ㅈ ㅎ 🌷자음(초성) 단어 1,020개
-
제현
(諸賢)
:
여러 점잖은 분들.
🌏 諸: 모든 제 賢: 어질 현 -
정현
(正弦)
:
‘사인’의 전 용어. (사인: 직각 삼각형의 빗변에 대한 한 예각의 대변과의 비를 그 각에 대하여 이르는 말.)
🌏 正: 바를 정 弦: 시위 현 -
적화
(赤禍)
:
공산주의에 의한 재난.
🌏 赤: 붉을 적 禍: 재앙 화 -
직효
(直效)
:
→ 즉효_(卽效). (즉효: 곧 반응을 보이는, 약 따위의 효험., 어떤 일에 바로 나타나는 좋은 반응.)
🌏 直: 곧을 직 效: 본받을 효 -
적확
(的確)
:
‘적확하다’의 어근. (적확하다: 정확하게 맞아 조금도 틀리지 아니하다.)
🌏 的: 과녁 적 確: 굳을 확 -
잠행
(暫行)
:
임시로 정하여 시행함.
🌏 暫: 잠시 잠 行: 다닐 행 -
중흥
(中興)
:
쇠퇴하던 것이 중간에 다시 일어남. 또는 다시 일어나게 함.
🌏 中: 가운데 중 興: 일어날 흥 -
징후
(徵候)
:
겉으로 나타나는 낌새.
🌏 徵: 부를 징 候: 기후 후 -
정한
(精悍)
:
‘정한하다’의 어근. (정한하다: 날쌔고 용감하다.)
🌏 精: 찧을 정 悍: 사나울 한 -
종학
(宗學)
:
조선 시대에, 왕족의 교육을 맡아보던 관아. 세종 10년(1428)에 설치하여 연산군 때 없앤 것을 중종 때에 다시 두었다가 그 뒤에 없앴다.
🌏 宗: 마루 종 學: 배울 학 -
조화
(造花)
:
종이, 천, 비닐 따위를 재료로 하여 인공적으로 만든 꽃.
🌏 造: 지을 조 花: 꽃 화 -
절효
(節孝)
:
1
절조(節操)와 효성을 아울러 이르는 말.
2
젊어서 남편과 사별한 부인이 재가하지 아니하고 시부모를 잘 모심.
🌏 節: 마디 절 孝: 효도 효 -
자하
(疵瑕)
:
어떤 사물의 모자라거나 잘못된 부분.
🌏 疵: 흠 자 瑕: 티 하 -
진화
(秦火)
:
중국의 시황제가 유학(儒學)과 제자백가의 서적을 불태운 일.
🌏 秦: 벼 이름 진 火: 불 화 -
잔흔
(殘痕)
:
남은 흔적.
🌏 殘: 쇠잔할 잔 痕: 흉터 흔 -
잠학
(蠶學)
:
누에고치 생산에 관한 모든 이론과 실제적 문제를 연구하는 학문.
🌏 蠶: 누에 잠 學: 배울 학 -
존현
(尊顯)
:
‘존현하다’의 어근. (존현하다: 지위가 높고 이름이 드러나 있다.)
🌏 尊: 높을 존 顯: 나타날 현 -
장획
(臧獲)
:
예전에, 남의 집에 딸려 천한 일을 하던 사람.
🌏 臧: 착할 장 獲: 얻을 획 -
절후
(節候)
:
한 해를 스물넷으로 나눈, 계절의 표준이 되는 것.
🌏 節: 마디 절 候: 기후 후 -
정혼
(定婚)
:
혼인을 정함.
🌏 定: 정할 정 婚: 혼인할 혼 -
자한
(自汗)
:
깨어 있는 상태에서 저절로 땀이 많이 흐름. 또는 그런 병.
🌏 自: 스스로 자 汗: 땀 한 -
집합
(緝合)
:
주워 모아서 합함.
🌏 緝: 모을 집 合: 합할 합 -
중환
(重患)
:
목숨이 위태로울 정도로 몹시 앓는 병.
🌏 重: 무거울 중 중요할 중 점잖을 중 삼갈 중 어려울 중 거듭 중 아낄 중 숭상할 중 患: 근심 환 -
주형
(主刑)
:
1
독립하여 과(科)할 수 있는 형벌. 부가형(附加刑)과 구별되는 개념으로, 형벌의 종류에는 사형ㆍ징역ㆍ금고(禁錮)ㆍ자격 상실ㆍ자격 정지ㆍ벌금ㆍ구류ㆍ과료(科料)ㆍ몰수의 9종을 인정하고 있다.
2
형법 대전에 규정하였던 사형, 유형(流刑), 역형(役刑), 금옥(禁獄), 태형(笞刑)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
🌏 主: 주인 주 刑: 형벌 형 -
장하
(長夏)
:
1
해가 긴 여름.
2
음력 6월을 달리 이르는 말.
🌏 長: 길 장 夏: 여름 하 -
자해
(字解)
:
글자에 대한 해석. 주로 한자에 대하여 이른다.
🌏 字: 글자 자 解: 풀 해 -
전황
(錢荒)
:
돈이 잘 융통되지 아니하여 귀함.
🌏 錢: 돈 전 荒: 거칠 황 -
주후
(晝後)
:
정오(正午)부터 밤 열두 시까지의 시간.
🌏 晝: 낮 주 後: 뒤 후 -
지협
(地峽)
:
두 개의 육지를 연결하는 좁고 잘록한 땅. 아시아와 아프리카 대륙을 연결하는 수에즈, 남아메리카와 북아메리카 사이의 파나마, 그리스의 코린트 따위가 있다.
🌏 地: 땅 지 峽: 골짜기 협 -
주훈
(酒醺)
:
취기(醉氣)가 돎. 또는 취하여 기분이 좋아짐.
🌏 酒: 술 주 醺: 취할 훈 -
재화
(財貨)
:
1
사람이 바라는 바를 충족시켜 주는 모든 물건. 이것을 획득하는 데에 대가가 필요한 것을 경제재라고 하며, 필요하지 않은 것을 자유재라고 한다.
2
절도, 강도, 사기, 횡령 따위의 재산 범죄의 대상이 되는 물건. 주로 형법(刑法)에서 사용하는 용어이다.
🌏 財: 재물 재 貨: 재화 화 -
정후
(偵候)
:
드러나지 않은 사정을 몰래 살펴 알아냄. 또는 그런 일을 하는 사람.
🌏 偵: 염탐할 정 候: 기후 후 -
지혈
(止血)
:
나오던 피가 멈춤. 또는 나오던 피를 멈춤.
🌏 止: 그칠 지 血: 피 혈 -
제혁
(製革)
:
짐승의 생가죽을 다루어 제품으로 만듦.
🌏 製: 지을 제 革: 가죽 혁 -
자화
(雌花)
:
수술은 없고 암술만 있는 꽃. 밤나무, 호박 따위의 꽃이 있다.
🌏 雌: 암컷 자 花: 꽃 화 -
정확
(精確)
:
자세하고 확실함.
🌏 精: 찧을 정 確: 굳을 확 -
전훈
(電訓)
:
상급 관청이 하급 관청에 전보로 보내는 훈령.
🌏 電: 번개 전 訓: 가르칠 훈 -
제호
(醍醐)
:
우유에 갈분을 타서 미음같이 쑨 죽.
🌏 醍: 맑은 술 제 醐: 타락죽 호 -
지화
(指畫)
:
붓 대신 손끝 혹은 손톱에 먹물을 묻혀 그리는 그림.
🌏 指: 가리킬 지 畫: 그림 화 -
적화
(積禍)
:
거듭된 재난. 또는 온갖 재난.
🌏 積: 쌓을 적 禍: 재앙 화 -
조한
(藻翰)
:
1
아름다운 깃털.
2
품위가 있게 꾸민 아름다운 문장.
3
아담하고 품위가 있는 편지.
🌏 藻: 마름 조 翰: 날개 한 줄기 한 금계 한 흰색 한 붓 한 높다 한 문장 한 성 한 -
장하
(裝荷)
:
전화의 통화 상태를 좋게 하기 위하여 인공적으로 선로에 부가한 유도량을 증가시켜 선로 손실을 경감하는 것.
🌏 裝: 꾸밀 장 荷: 연 하 -
정현
(旌顯)
:
남의 선행을 세상에 드러내어 알림.
🌏 旌: 기 정 顯: 나타날 현 -
자행
(自行)
:
1
자기의 수행.
2
스스로 행함.
🌏 自: 스스로 자 行: 다닐 행 -
적화
(敵貨)
:
적의 화물. 또는 적성(敵性)을 띤 화물.
🌏 敵: 원수 적 貨: 재화 화 -
전하
(殿下)
:
1
조선 시대에, 왕을 높여 이르거나 부르던 말.
2
‘추기경’을 높여 이르는 말. (추기경: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교황 다음가는 성직. 교황의 최고 고문으로 교회 행정과 교황 선출에 관여한다.)
🌏 殿: 큰 집 전 下: 아래 하 -
전희
(前戲)
:
1
이전의 장난.
2
성교(性交) 전에 하는 애무.
🌏 前: 앞 전 戲: 놀 희 -
좌험
(左驗)
:
사건이 일어날 당시에 그 곁에 있어 그 일을 증명할 만한 사람.
🌏 左: 왼쪽 좌 驗: 시험 험 -
조협
(皁莢)
:
쥐엄나무의 열매를 말린 한약재. 성질이 따뜻하고 맛은 시고 짜며 약간의 독이 있다. 중풍이나 마비의 치료와 가래를 없애는 데 쓴다.
🌏 皁: 검을 조 莢: 꼬투리 협 -
지호
(指呼)
:
손짓하여 부름.
🌏 指: 가리킬 지 呼: 부를 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