ㅂ ㅅ 🌷자음(초성) 단어 1,463개
-
본새
(本새)
:
1
어떤 물건의 본디의 생김새.
2
어떠한 동작이나 버릇의 됨됨이.
🌏 本: 근본 본 -
방상
(方箱)
:
네모난 상자.
🌏 方: 모 방 箱: 상자 상 -
복송
(伏頌)
:
편지글에서, ‘삼가 엎드려 사뢰거나 칭송한다.’의 뜻으로 쓰는 말.
🌏 伏: 엎드릴 복 頌: 기릴 송 -
백서
(帛書)
:
비단에 쓴 글. 또는 글이 쓰인 비단.
🌏 帛: 비단 백 書: 글 서 -
북사
(北史)
:
중국 당나라 때에, 이연수(李延壽)가 북위(北魏), 북제(北齊), 북주(北周) 및 수나라 4왕조 242년 동안의 사실(史實)을 기록한 역사책. 이십오사(二十五史)의 하나로, 본기(本紀) 12권, 열전(列傳) 88권으로 이루어졌다. 100권.
🌏 北: 북녘 북 史: 역사 사 -
번쇄
(煩瑣/煩碎)
:
‘번쇄하다’의 어근. (번쇄하다: 너저분하고 자질구레하다., 일의 갈피가 어수선하고 복잡한 데가 있다.)
🌏 煩: 괴로워할 번 瑣: 자질구레할 쇄 煩: 괴로워할 번 碎: 부술 쇄 - 바소 : 곪은 데를 째는 침. 길이 네 치, 너비 두 푼 반가량이고 양쪽 끝에 날이 있다.
-
비실
(備悉)
:
어떤 일의 사정을 샅샅이 다 앎.
🌏 備: 갖출 비 悉: 갖출 실 - 방싯 : 1 입을 예쁘게 벌리며 소리 없이 가볍고 보드랍게 살짝 한 번 웃는 모양. 2 문 따위가 소리 없이 살짝 열리는 모양.
-
분새
(紛새)
:
→ 분란. (분란: 어수선하고 소란스러움.)
🌏 紛: 어지러울 분 -
번상
(番床)
:
예전에, 번을 들 때에 자기 집에서 차려 내오던 밥상.
🌏 番: 차례 번 床: 평상 상 -
복식
(複式)
:
1
경마, 경륜, 조정 따위에서 일 등과 이 등을 동시에 알아맞히는 방식. 일 등과 이 등의 순서는 상관없다.
2
두 겹 또는 그 이상으로 된 복잡한 방식.
3
탁구ㆍ테니스 따위에서, 서로 두 사람씩 짝을 지어서 하는 시합.
🌏 複: 겹옷 복 式: 법 식 -
반숨
(半숨)
:
한숨의 절반 또는 매우 짧은 동안.
🌏 半: 반 반 -
봉송
(封送)
:
물건을 싸서 선물로 보냄. 또는 그 물건.
🌏 封: 봉할 봉 送: 보낼 송 -
봉신
(丰神)
:
토실토실한 아름다운 얼굴.
🌏 丰: 예쁠 봉 神: 귀신 신 -
복사
(複寫)
:
1
종이를 포개고 그 사이사이에 복사지를 받쳐 한 번에 여러 장을 씀.
2
파일을 디스켓 따위의 다른 곳으로 복제하여 옮김.
3
원본을 베낌.
... (총 4개의 의미)
🌏 複: 겹옷 복 寫: 베낄 사 -
불시
(不時)
:
1
제철이 아닌 때.
2
뜻하지 아니한 때.
🌏 不: 아닐 불 時: 때 시 -
반수
(半數)
:
1
전체의 절반이 되는 수.
2
감수 분열의 결과 반으로 줄어든 염색체 수. n으로 나타낸다.
🌏 半: 반 반 數: 셀 수 -
빈사
(賓師)
:
예전에, 제후에게 빈객(賓客)의 대우를 받던 학자.
🌏 賓: 손 빈 師: 스승 사 -
보서
(報書)
:
1
일러 주는 편지.
2
회답하는 편지를 보냄. 또는 그 편지.
🌏 報: 갚을 보 書: 글 서 -
박습
(朴習)
:
조선 태종 때의 문신(?~1418). 전라도 관찰사로 있을 때에 김제의 벽골제(碧骨堤)를 수축하여 지금도 그에 대한 송덕비가 남아 있다.
🌏 朴: 순박할 박 習: 익힐 습 -
반설
(反舌)
:
‘때까치’를 달리 이르는 말. (때까치: 때까칫과의 새. 편 날개의 길이는 8~9cm, 꽁지의 길이는 8~10cm이며, 몸의 색깔은 암수가 다른데 대체로 머리는 붉은 갈색, 등은 회색, 날개는 검은색이고 가슴과 배는 흰색이다. 날카로운 부리로 개구리, 곤충 따위를 잡아먹는다. 한국, 일본, 사할린,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 反: 돌이킬 반 舌: 혀 설 - 불새 : 미국의 작곡가 스트라빈스키의 발레 음악 또는 관현악을 위한 모음곡. 러시아의 동화를 제재로 왕자 이반이 불새의 도움으로 왕녀를 마왕에게서 구원한다는 내용이며 포킨(Fokine, M. M.)의 안무로 1910년에 초연되었다.
-
분사
(噴射)
:
액체나 기체 따위에 압력을 가하여 세차게 뿜어 내보냄.
🌏 噴: 뿜을 분 射: 쏠 사 -
범식
(範式)
:
1
예절이나 기물(器物)의 본보기로 삼을 만한 양식.
2
계산의 법칙 따위를 문자와 기호로 나타낸 식.
🌏 範: 법 범 式: 법 식 -
부서
(府署)
:
예전에, 벼슬아치들이 모여 나랏일을 처리하던 곳.
🌏 府: 마을 부 署: 관청 서 -
비상
(非常)
:
1
평범하지 아니하고 뛰어남.
2
뜻밖의 긴급한 사태. 또는 이에 대응하기 위하여 신속히 내려지는 명령.
3
예사롭지 아니함.
... (총 4개의 의미)
🌏 非: 아닐 비 常: 항상 상 -
보수
(報讐)
:
남이 저에게 해를 준 대로 저도 그에게 해를 줌.
🌏 報: 갚을 보 讐: 원수 수 - 뱃심 : 1 염치나 두려움이 없이 제 고집대로 버티는 힘. 2 마음속에 다지는 속셈.
-
박소
(拍笑)
:
손뼉을 치며 크게 웃음.
🌏 拍: 손뼉칠 박 笑: 웃을 소 -
병색
(病色)
:
병든 사람의 기색이나 얼굴빛.
🌏 病: 병들 병 色: 빛 색 -
봉시
(封豕)
:
큰 돼지.
🌏 封: 봉할 봉 豕: 돼지 시 -
비선
(肥鮮)
:
살지고 신선한 고기나 생선.
🌏 肥: 살찔 비 鮮: 고울 선 -
비사
(祕事)
:
비밀리에 숨겨진 일.
🌏 祕: 숨기다 비 귀신 비 事: 일 사 -
비산
(悲酸)
:
손아랫사람의 죽음을 당해 몹시 슬프고 마음이 쓰림.
🌏 悲: 슬플 비 酸: 초 산 -
빙수
(氷水)
:
1
얼음을 넣어서 차게 한 물.
2
얼음덩이를 잘게 갈아서 눈과 같이 만들고 거기에 당밀(糖蜜) 또는 설탕, 향미료 따위를 넣은 음식.
🌏 氷: 얼음 빙 水: 물 수 -
보신
(補身)
:
보약 따위를 먹어 몸의 영양을 보충함.
🌏 補: 기울 보 身: 몸 신 -
반서
(斑犀)
:
1
얼룩무늬가 있는 코뿔소의 뿔.
2
코뿔소의 암컷.
🌏 斑: 얼룩질 반 犀: 무소 서 -
비수
(悲愁)
:
슬퍼하고 근심함. 또는 슬픔과 근심.
🌏 悲: 슬플 비 愁: 근심 수 -
벌석
(伐石)
:
돌을 채취함.
🌏 伐: 칠 벌 石: 돌 석 -
별사
(別賜)
:
임금이 따로 벼슬아치나 백성들에게 베풀어 주던 일. 또는 그런 물건.
🌏 別: 다를 별 賜: 줄 사 -
비식
(賁飾)
:
예쁘고 아름답게 꾸밈.
🌏 賁: 꾸밀 비 飾: 꾸밀 식 -
복성
(複星)
:
육안으로 볼 때, 두 개 이상의 별이 같은 방향에 놓이거나 가까이 인접하여 있어서 하나처럼 보이는 별. 별의 수에 따라 이중성(二重星), 삼중성(三重星), 사중성(四重星), 오중성(五重星) 따위가 있는데 이중성이 가장 많다.
🌏 複: 겹옷 복 星: 별 성 -
벽산
(碧山)
:
풀과 나무가 무성한 푸른 산.
🌏 碧: 푸를 벽 山: 뫼 산 -
배사
(拜辭)
:
1
웃어른에게 삼가 사양함.
2
예전에, 숙배(肅拜)와 사조(辭朝)를 아울러 이르던 말.
🌏 拜: 절 배 辭: 말씀 사 -
본소
(本所)
:
주가 되는 사무소를 지소, 분소, 출장소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 本: 근본 본 所: 바 소 -
범상
(犯狀)
:
범죄가 이루어진 상황.
🌏 犯: 범할 범 狀: 형상 상 -
비상
(飛霜)
:
하늘에서 내리는 서리.
🌏 飛: 날 비 霜: 서리 상 -
불소
(不少)
:
‘불소하다’의 어근. (불소하다: 적지 아니하다.)
🌏 不: 아닐 불 少: 적을 소 -
부세
(賦稅)
:
세금을 매겨서 부과하는 일.
🌏 賦: 구실 부 稅: 세금 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