ㅇ ㄱ ㅈ 🌷자음(초성) 단어 321개
-
어기적 : ‘어기적거리다’의 어근. (어기적거리다: 음식 따위를 입 안에 가득 넣고 천천히 씹어 먹다.)
-
인 광재 (燐鑛滓) : 인회석에 규석과 코크스를 섞어서 전기로법(電氣爐法)으로 인을 만들 때 얻어지는 찌꺼기. 기본 조성은 메타규산 칼슘이며 무수 인산을 2~3% 포함하는 유리질로, 규산질 비료로 이용할 수 있으며 시멘트 골재로도 쓰인다.
-
애국적 (愛國的) : 1 자기 나라를 사랑하는 것. 2 자기 나라를 사랑하는.
-
연급제 (年給制) : 1년을 단위로 급료를 계산하여 주는 제도.
-
인계전 (印契錢) : 중국에서, 매매 계약 성립과 동시에 관아에 바치던 세금.
-
역격자 (逆格子) : 엑스선 구조 해석을 쉽게 하기 위하여 이끌어 낸 추상적인 결정격자.
-
엽기적 (獵奇的) : 1 비정상적이고 괴이한 일이나 사물에 흥미를 느끼는 것. 2 비정상적이고 괴이한 일이나 사물에 흥미를 느끼는.
-
월간지 (月刊誌) : 한 달에 한 번씩 발행하는 잡지.
-
울골질 : 지긋지긋하게 으르며 덤비는 짓.
-
영객전 (領客典) : 신라 때 외국 사신의 접대를 맡아보던 관아. 진평왕 43년(621)에 ‘영객부’를 고친 것이다. (영객부: 신라 때 외국 사신의 접대를 맡아보던 관아. ‘왜전’(倭典)을 고친 것으로, 진평왕 43년(621)에 ‘영객전’으로 고치고, 경덕왕 때 ‘사빈부’로 고쳤다가, 혜공왕 때 다시 이 이름으로 고쳤다. (왜전: 신라 때에, 외국 사신의 영접을 맡아보던 관아. 뒤에 영객부로 고쳤다.))
-
외교적 (外交的) : 1 외교에 관한 것. 2 외교에 관한.
-
오구족 (五具足) : 부처 앞에 놓는 다섯 개의 공양 도구. 촛대 두 개, 화병 두 개, 향로 하나이다.
-
이경직 (李景稷) : 조선 인조 때의 문신(1577~1640). 자는 상고(尙古). 호는 석문(石門). 회답사(回答使) 오윤겸을 따라 일본에 다녀왔으며, 폐비론이 일어나자 이에 반대하고 고향에 내려갔다. 정묘호란 때 병조 참판이 되어 임금을 강화에 호종하였고, 병자호란 때에는 남한산성으로 임금을 호종하고 후에 호조 판서 등을 지냈다.
-
은군자 (隱君子) : 1 재능은 있으나 부귀공명을 구하지 아니하고 세상을 피하여 사는 사람. 2 몰래 몸을 파는 여자를 속되게 이르는 말. 3 ‘국화’를 달리 이르는 말. (국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1미터 정도이며, 주로 가을에 꽃이 피는데 꽃 모양이나 빛깔은 여러 가지이다. 꽃의 크기에 따라 대국, 중국, 소국으로 나눈다. 오래전부터 관상용으로 재배한다. 전 세계에 20여 종이 분포하고 많은 품종이 개발되었다. 우리나라에는 감국, 산국, 산구절초, 울릉국화 따위의 야생종이 10여 종 있다.,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높이가 30~60cm이며, 잎은 어긋나고 깃 모양으로 갈라진다. 10~11월에 노란 두상화가 가지 끝에 모여 핀다. 어린잎은 식용하고 꽃은 약용하거나 말려서 술에 넣는다. 길가나 산기슭에서 자라는데 한국,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화투에서, 국화의 모양이 그려져 있는 화투장. 9월이나 아홉 끗을 나타낸다.)
-
인과적 (因果的) : 1 원인과 결과 관계를 파악하는 것. 2 원인과 결과 관계를 파악하는.
-
인감질 (人疳疾) : 필요할 때에 쓸 사람이 없어서 애타는 일.
-
연갑자 (年甲者) : 어떤 범위에 속하는 나이. 또는 그런 나이의 사람. 주로 성인에 대하여 이른다.
-
요고전 (腰鼓田) : 장구 모양과 같이 가운데가 잘록하게 생긴 논배미.
-
올감지 : → 올가미. (올가미: 새끼나 노 따위로 옭아서 고를 내어 짐승을 잡는 장치., 사람이 걸려들게 만든 수단이나 술책.)
-
우군주 (右軍主) : 신라 때에, 진영(鎭營)에 둔 군대 사령관의 하나.
-
윗거죽 : 물체의 위쪽 거죽.
-
원격조 (遠隔調) : 조를 바꿀 때 멀리 떨어져 있는 조.
-
우곡정 (雨谷停) : 신라 때에 둔, 육기정의 하나. 지금의 경주 부근에 둔 행정 구역으로, 경덕왕 때 북기정으로 고쳤다.
-
인간질 (人間질) : 사람 노릇을 속되게 이르는 말.
-
유구장 (油具匠) : 기름을 먹인 도구를 만드는 일을 맡아 하던 사람.
-
용골좌 (龍骨座) : 돛자리와 날치자리 사이에 있는 별자리. 아르고자리를 넷으로 나눈 것 가운데 하나로, 3월 하순에 자오선을 통과한다. 알파성은 남극노인성이다.
-
연광정 (練光亭) : 평양의 대동강(大同江) 가에 있는 누각. 관서 팔경의 하나로 대동강을 내려다볼 수 있는 덕암(德巖)이라는 바위 위에 있다. 조선 중종 때 허굉(許硡)이 건립하였다.
-
유기적 (有機的) : 1 생물체처럼 전체를 구성하고 있는 각 부분이 서로 밀접하게 관련을 가지고 있어서 떼어 낼 수 없는 것. 2 생물체처럼 전체를 구성하고 있는 각 부분이 서로 밀접하게 관련을 가지고 있어서 떼어 낼 수 없는.
-
이급증 (裏急症) : 이질의 증상. 배변하기 전에는 배가 아프고 급하여 참기 어려우며 일단 배변을 하더라도 시원하게 되지 않고 뒤가 묵직한 느낌이 있다.
-
일기장 (日記帳) : 1 그날그날 겪은 일이나 생각, 느낌 따위를 적는 장부. 2 날마다 발생하는 거래 내용을 순서대로 기록하는 장부.
-
요구자 (要求者) : 얻으려고 청하는 사람.
-
인가제 (認可制) : 법적으로 인가해야만 어떤 일을 할 수 있는 제도.
-
약국집 (藥局집) : 약국을 영업하거나 관리하는 집. 또는 그런 사람.
-
옹고집 (壅固執) : 억지가 매우 심하여 자기 의견만 내세워 우기는 성미. 또는 그런 사람.
-
연골종 (軟骨腫) : 연골 세포가 비정상적으로 증식함으로써 일어나는 양성 종양.
-
악감정 (惡感情) : 남에게 품는 나쁜 감정.
-
업계지 (業界紙) : 어떤 특정한 업계를 대상으로 그 업계에 대한 정보만을 취급하여 발행하는 신문. 의사 시보, 경제 시보 따위를 이른다.
-
앞가지 : 길마의 앞부분이 되는 편자 모양의 나무.
-
육간장 (肉간醬) : 고기를 넣어 만든 간장.
-
옹기점 (甕器店) : 1 옹기를 만드는 곳. 2 옹기를 파는 가게.
-
옷가지 : 몇 가지의 옷. 또는 몇 벌의 옷.
-
아교장 (阿膠匠) : 예전에, 중앙 관아에 속하여 아교를 만드는 일을 맡아 하던 사람.
-
안경집 (眼鏡집) : 안경을 넣는 갑.
-
임계점 (臨界點) : 물질의 구조와 성질이 다른 상태로 바뀔 때의 온도와 압력. 평형 상태의 두 물질이 하나의 상(相)을 이룰 때나 두 액체가 완전히 일체화할 때의 온도와 압력을 이른다.
-
유공전 (有孔錢) : 구멍 뚫린 엽전.
-
이기죽 : ‘이기죽거리다’의 어근. (이기죽거리다: 자꾸 밉살스럽게 지껄이며 짓궂게 빈정거리다.)
-
익공집 (翼工집) : 기둥 위에 익공을 얹어 지은 집.
-
유격전 (遊擊戰) : 적의 배후나 측면을 소규모의 유격대가 기습ㆍ교란ㆍ파괴하는 전투.
-
왕고장 (王考丈) : 죽은 남의 할아버지를 높여 이르는 말.
-
육감적 (肉感的) : 1 성적인 느낌을 주는 것. 2 성적인 느낌을 주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