ㄹ 🌷자음(초성) 단어 119개
-
령 (令) : ‘법령’ 또는 ‘명령’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 令: 명령할 령 -
랍 (拉) : ‘라’의 음역어. (라: 서양 음악의 칠음 체계에서, 여섯 번째 계이름.)
🌏 拉: 끌고갈 랍 -
롱 (籠) : ‘옷가지 따위를 넣어 두는 곳’의 뜻을 나타내는 말.
🌏 籠: 대그릇 롱 -
림 (rim) : 1 자동차나 자전거 따위에서 바퀴의 테를 이루는 고리 모양의 부분. 여기에 고무 타이어를 고정한다. 2 농구에서, 농구대의 수직 판에 공을 던져 넣도록 고정되어 있는 둥근 테.
-
론 (論) : 1 ‘그것에 관한 학문’ 또는 ‘학문 분야’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2 ‘주장’ 또는 ‘이론’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 論: 논의할 론 -
리 (Lie, Jonas Lauritz Idemil) : 노르웨이의 소설가(1833~1908). 해양 소설과 부부ㆍ가족의 문제를 다룬 사회 소설을 주로 썼다. 작품에 <수로 안내인과 그의 처>, <길리에(Gilje)의 가족> 따위가 있다.
-
리 (Lie, Marius Sophus) : 노르웨이의 수학자(1842~1899). 오슬로 대학 교수로 변환의 일반 이론인 연속군(連續群) 이론의 기초를 확립하여 ‘리군론(Lie群論)’을 창시하였다. 저서에 ≪변환군론≫, ≪미분 방정식론≫ 따위가 있다.
-
력 (力) : ‘능력’ 또는 ‘힘’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 力: 힘 력 - ㄹ : 한글 자모의 넷째 글자. ‘리을’이라 이르며, ‘라’에서와 같이 초성으로, ‘열’에서와 같이 종성으로 쓰인다. 모음 사이에서는 혀끝이 치조(齒槽)를 한 번 가볍게 치면서 진동하는 소리이며, 종성일 때는 혀끝을 치조에 꼭 붙이고 혀의 양쪽으로 공기를 내보내는 유음이다.
-
량 (量) : 분량이나 수량의 뜻을 나타내는 말.
🌏 量: 헤아릴 량 -
리 : 1 (예스러운 표현으로) 어떤 상황에 대한 화자의 추측을 나타내는 어미. 주로 ‘-다’, ‘-라’, ‘-니’, ‘-니라’, ‘만큼’ 따위와 결합하여 확대된 어미 ‘-리다’, ‘-리라’, ‘-리니’, ‘-리니라’, ‘-리만큼’ 따위를 만들기도 한다. 2 (예스러운 표현으로) 주어가 어떤 일을 할 의향이나 의지가 있음을 나타내는 어미. 주로 ‘-다’, ‘-라’, ‘-니’, ‘-니라’, ‘만큼’ 따위와 결합하여 확대된 어미 ‘-리다’, ‘-리라’, ‘-리니’, ‘-리니라’, ‘-리만큼’ 따위를 만들기도 한다.
-
리 (里) : 생황 육자관의 구음(口音).
🌏 里: 마을 리 -
로 (路) : 1 ‘큰 도로를 가운데 둔 동네’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2 ‘길’ 또는 ‘도로’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 路: 길 로 -
로 (爐) : ‘재료를 가열해서 가공하는 곳’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 爐: 화로 로 -
령 (嶺) : 재나 산마루의 이름이라는 뜻을 더하는 접미사.
🌏 嶺: 재 령 -
례 (例) : ‘본보기’의 뜻을 나타내는 말. (본보기: 본을 받을 만한 대상., 어떤 사실을 설명하거나 증명하기 위하여 내세워 보이는 대표적인 것., 어떤 조치를 취하기 위하여 대표로 내세워 보이는 것., 본을 보이기 위한 물건.)
🌏 例: 법식 례 -
로 : 1 시간을 나타내는 격 조사. 2 움직임의 방향을 나타내는 격 조사. 3 움직임의 경로를 나타내는 격 조사. ... (총 13개의 의미)
-
릴 (Riehl, Wilhelm Heinrich von) : 독일의 민속학자ㆍ작가(1823~1897). 민족 문화를 반성하는 학문으로서 민속학을 수립하여 사회 민속학을 창시하였으며, 문화사에서 취재한 단편 소설도 썼다. 저서에 ≪독일 사회 정책의 기초로서의 민족의 자연사≫, ≪문화사적 소설≫ 따위가 있다.
-
레 (Re) : 이집트 신화에 나오는 태양신. 광명ㆍ생명ㆍ정의의 지배자로, 제5왕조 때부터 왕국의 신이 되었다. 독수리의 머리 위에 태양을 나타내는 구(球)와 왕자(王者)의 상징인 뱀을 올린 모양을 하고 있다.
-
릴 (Lille) : 프랑스 북부, 벨기에 국경에 가까운 플랑드르 지방에 있는 공업 도시. 전통적인 모직물업 외에 철강, 맥주, 식품, 야금, 기계, 방적 따위의 공업도 활발하다.
-
레 (Leh) : 인도 서북부 카슈미르주에 있는 상업 도시. 티베트와의 교통의 중요한 통로이며, 해발 3,505미터의 고지에 있다.
-
록 (錄) : ‘기록’ 또는 ‘문서’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 錄: 기록할 록 -
릴 (reel) : 스코틀랜드 고지인(高地人)들의 경쾌한 춤곡. 또는 그 춤.
-
린 (Lynn) : 미국 매사추세츠주 동부의 대서양 연안에 있는 공업 도시. 기계, 전기 기구, 피혁, 제지 공업이 활발하다.
-
률 (率) : ‘비율’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 率: 율 률 -
립 (立) : 목재의 부피를 나타내는 단위. 두께나 너비에 따라 기준이 다르다.
🌏 立: 설 립 -
라 : 서양 음악의 칠음 체계에서, 두 번째 음이름.
-
리 (裡/裏) : ‘가운데’ 또는 ‘속’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가운데: 어떤 일이나 상태가 이루어지는 범위의 안.)
🌏 裡: 속 리 속 이 裏: 속 리 속 이 -
랑 (郞/浪) : 방산한씨금보(芳山韓氏琴譜)에서, 양금의 왼쪽 괘 오른쪽 여섯째 줄 남려의 구음(口音). 이 줄은 쓰지 않는다.
🌏 郞: 사나이 랑 사나이 낭 浪: 물결 랑 물결 낭 -
링 (Ling, Pehr Henrik) : 스웨덴의 체육 지도자(1776~1839). 스웨덴 체조의 창시자로 체조를 신체의 완성을 목표로 하는 일련의 육체 운동이라고 생각하고, 생리학과 해부학에 바탕을 둔 교육ㆍ의료ㆍ미용ㆍ군대식 네 부분의 ‘스웨덴체조’를 창안하였다. (스웨덴 체조: 1810년경 스웨덴에서 시작된 체조. 신체 각부의 균형 잡힌 발육과 각 기능의 완전한 발달을 도모한다. 스웨덴의 체육가 링이 창시한 것이다.)
-
린 (Lean, Sir David) : 영국의 영화감독(1908~1991). 치밀한 구성과 사실적 연출로 영화가 가진 가능성의 확대를 시도하였다. 작품에 <콰이강의 다리>, <아라비아의 로렌스>, <의사 지바고> 따위가 있다.
-
롬 (ROM) : 기억된 내용을 읽을 수는 있어도 바꿀 수는 없는 반도체 기억 장치. 전원이 끊겨도 기억된 내용이 지워지지 않으므로 항구적인 기억 장치가 필요한 전자 기기에 널리 쓴다.
-
률 (律) : ‘법칙’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법칙: 반드시 지켜야만 하는 규범., 연산(演算)의 규칙., 모든 사물과 현상의 원인과 결과 사이에 내재하는 보편적ㆍ필연적인 불변의 관계.)
🌏 律: 법 률 -
로 (rho) : 그리스 문자의 열일곱째 자모. ‘P, ρ’로 쓴다.
-
로 (Roe, Sir Thomas) : 영국의 외교관ㆍ작가(1581?~1644). 무굴 제국에 대사로 파견되어, 동인도 회사의 특권 확대에 힘썼다. 그의 체재 일기는 귀중한 사료가 되어 있다.
-
리 (理) : ‘까닭’, ‘이치’의 뜻을 나타내는 말.
🌏 理: 다스릴 리 -
라 (la) : 서양 음악의 칠음 체계에서, 여섯 번째 계이름.
-
라 : 1 하라체를 사용할 자리에 쓰여, 구체적으로 정해지지 않은 청자나 독자에게 책 따위의 매체를 통해 명령의 뜻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2 해라할 자리에 쓰여, 명령의 뜻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
롬 (loam) : 모래, 석영, 운모 가루, 점토 따위가 비슷한 양으로 섞여 있고, 유기 물질을 포함하며 물을 잘 통과시키는 토양.
-
란 : 어떤 대상을 특별히 집어서 화제로 삼을 때에 쓰는 보조사.
-
력 (曆) : ‘달력’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달력: 1년 가운데 달, 날, 요일, 이십사절기, 행사일 따위의 사항을 날짜에 따라 적어 놓은 것.)
🌏 曆: 책력 력 -
란 : 1 ‘-라고 하는’이 줄어든 말. 2 ‘-라고 하는’이 줄어든 말. 3 ‘-라고 한’이 줄어든 말. ... (총 4개의 의미)
-
라 : ‘라고’의 준말. (라고: 앞말이 직접 인용 되는 말임을 나타내는 격 조사. 원래 말해진 그대로 인용됨을 나타낸다.)
-
램 (ram) : 1 형삭반이나 수직 절삭기에서 프레임의 안내면을 수평이나 상하로 왕복 운동을 하는 부분. 2 말뚝을 박는 데 쓰는 망치. 3 수압기나 유압기 따위의 실린더 안에서 왕복 운동을 하는 피스톤.
-
리 (里) : → 이. (이: 지방 행정의 말단 구역. 몇 개의 촌락이 모여 이루어지며, 읍과 면(面)의 아래에 둔다. 어말에 붙어 특정 동리의 이름을 나타낼 때에는 ‘리’로 바뀐다.)
🌏 里: 마을 리 -
림 (ream) : 양지(洋紙)를 세는 단위. 1림은 보통 종이를 셀 때에는 480장이고 신문용지를 셀 때에는 500장이다.
-
랜 (LAN) : 사무실이나 연구실, 건물, 공장 따위와 같이 제한된 지역 내에 분산 배치된 컴퓨터를 비롯한 각종 정보 통신 기기를 통신 회선으로 연결하여 정보를 교환하는 정보 통신망.
-
려 : 1 어떤 행동을 할 의도나 욕망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 2 곧 일어날 움직임이나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연결 어미.
-
련 : 1 해라할 자리에 쓰여, 화자가 상대편을 위하여 할 의사가 있는 어떤 행동에 대하여 상대편이 받아들일 것인지를 친근하게 묻는 종결 어미. 2 ‘-려고 하느냐’가 줄어든 말.
-
램 (Lamb, Charles) : 영국의 비평가ㆍ수필가(1775~1834). 엘리아라는 필명을 사용하였으며 일생을 독신으로 살면서 문학에 심취하였다. 작품에 <엘리아의 수필>, <셰익스피어의 이야기> 따위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