ㅂ ㅇ 🌷자음(초성) 단어 1,195개
-
번음 (繁陰) : 나무가 무성한 곳에 지는 짙은 그늘.
🌏 繁: 많을 번 陰: 응달 음 -
방역 (坊役) : 조선 시대에, 서울의 각 방(坊)의 부역(賦役).
🌏 坊: 동네 방 役: 부릴 역 -
병월 (秉鉞) : 무장이 병권을 잡음.
🌏 秉: 잡을 병 鉞: 도끼 월 -
보아 (甫兒) : 김치나 깍두기 따위를 담는 반찬 그릇의 하나. 모양은 사발 같으나 높이가 낮고 크기가 작다.
🌏 甫: 아무개 보 兒: 아이 아 -
북악 (北岳/北嶽) : 1 함경도와 만주 사이에 있는 산. 장백산맥(長白山脈) 동쪽에 솟은 우리나라 제일의 산이다. 최고봉인 병사봉에 있는 칼데라호인 천지(天池)에서 압록강, 두만강, 송화강(松花江)이 시작한다. 높이는 2,744미터. 2 중국 오악(五嶽) 가운데 하나. 산시성(山西省) 북부에 있는 산이다. 옛날에는 이 산 대신에 후베이성(河北省) 딩현(定縣) 서북쪽에 있는 다마오산(大茂山)을 북악에 포함시켰다. 높이는 2,052미터. 3 서울의 경복궁 북쪽에 있는 산. 서울 분지를 둘러싸는 자연 요새의 하나로 기반암은 화강암이며, 이 산을 중심으로 서울 북쪽의 성벽이 축조되었다. 높이는 342미터.
🌏 北: 북녘 북 패할 배 岳: 큰산 악 北: 북녘 북 패할 배 嶽: 큰산 악 -
번원 (煩冤) : 1 자꾸 들볶거나 번거롭게 굴어 괴롭고 귀찮음. 2 마음이 번거롭고 답답하여 괴로워함.
🌏 煩: 괴로워할 번 冤: 원통할 원 -
불어 (佛語) : 1 부처의 말. 곧 경전에 있는 말을 이른다. 2 불경에 쓰이거나 불교도가 주로 쓰는 말.
🌏 佛: 부처 불 語: 말씀 어 -
범일 (梵日) : 신라 때의 승려(810~889). 속성은 김(金). 구산 조사의 한 사람으로, 중국 당나라에 가서 수도한 뒤 귀국하여 설법하였다. 구산문의 하나인 사굴산문의 개조이다.
🌏 梵: 범어 범 日: 날 일 -
병인 (屛人) : 좌우에 있는 사람을 물러가게 함.
🌏 屛: 병풍 병 人: 사람 인 -
불응 (不應) : 요구나 요청 따위에 응하지 아니함.
🌏 不: 아닐 불 應: 응할 응 -
불연 (佛緣) : 중생이 불교나 부처와 맺은 인연.
🌏 佛: 부처 불 緣: 인연 연 -
방인 (旊人) : 도자기를 물레로 만들지 않고 틀로 만드는 사람.
🌏 旊: 옹기장 방 人: 사람 인 -
방연 (芳緣) : 꽃향기처럼 향기롭고 아름다운 인연이란 뜻으로, 부부가 되거나 사랑을 맺을 인연을 이르는 말.
🌏 芳: 꽃다울 방 緣: 인연 연 -
변의 (便意) : 대소변이 마려운 느낌.
🌏 便: 오줌 변 意: 뜻 의 -
번연 (蕃衍) : 한창 성하게 일어나 퍼짐.
🌏 蕃: 풀 우거질 번 衍: 넘칠 연 -
복운 (復運) : 운세가 회복됨. 또는 그 운세.
🌏 復: 돌아올 복 運: 운전할 운 -
분응 (分凝) : 형태 심리학에서, 전체 가운데에서 한 부분이 다른 부분으로부터 독자적으로 지각되는 현상.
🌏 分: 나눌 분 凝: 엉길 응 -
범유 (汎游) : 1 널리 두루 배움. 2 뱃놀이를 함.
🌏 汎: 뜰 범 游: 헤엄칠 유 -
번이 (蕃夷) : 예전에, 중국 사람들이 중국의 남쪽과 동쪽에 있는 종족을 낮잡는 뜻으로 이르던 말.
🌏 蕃: 풀 우거질 번 夷: 오랑캐 이 -
비연 (賁然) : ‘비연하다’의 어근. (비연하다: 환히 빛나고 있다.)
🌏 賁: 꾸밀 비 然: 그럴 연 -
비의 (比擬) : 견주어 비교함.
🌏 比: 견줄 비 擬: 헤아릴 의 -
백양 (白楊) : 1 버드나뭇과의 낙엽 교목. 높이는 36~39미터이며, 잎은 어긋나고 넓은 달걀 모양이다. 3~4월에 잎보다 먼저 연두색 단성화가 수상(穗狀) 화서로 피고 가로수, 방풍림 따위로 재배한다. 유럽이 원산지로 한국의 경기ㆍ경남ㆍ제주ㆍ충북과 유럽 중부에서 아시아 중부까지 분포한다. 2 ‘황철나무’를 일상적으로 이르는 말. (황철나무: 버드나뭇과의 낙엽 활엽 교목. 높이는 15~30미터이며,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의 타원형인데 가에 톱니가 있다. 4월에 암수한그루의 적갈색 꽃이 유제(葇荑) 화서로 피고 열매는 삭과(蒴果)이다. 재목은 펄프용, 성냥개비 제조에 쓴다. 한국, 일본, 중국 북부, 아무르 등지에 분포한다.) 3 버드나뭇과의 낙엽 활엽 교목. 잎은 어긋나고 둥근 달걀 모양으로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다. 암수딴그루로 4월에 잎보다 앞서 꽃이 피는데 웅화수는 원뿔 모양이고 자화수는 좁은 원기둥 모양이다. 열매는 삭과(蒴果)로 5월에 익는다. 상자, 성냥개비, 제지용 따위에 쓴다. 산 중턱 밑의 화전 터에 많이 나는데 한국, 만주, 시베리아 등지에 분포한다.
🌏 白: 흰 백 楊: 버들 양 -
봉의 (奉醫) : 조선 시대에 둔 삼의원(三醫院)의 하나. 궁중의 의약(醫藥)을 맡아보던 관아이다. 세종 25년(1443)에 내약방(內藥房)을 고친 것으로, 고종 32년(1895)에 전의사로 고쳤다.
🌏 奉: 받들 봉 醫: 의원 의 -
불인 (不仁) : 몸의 어느 부분이 마비되어 움직이기가 거북한 증세. 또는 피부 감각이 둔한 상태.
🌏 不: 아닐 불 仁: 어질 인 -
봉양 (奉養) : 부모나 조부모와 같은 웃어른을 받들어 모심.
🌏 奉: 받들 봉 養: 기를 양 -
방어 (防禦) : 1 민사 소송에서, 피고가 원고의 주장을 배척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소송 행위. 2 상대편의 공격을 막음.
🌏 防: 막을 방 禦: 막을 어 -
부업 (父業) : 1 아버지의 직업. 2 대대로 이어서 내려오는 직업.
🌏 父: 아버지 부 業: 업 업 -
불용 (不容) : 용서하지 아니하거나 용납하지 아니함.
🌏 不: 아닐 불 容: 얼굴 용 -
부압 (負壓) : 대기의 압력보다 낮은 압력.
🌏 負: 짐질 부 壓: 누를 압 -
밤엿 : 흰엿을 밤톨만 하게 잘라 깨나 콩고물을 묻힌 엿.
-
병월 (幷月) : 몸에 다른 병은 없으나 월경을 두 달에 한 번씩 하는 일.
🌏 幷: 아우를 병 月: 달 월 -
법안 (法眼) : 1 오안의 하나. 모든 법을 관찰하는 눈이다. 2 승강(僧綱)의 하나인 승도(僧都) 등에게 주는 승려의 계급. 법의 선악을 가린다는 뜻에서 이르는 말이다.
🌏 法: 법도 법 眼: 눈 안 -
반우 (盤紆) : 꼬불꼬불하게 얽힘.
🌏 盤: 소반 반 紆: 굽을 우 -
벽옹 (躄翁) : ‘김창숙’의 호. (김창숙: 독립운동가ㆍ유학자(1879~1962). 자는 문좌(文佐). 호는 벽옹(躄翁)ㆍ심산(心山). 임시 정부 의정원 부의장을 지냈다. 광복 후에 이승만 정권에 항거하였으며, 부정 선거를 규탄하였다. 성균관 대학교를 창립하고 초대 학장을 지냈다.)
🌏 躄: 앉은뱅이 벽 翁: 늙은이 옹 -
비언 (鄙諺) : 품위가 매우 낮은 말이나 속담.
🌏 鄙: 더러울 비 諺: 상말 언 -
비의 (非議) : 남을 비방하여 논함.
🌏 非: 아닐 비 議: 의논할 의 -
부왕 (夫王) : 왕비가 자기의 남편인 임금을 이르던 말.
🌏 夫: 남편 부 王: 임금 왕 -
박의 (薄衣) : 얇은 옷.
🌏 薄: 얇을 박 衣: 옷 의 -
병인 (丙寅) : 육십갑자의 셋째.
🌏 丙: 남녘 병 寅: 동방 인 -
반영 (半影) : 1 크기를 가진 광원에서 나오는 빛이 물체를 비추었을 때 생기는 그림자 가운데, 빛이 부분적으로 도달하는 침침한 부분. 본그림자 주위의 흐릿한 그림자를 이른다. 2 태양의 흑점 바깥 부분에 있는 흐릿한 부분.
🌏 半: 반 반 影: 그림자 영 -
반우 (反隅) : 한 구석을 보면 세 구석을 알 수 있다는 뜻으로, 한 가지 일을 가지고 세 가지 일을 헤아려 앎을 이르는 말.
🌏 反: 돌이킬 반 隅: 모퉁이 우 -
본일 (本日) : 오늘인 이날.
🌏 本: 근본 본 日: 날 일 -
부억 : → 부엌. (부엌: 일정한 시설을 갖추어 놓고 음식을 만들고 설거지를 하는 등 식사에 관련된 일을 하는 곳.)
-
복연 (復緣) : 인연을 끊고 있다가 다시 원래의 관계로 돌아감.
🌏 復: 돌아올 복 緣: 인연 연 -
보안 (保眼) : 눈을 보호함.
🌏 保: 보전할 보 眼: 눈 안 -
붕앙 : → 불알. (불알: ‘고환’을 일상적으로 이르는 말. (고환: 포유류의 음낭 속에 있는 공 모양의 기관. 좌우 한 쌍이 있으며, 정자를 만들고 남성 호르몬을 분비한다.))
-
반의 (斑衣) : 여러 빛깔의 옷감으로 지어 만든 어린아이의 옷.
🌏 斑: 얼룩질 반 衣: 옷 의 -
벽암 (碧巖) : 푸른 이끼가 낀 바위.
🌏 碧: 푸를 벽 巖: 바위 암 -
부요 (婦謠) : 예전에, 부인들이 부르던 민요.
🌏 婦: 아내 부 謠: 노래 요 -
보은 (寶銀) : 중국에서 쓰던 화폐의 하나. 말굽 모양으로 된 은덩이로서 보통 무게가 50냥가량 나간다.
🌏 寶: 보배 보 銀: 은 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