹄: 굽 제 -
청적 (淸適) : ‘청적하다’의 어근. (청적하다: 기분이 상쾌하고 개운하다.)
🌏 淸: 맑을 청 適: 갈 적 -
창종 (瘡腫) : 1 헌데가 생겨서 부은 것. 2 헌데나 부스럼.
🌏 瘡: 부스럼 창 腫: 부스럼 종 -
초자 (硝子) : 석영, 탄산 소다, 석회암을 섞어 높은 온도에서 녹인 다음 급히 냉각하여 만든 물질. 투명하고 단단하며 잘 깨진다.
🌏 硝: 초석 초 子: 아들 자 -
참절 (斬截) : 목을 베고 팔다리를 끊음.
🌏 斬: 벨 참 截: 끊을 절 -
초작 (焦灼) : 1 불에 타거나 태움. 2 근심하거나 안타까워 속이 몹시 탐. 또는 속을 몹시 태움.
🌏 焦: 그을릴 초 灼: 사를 작 -
천제 (天際) : 하늘의 끝.
🌏 天: 하늘 천 際: 가 제 -
측적 (測積) : 넓이나 부피를 잼.
🌏 測: 잴 측 積: 쌓을 적 -
철지 (掣摯) : 여러 부대(負袋) 가운데에서 한 부대의 물건만 마음대로 가져다가 검사함.
🌏 掣: 당길 철 摯: 잡을 지 -
청진 (淸眞) : ‘청진하다’의 어근. (청진하다: 마음이 깨끗하고 거짓이 없다.)
🌏 淸: 맑을 청 眞: 참 진 -
치정 (治定) : 잘 다스려 안정시킴.
🌏 治: 다스릴 치 定: 정할 정 -
초자 (超雌) : 초파리에서 세 개의 엑스(x) 염색체와 두 쌍의 정상적인 보통 염색체를 가진 개체. 표현형은 거의 암컷이나 생식 능력이 없다.
🌏 超: 넘을 초 雌: 암컷 자 -
총중 (悤中) : 경황없이 여러 가지로 바쁜 가운데.
🌏 悤: 바쁠 총 中: 가운데 중 -
첩지 (疊至) : 거듭하여 이름.
🌏 疊: 겹쳐질 첩 至: 이를 지 -
청정 (淸淨) : 1 맑고 깨끗함. 2 맑고 깨끗하게 함. 3 나쁜 짓으로 지은 허물이나 번뇌의 더러움에서 벗어나 깨끗함. ... (총 4개의 의미)
🌏 淸: 맑을 청 淨: 깨끗할 정 -
철주 (鐵舟) : 쇠로 만든 작은 배.
🌏 鐵: 쇠 철 舟: 배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