ㄱ ㅊ 🌷자음(초성) 단어 1,105개
-
가취 (加取) : 물건을 살 때 덤으로 받음. 또는 그렇게 받는 물건.
-
급취 (急就) : 중국 한나라의 사유(史游)가 편찬한 자서(字書). 당시의 상용한자 약 1,900자를 31장으로 나누어 수록하였으며, 물명(物名), 성명 따위에 운을 달아 배열하였다. 오늘날 전하는 것 가운데 가장 오래된 자서이다. 4권.
-
기치 (氣痔) : 정신적인 고민이나 흥분 때문에 부어올라 아픈 치질.
-
견책 (譴責) : 1 허물이나 잘못을 꾸짖고 나무람. 2 공무원 등의 잘못을 꾸짖고 앞으로 그런 일이 없도록 주의를 주는, 가장 가벼운 징계 처분.
-
고채 (苦菜) : 1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25~50cm이며 근생엽은 거꾸로 된 심장 모양이고 경엽은 달걀 모양이다. 5~7월에 노란색 꽃이 피고 열매는 수과(瘦果)이다. 줄기와 잎에 흰 즙이 있고 쓴맛이 나며 뿌리와 애순은 봄에 나물로 먹는다.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2 국화과의 두해살이풀. 높이는 60cm 정도이며, 붉은 자줏빛을 띤다. 여름에서 가을에 걸쳐 노란 두상화가 많이 피고 열매는 수과(瘦果)를 맺는다. 어린잎과 뿌리는 식용한다. 산이나 들에서 자라는데 한국,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
건채 (乾菜) : 말린 채소나 나물.
-
귀찰 (貴札) : 상대편의 편지를 높여 이르는 말.
-
개체 (個體) : 1 전체나 집단에 상대하여 하나하나의 낱개를 이르는 말. 2 단일하고 독립적인 통일적 존재. 철학 사상의 발전 과정에서 이 통일성은 물질적ㆍ양적 측면, 또는 정신적ㆍ질적 측면 따위의 여러 관점에서 고찰되었다. 3 하나의 독립된 생물체. 살아가는 데에 필요한 독립적인 기능을 갖고 있다.
-
강체 (剛體) : 힘을 가하여도 모양과 부피가 변하지 않는 가상적(假想的)인 물체. 이 물체 안에서 임의의 두 점 사이의 거리는 일정한 것으로 간주한다. 일반적으로는 외력에 의한 변형이 아주 적은 물체를 이르는 말이다.
-
극치 (極値) : 함수의 극댓값과 극솟값을 통틀어 이르는 말.
-
관측 (觀測) : 1 육안이나 기계로 자연 현상 특히 천체나 기상의 상태, 추이, 변화 따위를 관찰하여 측정하는 일. 2 어떤 사정이나 형편 따위를 잘 살펴보고 그 장래를 헤아림.
-
근축 (筋縮) : 1 근육이 오그라드는 증상. 2 독맥(督脈)에 속하는 혈(穴)의 이름. 제9등뼈 극상 돌기와 제10등뼈 극상 돌기 사이에 있다.
-
규청 (窺聽) : 남의 말 따위를 몰래 들음.
-
격치 (格致) : 1 실제 사물의 이치를 연구하여 지식을 완전하게 함. ≪대학≫에 나오는 말이다. 2 품격과 운치를 아울러 이르는 말.
-
공첩 (公貼) : 공공 기관이나 단체에서 공식으로 작성한 서류.
-
기초 (奇峭) : ‘기초하다’의 어근. (기초하다: 산이 기이하고 가파르다.)
-
거찰 (巨刹) : 규모가 크거나 이름난 절.
-
광층 (鑛層) : 물에 녹아 있던 광물 성분이 바다나 호수 밑에 침전하여 생긴 광상. 주로 수성암층(水成巖層)과 겹쳐 지층을 이룬다.
-
기초 (芰草) : 콩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1미터 정도이며, 잎은 마주나고 달걀 모양의 타원형이다. 7~8월에 연한 노란색 꽃이 총상(總狀) 화서로 잎겨드랑이에 피고 열매는 협과(莢果)로 10월에 익는다. 뿌리는 약용하며 강원, 경북, 함경 등지에 분포한다.
-
간칭 (杆秤) : 대에 눈금이 새겨져 있고, 추가 매달려 있는 저울. 접시나 고리에 물건을 얹고 추를 대의 이쪽저쪽으로 움직여 평형을 이루도록 하여 무게를 잰다.
-
김초 (金貂) : 고려 말기의 문신(?~?). 신진 유학자의 한 사람으로, 철저한 척불론자이다. 공양왕의 숭불 사상을 통박하다가 왕의 노여움을 샀으나 정몽주의 변호로 죽음을 면하였다.
-
구천 (九天) : 1 지구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아홉 개의 천체. 일천(日天), 월천(月天), 수성천(水星天), 금성천(金星天), 화성천(火星天), 목성천(木星天), 토성천(土星天), 항성천(恒星天), 종동천(宗動天)이다. 2 가장 높은 하늘. 3 하늘을 아홉 방위로 나누어 이르는 말. 중앙을 균천(鈞天), 동쪽을 창천(蒼天), 서쪽을 호천(昊天), 남쪽을 염천(炎天), 북쪽을 현천(玄天)이라 하고 동남쪽을 양천(陽天), 서남쪽을 주천(朱天), 동북쪽을 변천(變天), 서북쪽을 유천(幽天)이라 한다. ... (총 4개의 의미)
-
검측 (檢測) : 1 검사하고 측정하는 일. 2 중요한 자리에 있는 사람을 경호하기 위하여, 의도적으로 설치된 위험물을 찾아내거나 시설물을 점검하여 안전하게 조치하는 일.
-
간출 (簡出) : 여럿 가운데에서 가려 뽑음.
-
고창 (鼓脹) : 반추 동물, 특히 소의 혹위에서 음식물의 이상 발효로 갑자기 많은 가스가 생겨 배가 불룩해지는 병.
-
고창 (高唱) : 1 노래, 구호, 만세 따위를 큰 소리로 부르거나 외침. 2 의견 따위를 강하게 주장함.
-
강축 (杠軸) : 사람이 밀고 끌던 대형 수레. 조선 전기에 중국에서 수입하여 평지(平地)의 대량 수송에 많이 이용하였다.
-
기총 (騎銃) : 말을 타고 싸우는 기병(騎兵)이 쓰는 작고 간편한 총.
-
기책 (奇策) : 남들이 흔히 생각할 수 없는 기묘한 꾀.
-
고촌 (孤村) : 외따로 떨어져 있는 마을.
-
겸찰 (兼察) : 1 한 사람이 여러 가지 일을 겸하여 보살핌. 2 현임 대장(大將)이 임시로 다른 직무를 맡아보던 일.
-
구축 (口蹙) : 훈민정음에 나오는 술어. 입술 모양의 원순(圓脣)에 해당한다는 설과 개구도가 작은 모음에 해당한다는 설이 있다.
-
극침 (棘針) : 1 살을 에는 듯한 찬 바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바늘처럼 뾰족하게 돋친 것.
-
가칠 (加漆) : 1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릴 때, 한 번 그은 곳에 다시 붓을 대서 칠함. 2 어떤 물체를 물감이나 페인트 따위로 여러 번 칠함.
-
균천 (鈞天) : 구천(九天)의 하나. 하늘의 중앙으로, 상제(上帝)의 궁(宮)을 이른다.
-
광초 (狂草) : 심하게 흘려 쓴 서체.
-
근착 (跟捉) : 뒤를 추적하여 체포함.
-
구차 (久次) : 오랫동안 지위가 오르지 않음.
-
군척 (捃摭) : 주워서 가짐.
-
결체 (結體) : 형체를 결합함. 또는 그런 결합체.
-
구충 (九蟲) : 사람의 배 속에 있는 아홉 가지 기생충. 복충(伏蟲), 회충(回蟲), 백충(白蟲), 요충(蟯蟲), 약충(弱蟲), 폐충(肺蟲), 위충(胃蟲), 육충(肉蟲), 적충(赤蟲)을 이른다.
-
고차 (固車) : 튼튼한 수레.
-
간창 (肝脹) : 간과 관련되어 생기는 창만(脹滿). 옆구리가 그득하고 아랫배까지 당기면서 아프다.
-
건침 (乾침) : 애가 타거나 긴장하였을 때 입 안이 말라 무의식중에 힘들게 삼키는 아주 적은 양의 침.
-
기차 (汽車) : 1 여객차나 화차를 끌고 다니는 철도 차량. 증기 기관차, 디젤 기관차, 전기 기관차 따위가 있다. 2 기관차에 여객차나 화물차를 연결하여 궤도 위를 운행하는 차량. 사람이나 화물을 실어 나른다.
-
기척 (棄擲) : 던져 버림.
-
구척 (狗脊) : 고빗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높이가 1미터 정도이며, 뿌리줄기는 덩이 모양이다. 어린잎과 줄기는 식용하고, 뿌리는 약용한다. 산이나 들에 자라는데 한국, 일본, 중국, 대만 등지에 분포한다.
-
갑창 (甲窓) : 추위나 밝은 빛을 막으려고 안팎으로 두껍게 종이를 발라 미닫이 안쪽에 덧끼우는 미닫이.
-
과차 (過次) : 지나가는 길. 또는 그런 편.
-
국척 (跼蹐) : 몸을 구부리고 조심조심 걷는다는 뜻으로, 두려워하거나 삼가고 조심하는 모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