ㅁ 🌷자음(초성) 단어 266개
-
매 : 1 곡식 섬이나 곡식 단 따위를 묶을 때 쓰는 새끼나 끈. 2 곡식 섬이나 곡식 단 따위를 묶을 때 쓰는 새끼나 끈을 세는 단위. 3 맷고기나 살담배를 작게 갈라 동여매어 놓고 팔 때, 그 덩어리나 매어 놓은 묶음을 세는 단위.
-
뭇 : 고기잡이에 쓰는 커다란 작살.
-
모 (毛) : 동물의 몸에서 깎아 낸 털로 만든 섬유. 특히 양모(羊毛)를 이르는 말이다.
🌏 毛: 털 모 -
매 (枚) : 1 한방에서, 열매를 세는 단위. 2 종이나 널빤지 따위를 세는 단위.
🌏 枚: 낱 매 -
만 (萬) : 1 천의 열 배가 되는 수. 2 천의 열 배가 되는 수의.
🌏 萬: 일만 만 -
목 (木) : 팔음(八音)의 하나. 지어(枳敔)와 같은 종류의 나무로 만든 마찰 악기이다.
🌏 木: 나무 목 -
미 (尾) : 물고기나 벌레 따위를 세는 단위.
🌏 尾: 꼬리 미 -
무 (無) : 1 모든 사물에는 그 나름대로의 독자적인 본성이 없음. 2 없거나 존재하지 않는 상태. 3 운동 경기에서, 비긴 횟수를 세는 단위.
🌏 無: 없을 무 -
몰 (歿/沒) : 주로 약력(略歷)에서, ‘죽음’을 이르는 말. (죽음: 죽는 일. 생물의 생명이 없어지는 현상을 이른다.)
🌏 歿: 죽을 몰 沒: 잠길 몰 -
명 (名) : 사람을 세는 단위.
🌏 名: 이름 명 -
목 (木) : ‘목요일’을 이르는 말. (목요일: 월요일을 기준으로 한 주의 넷째 날.)
🌏 木: 나무 목 -
묵 (墨) : 얼굴이나 팔뚝의 살을 따고 홈을 내어 먹물로 죄명을 찍어 넣던 벌.
🌏 墨: 먹 묵 -
망 (望) : 태양, 지구, 달이 순서대로 한 직선 위에 놓이는 때. 또는 그때의 달. 달의 반구(半球) 전체가 햇빛을 받아 밝게 빛난다.
🌏 望: 바랄 망 -
메 : ‘먹이’를 이르는 말. (먹이: 동물이 살아가기 위하여 먹어야 할 거리. 또는 사육하는 가축에게 주는 먹을거리.)
-
멍 : 심하게 맞거나 부딪쳐서 살갗 속에 퍼렇게 맺힌 피.
-
몰 (maul) : 럭비 풋볼에서, 공을 가진 선수 주위에 한 명 이상의 양 팀 선수가 선 채 몸을 밀착시킨 상태.
-
머 : 1 ‘뭐’를 구어적으로 이르는 말. (뭐: ‘무어’의 준말.) 2 ‘뭐’를 구어적으로 이르는 말. (뭐: ‘무어’의 준말.) 3 ‘뭐’를 구어적으로 이르는 말. (뭐: ‘무어’의 준말.) ... (총 7개의 의미)
-
만 (蠻) : 예전에, 중국에서 남쪽의 오랑캐라는 뜻으로 남쪽 지방에 사는 민족을 낮잡아 이르던 말.
🌏 蠻: 오랑캐 만 -
몰 : ‘몰하다’의 어근. (몰하다: 부피가 어림하였던 것보다 적은 듯하다.)
-
막 (幕) : 1 겨우 비바람을 막을 정도로 임시로 지은 집. 2 연극의 단락을 세는 단위. 한 막은 무대의 막이 올랐다가 다시 내릴 때까지로 하위 단위인 장(場)으로 구성된다. 3 칸을 막거나 어떤 곳을 가리기도 하는, 천으로 된 물건. 주로 무대 앞을 가리는 데 쓰인다.
🌏 幕: 막 막 -
밀 : 함지질할 때 나오는 모래알 모양의 광석.
-
멸 (滅) : ‘멸하다’의 어근. (멸하다: 망하여 죄다 없어지다. 또는 그렇게 하다.)
🌏 滅: 멸망할 멸 -
막 : 그렇게 된 곳이라는 뜻을 더하고 명사를 만드는 접미사.
-
먹 : ‘똥’을 달리 이르는 말. (똥: 사람이나 동물이 먹은 음식물을 소화하여 항문으로 내보내는 찌꺼기., 먹물이 말라붙은 찌꺼기., 쇠붙이가 녹았을 때 나오는 찌꺼기., 하층 사회의 은어로, ‘금’을 이르는 말. (금: 황색의 광택이 있는 금속 원소. 금속 가운데 퍼지는 성질과 늘어나는 성질이 가장 크다. 화학적으로 매우 안정되고, 공기 중에서도 산화되지 않는다. 원자 번호는 79, 원소 기호는 Au, 원자량은 196.967., 문서에서 돈을 이르는 말., 금으로 만들거나 금으로 도금한 메달. 주로 운동 경기나 그 밖의 각종 대회에서 우승한 사람에게 준다., ‘금색’, ‘금제’의 뜻을 나타내는 말.), 화투 놀이에서, ‘오동’을 이르는 말. (오동: 화투에서, 오동나무 모양이 그려져 있는 화투장. 11월이나 열한 끗을 나타낸다.))
-
맹 (孟) : 우리나라 성(姓)의 하나. 본관은 신창(新昌) 하나뿐이다.
🌏 孟: 맏 맹 -
미 (美) : 1 눈 따위의 감각 기관을 통하여 인간에게 좋은 느낌을 주는 아름다움. 2 ‘아름다움’의 뜻을 나타내는 말. 3 개인적인 이해관계가 없이, 내적 쾌감을 주는 감성적인 대상. ... (총 4개의 의미)
🌏 美: 아름다울 미 -
몽 (蒙) : ‘몽하다’의 어근. (몽하다: 은혜나 도움 따위를 입다.)
🌏 蒙: 어릴 몽 -
뭘 : ‘무엇을’이 줄어든 말.
-
맡 : 1 ‘어떤 일을 하는 바로 그 순간’의 뜻을 나타내는 말. 2 ‘어떤 일을 하는 김에’의 뜻을 나타내는 말.
-
매 : ‘생김새’ 또는 ‘맵시’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생김새: 생긴 모양새.)
-
맨 : ‘다른 것이 없는’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
-
막 : 어떤 일에 실지로 이르러.
-
모 (帽) : ‘모자’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 帽: 모자 모 -
맹 : ‘맹하다’의 어근. (맹하다: 싱겁고 흐리멍덩하여 멍청한 듯하다.)
-
문 (紋) : 물건의 거죽에 어룽져 나타난 어떤 모양.
🌏 紋: 무늬 문 -
매 : 벽 거죽을 곱게 바르는 데 쓰는 흙. 잿빛이며 끈기가 있고 보드랍다. 초벽(初壁), 재벽(再壁)이 끝난 다음에 바른다.
-
민 (閩) : 중국 오대십국 가운데 909년에 왕심지(王審知)가 푸저우(福州)에 도읍하여 세운 나라. 내분으로 945년에 남당(南唐)에 멸망하였다.
🌏 閩: 땅 이름 민 -
막 : 1 ‘거친’, ‘품질이 낮은’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 2 ‘닥치는 대로 하는’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
-
만 (灣) : 바다가 육지 속으로 파고들어 와 있는 곳.
🌏 灣: 물굽이 만 -
명 (命) : 1 인간을 포함한 모든 것을 지배하는 초인간적인 힘. 또는 그것에 의하여 이미 정하여져 있는 목숨이나 처지. 2 앞으로의 생사나 존망에 관한 처지. 3 사람이나 동물이 숨을 쉬며 살아 있는 힘.
🌏 命: 목숨 명 -
뫼 : ‘모이’의 준말. (모이: 닭이나 날짐승의 먹이.)
-
물 : 1 자연계에 강, 호수, 바다, 지하수 따위의 형태로 널리 분포하는 액체. 순수한 것은 빛깔, 냄새, 맛이 없고 투명하다. 산소와 수소의 화학적 결합물로, 어는점 이하에서는 얼음이 되고 끓는점 이상에서는 수증기가 된다. 공기와 더불어 생물이 살아가는 데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물질이다. 2 못, 내, 호수, 강, 바다 따위를 두루 이르는 말. 3 음료수나 술 따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총 5개의 의미)
-
명 (明) : 어리석음의 어둠을 깨고 진리를 깨닫는 성스러운 지혜.
🌏 明: 밝을 명 -
묘 (渺) : 1 애(埃)의 10분의 1이 되는 수. 즉, 10-11을 이른다. 2 예전에, 애의 억 분의 1이 되는 수를 이르던 말. 즉, 10-32을 이른다. 3 애(埃)의 10분의 1이 되는 수의. 즉, 10-11을 이른다.
🌏 渺: 아득할 묘 -
매 (妹) : 문어체에서, 손아래 누이를 이르는 말.
🌏 妹: 손아랫 누이 매 -
무 (武) : 전쟁에 관한 일 또는 무술과 병법을 이르는 말.
🌏 武: 굳셀 무 -
무 (巫) : 1 무당과 관련된 풍속. 2 귀신을 섬겨 길흉을 점치고 굿을 하는 것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 주로 여자를 이른다.
🌏 巫: 무당 무 -
멱 : 짚으로 날을 촘촘히 결어서 만든 그릇의 하나. 주로 곡식을 담는 데 쓰인다.
-
메 : 묵직하고 둥그스름한 나무토막이나 쇠토막에 자루를 박아 무엇을 치거나 박을 때 쓰는 물건.
-
멍 : 장기에서, 장군을 받아 막는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