ㄱ ㅅ ㅈ 🌷자음(초성) 단어 311개
-
기식자 (寄食者) : 1 기생적인 생활을 하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남의 집에 붙어서 밥을 얻어먹고 지내는 사람.
🌏 寄: 부칠 기 食: 먹을 식 者: 놈 자 -
검사제 (檢査制) : 검토하고 조사하는 제도.
🌏 檢: 검사할 검 査: 사실할 사 制: 억제할 제 -
고서점 (古書店) : 아주 오래전에 간행된 책들을 다루는 서점.
🌏 古: 옛 고 書: 글 서 店: 가게 점 -
검사증 (檢査證) : 검사를 마쳤다고 인정하거나 증명하는 서류.
🌏 檢: 검사할 검 査: 사실할 사 證: 증거 증 -
곡선주 (曲線柱) : 송배전 선로나 통신 선로에서, 가설한 전선의 방향이 달라지는 곳에 세우는 전봇대.
🌏 曲: 굽을 곡 線: 선 선 柱: 기둥 주 -
각수장 (刻手匠) : 나무나 돌 따위에 조각하는 일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
🌏 刻: 새길 각 명심할 각 각박할 각 깎을 각 줄일 각 해칠 각 정할 각 열심히 각 기물에새긴문자 각 판본 각 手: 손 수 匠: 장인 장 -
고산자 (古山子) : ‘김정호’의 호. (김정호: 조선 후기의 지리학자(?~?). 자는 백원(伯元)ㆍ백온(伯溫)ㆍ백지(伯之). 호는 고산자(古山子). 30여 년 동안 전국 각지를 돌아다니며 실측(實測) 답사를 하여 조선의 지도 <청구선표도>를 완성하였고, 그 뒤 이를 보완하여 <대동여지도>를 제작하고 ≪대동지지≫를 집필하였다.)
🌏 古: 옛 고 山: 뫼 산 子: 아들 자 -
공수전 (公須田) : 관아의 접대비나 역(驛)의 경비를 충당하게 하기 위하여 지급하던 토지.
🌏 公: 공변될 공 須: 모름지기 수 田: 밭 전 -
거심재 (去心材) : 나무의 심이 없게 켠 목재.
🌏 去: 갈 거 心: 마음 심 材: 재목 재 -
건성질 : 주의를 기울이거나 정성을 들이지 않고 마구 덤벙이는 일을 낮잡아 이르는 말.
-
개설자 (開設者) : 1 은행에 새로운 계좌를 마련한 사람. 2 설비나 제도 따위를 새로 마련하고 그에 관한 일을 시작한 사람.
🌏 開: 열 개 設: 베풀 설 者: 놈 자 -
극소점 (極小點) : 어느 함수의 극솟값을 나타내는 점.
🌏 極: 지극할 극 小: 작을 소 點: 점찍을 점 -
걸식자 (乞食者) : 음식을 빌어먹는 사람.
🌏 乞: 빌 걸 食: 먹을 식 者: 놈 자 -
가식적 (假飾的) : 1 말이나 행동 따위를 거짓으로 꾸미는 것. 2 말이나 행동 따위를 거짓으로 꾸미는.
🌏 假: 거짓 가 飾: 꾸밀 식 的: 과녁 적 -
권승정 (權僧正) : 승정의 다음 직위.
🌏 權: 권세 권 僧: 중 승 正: 바를 정 -
귀수작 (귀酬酌) : → 귀엣말. (귀엣말: 남의 귀 가까이에 입을 대고 소곤거리는 말.)
🌏 酬: 술 권할 수 酌: 따를 작 -
가스전 (gas戰) : 독가스 따위의 가스들을 사용하여 벌이는 전투.
🌏 戰: 싸울 전 -
고성제 (苦聖諦) : 사제(四諦)의 하나. 현세에서의 삶은 곧 고통이라고 하는 진리를 이른다.
🌏 苦: 괴로울 고 聖: 성인 성 諦: 울 제 -
구세주 (救世主) : 1 어려움이나 고통에서 구해 주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세상의 악이나 위험으로부터 인류를 구원하는 주인이라는 뜻으로, 예수 그리스도를 이르는 말. 3 세상을 구제하는 이. ... (총 5개의 의미)
🌏 救: 구원할 구 世: 세대 세 主: 주인 주 -
공신전 (功臣田) : 고려ㆍ조선 시대에, 국가에 훈공이 있는 사람에게 내리던 논밭.
🌏 功: 공 공 臣: 신하 신 田: 밭 전 -
갑삼지 (甲衫紙) : 쌈지를 만드는 데 쓰는 두꺼운 종이.
🌏 甲: 갑옷 갑 衫: 적삼 삼 紙: 종이 지 -
교수자 (敎授者) : 학습자에게 필요한 지식과 정보를 습득할 수 있도록 가르치는 사람을 포괄적으로 이르는 말.
🌏 敎: 가르칠 교 授: 줄 수 者: 놈 자 -
기산점 (起算點) : 기간의 계산이 시작되는 시점.
🌏 起: 일어날 기 算: 계산 산 點: 점찍을 점 -
경사전 (傾斜田) : 비탈진 밭.
🌏 傾: 기울 경 斜: 비낄 사 田: 밭 전 -
강상죄 (綱常罪) : 삼강(三綱)과 오상(五常)의 도덕을 심하게 위반한 죄.
🌏 綱: 벼리 강 常: 항상 상 罪: 허물 죄 -
감사지 (監舍知) : 신라의 육정, 구서당 따위에서 장군 이하 대감, 제감(弟監)을 보좌하던 무관 벼슬. 법흥왕 10년(523)에 둔 것으로, 위계는 13등급인 사지(舍知)에서 12등급인 대사(大舍)까지이다.
🌏 監: 볼 감 舍: 집 사 知: 알 지 -
경사자 (傾斜자) : 경사진 각을 재는 데 쓰는 자.
🌏 傾: 기울 경 斜: 비낄 사 -
고사지 (고사紙) : 굽도리를 바르는 종이.
🌏 紙: 종이 지 -
권설직 (權設職) : 나라에 긴급한 사태나 중요한 행사가 있을 때 임시로 둔 벼슬. 재직한 지 900일이 지나면 육품관으로 승급하였다.
🌏 權: 권세 권 設: 베풀 설 職: 벼슬 직 -
권선지 (勸善紙) : 절에서 보시하라고 집집마다 나누어 주는 종이 주머니. 절을 짓거나 불사가 있을 때, 또는 가을 추수 때 승려가 돌아다니면서 나누어 준다.
🌏 勸: 권할 권 善: 착할 선 紙: 종이 지 -
감상적 (感傷的) : 1 지나치게 슬퍼하거나 쉽게 기뻐하는. 2 지나치게 슬퍼하거나 쉽게 기뻐하는 것.
🌏 感: 느낄 감 傷: 상처 상 的: 과녁 적 -
가송장 (假送狀) : 무역 거래에서, 수출업자가 수입업자에게 화물의 명세를 미리 적어 보내는 계산서.
🌏 假: 거짓 가 送: 보낼 송 狀: 문서 장 -
기신제 (忌晨祭) : 해마다 사람이 죽은 날에 지내는 제사.
🌏 忌: 꺼릴 기 晨: 새벽 신 祭: 제사 제 -
고성장 (高成長) : 규모가 커 가는 정도가 높음.
🌏 高: 높을 고 成: 이룰 성 長: 길 장 -
구석장 (구석欌) : 방 한구석에 놓는, 세모지게 만든 장.
🌏 欌: 장농 장 -
곁쇠질 : 제 열쇠가 아닌 것으로 자물쇠를 여는 짓.
-
기설제 (祈雪祭) : 고려ㆍ조선 시대에, 납일(臘日) 이전에 눈이 오지 않을 때 눈이 오기를 빌던 나라의 제사. 농경의례로 소사(小祀)에 속하는 길례(吉禮)이다.
🌏 祈: 빌 기 雪: 눈 설 祭: 제사 제 -
기생자 (寄生者) : 다른 생물에 붙어서 영양소를 섭취하며 사는 생물.
🌏 寄: 부칠 기 生: 날 생 者: 놈 자 -
궁시장 (弓矢匠) : 예전에, 활과 화살을 만드는 일을 맡아 하던 사람.
🌏 弓: 활 궁 矢: 화살 시 匠: 장인 장 -
계선장 (繫船場) : 부두나 잔교 따위와 같이 배를 매어 두는 곳.
🌏 繫: 맬 계 船: 배 선 場: 마당 장 -
교상질 (膠狀質) : 물질의 끈끈한 상태의 바탕.
🌏 膠: 갖풀 교 狀: 형상 상 質: 바탕 질 -
감시자 (監視者) : 단속하기 위하여 주의하여 지켜보는 사람.
🌏 監: 볼 감 視: 볼 시 者: 놈 자 -
공식전 (公式戰) : 공식적으로 하는 시합이나 경기.
🌏 公: 공변될 공 式: 법 식 戰: 싸울 전 -
고생줄 (苦生줄) : → 고생길. (고생길: 어렵고 고된 일이나 생활에서 벗어날 수 없는 형편.)
🌏 苦: 괴로울 고 生: 날 생 -
기생집 (妓生집) : 1 기생이 사는 집. 2 기생이 거처하며 술과 유흥을 제공하는 집.
🌏 妓: 기생 기 生: 날 생 -
강사진 (講師陣) : 강의를 맡고 있는 사람들.
🌏 講: 강론할 강 師: 스승 사 陣: 진칠 진 -
기사장 (騎士將) : 조선 시대에, 금위영과 어영청에 속한 정삼품의 무관 벼슬. 기사 별장(別將) 아래 3명을 두었다.
🌏 騎: 말탈 기 士: 선비 사 將: 장수 장 -
국숫줄 : 은어로, ‘포승’을 이르는 말. (포승: 죄인을 잡아 묶는 노끈.)
-
금석재 (金石材) : 쇠나 돌 따위의 광물성 약재.
🌏 金: 쇠 금 石: 돌 석 材: 재목 재 -
고속정 (高速艇) : 작고 속력이 빠른 배.
🌏 高: 높을 고 速: 빠를 속 艇: 거룻배 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