ㅅ ㅎ 🌷자음(초성) 단어 1,118개
-
수화 (水禍) : 장마나 홍수로 인한 피해.
-
수형 (數型) : 어떤 숫자의 계열을 생각할 때에 표상(表象)되는, 숫자의 공간적 배열의 모양. 수형을 지니고 있는 사람은 전화번호나 역사의 연대를 잘 왼다.
-
성학 (星學) : 우주의 구조, 천체의 생성과 진화, 천체의 역학적 운동, 거리ㆍ광도ㆍ표면 온도ㆍ질량ㆍ나이 등 천체의 기본 물리량 따위를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학문.
-
설하 (泄下) : 1 변에 포함된 수분의 양이 많아져서 변이 액상(液狀)으로 된 경우. 또는 그 변. 소화 불량이나 세균 감염으로 인해 장에서 물과 염분 따위가 충분히 흡수되지 않을 때나 소장이나 대장으로부터의 분비액이 늘어나거나 장관(腸管)의 꿈틀 운동이 활발해졌을 때 일어난다. 2 사기(邪氣)를 아래로 빼내는 치료 방법.
-
실함 (실函) : 여러 가지 실테나 실패를 넣어 두는 자그마한 함.
-
삼학 (三學) : 불교를 배워 진리를 깨닫기 위해서 반드시 닦아야 하는 세 가지 내용. 계학, 정학, 혜학이다.
-
상활 (爽闊) : ‘상활하다’의 어근. (상활하다: 느낌이 시원하고 산뜻하다.)
-
신하 (臣下) : 임금을 섬기어 벼슬하는 사람.
-
삼행 (三行) : 1 부모를 섬기는 세 가지 도리. 봉양하는 일, 상사(喪事)에 근신하는 일, 제사를 받드는 일을 이른다. 2 신랑이 세 번째로 처가에 인사하러 감. 또는 그 인사.
-
상힐 (相詰) : 서로 트집을 잡아 비난함.
-
신후 (信厚) : ‘신후하다’의 어근. (신후하다: 믿음직하고 덕이 두텁다.)
-
상호 (相好) : 부처의 몸에 갖추어진 훌륭한 용모와 형상. 부처의 화신에는 뚜렷해서 보기 쉬운 32가지의 상과 미세해서 보기 어려운 80가지의 호가 있다.
-
소환 (召喚) : 법원이 피고인, 증인, 변호인, 대리인 따위의 소송 관계인에게 소환장을 발부하여, 공판 기일이나 그 밖의 일정한 일시에 법원 또는 법원이 지정한 장소에 나올 것을 명령하는 일.
-
산하 (傘下) : 어떤 조직체나 세력의 관할 아래.
-
실혈 (失血) : 1 궁중에서, ‘낙태’를 이르던 말. (낙태: 태아가 달이 차기 전에 죽어서 나옴. 인공 유산과 자연 유산이 있다., 자연 분만 시기 이전에 태아를 모체에서 분리하는 일. 또는 그 태아.) 2 피가 자꾸 나와서 그치지 아니함.
-
수합 (守閤) : 의정(議政)이 긴급한 일로 임금에게 만나기를 청한 뒤에, 그 답이 있을 때까지 편전(便殿)의 문을 떠나지 아니하던 일.
-
수화 (水花) : ‘수두’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 (수두: 어린아이의 피부에 붉고 둥근 발진이 났다가 얼마 뒤에 작은 물집으로 변하는 바이러스 전염병.)
-
사화 (史畫) : 역사상의 정경 또는 인물 따위를 소재로 하여 그린 그림.
-
서향 (瑞香) : 팥꽃나뭇과의 상록 관목. 높이는 1미터 정도이며, 잎은 어긋나고 타원형인데 두껍고 광택이 난다. 3~4월에 흰색 또는 붉은 자주색 꽃이 두상(頭狀) 화서로 전년생의 가지 끝에 모여 피나 대개 수나무라 열매를 맺지 못한다. 중국이 원산지로 우리나라에서는 남부 지방에서 재배한다.
-
소혈 (巢穴) : 나쁜 짓을 하는 도둑이나 악한 따위의 무리가 활동의 본거지로 삼고 있는 곳.
-
선현 (善現) : 색계 사선천의 여덟째 하늘. 천중(天衆)의 선하고 묘한 인과응보(因果應報)가 나타나므로 이렇게 이른다.
-
수형 (手形) : ‘어음’의 전 용어. (어음: 일정한 금액을 일정한 날짜와 장소에서 치를 것을 약속하거나 제삼자에게 그 지급을 위탁하는 유가 증권. 약속 어음과 환어음이 있다.)
-
시황 (視黃) : 로돕신이 광선의 영향을 받아 분해되어, 빛깔이 노랗게 변화한 물질. 이 변화가 간상체(桿狀體) 세포를 자극하여 그 자극이 시각 신경 세포로 전달되어 명암을 식별하게 된다. 어두운 곳에서 다시 로돕신이 된다.
-
사혁 (謝赫) : 중국 남제(南齊) 말엽의 화가(?~?). 섬세한 필치의 인물화에 뛰어났으며, 그의 저서 ≪고화품록≫은 후세의 화론(畫論)에 큰 영향을 주었다.
-
소호 (消弧) : 아크 방전을 없애는 일.
-
상합 (上合) : 내행성이 태양을 사이에 두고 지구와 한 직선 위에 놓이는 현상.
-
송화 (送話) : 전화로 상대편에게 말을 보냄.
-
생환 (生還) : 1 야구에서, 주자가 본루에 돌아와 득점함. 2 살아서 돌아옴.
-
심현 (深玄) : ‘심현하다’의 어근. (심현하다: 이치 따위가 매우 깊고 아득하다.)
-
승환 (承歡) : 사람의 기분을 맞추어 기쁘게 함.
-
석혈 (石穴) : 광물이 바위 속에 든 광산.
-
소회 (紹恢) : 선대(先代)의 사업을 이어받아 더 크게 확대함.
-
산험 (山險) : 산의 험하고 가파름.
-
상회 (常會) : 늘 일정한 때를 정하여 여는 모임.
-
사화 (死火) : 1 꺼진 불. 2 큰 화재가 꺼짐과 같다는 뜻으로, 사람의 죽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수화 (水化) : 1 물의 작용으로 암석과 광물이 변함. 2 어떤 물질이 물과 회합하거나 결합하여 수화물이 되는 현상.
-
삼형 (三形) : 지형의 세 가지 형태. 고지(高地), 하지(下地), 평지(平地)를 이른다.
-
산후 (産後) : 아이를 낳은 뒤.
-
선학 (先學) : 학문에서의 선배.
-
사혼 (死婚) : 처녀와 총각의 영혼끼리 시키는 혼인.
-
세환 (細環) : 귀고리의 둥근 고리 부분이 가늘고 작은 것.
-
산형 (山形) : 산의 생김새.
-
순활 (順滑) : ‘순활하다’의 어근. (순활하다: 모난 데가 없고 원만하다., 거침이 없이 잘 나가는 상태에 있다.)
-
사혈 (四穴) : 앞면에 구멍 셋, 뒷면에 구멍 하나가 뚫린 퉁소. 대나무나 상아 따위로 만든다.
-
사행 (蛇行) : 1 뱀이 구불구불 기어가는 것처럼 몸을 구부리고 엉금엉금 걸어감. 2 물이 굽이쳐 흘러감. 또는 그 흐름이나 물.
-
심홍 (深紅) : 아주 짙은 다홍색.
-
속힘 : 속에 숨어 있는 힘.
-
수회 (羞悔) : 부끄러워하여 뉘우침.
-
사행 (駛行) : 말이 달리듯이 빨리 감.
-
상후 (上候) : 1 편지로 웃어른에게 안부를 여쭘. 2 임금의 평안한 소식. 또는 임금 신체의 안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