ㄱ ㄱ ㅅ 🌷자음(초성) 단어 271개
-
개강사 (開講辭) : 강의를 할 때 강습이나 강의의 목적과 내용, 의의 및 그 운영 따위에 대하여 하는 말.
🌏 開: 열 개 講: 강론할 강 辭: 말씀 사 -
고가선 (高架線) : 1 도시 교통의 혼잡을 덜고 교통 소통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땅 위에 높은 구조물을 만들어 그 위에 가설한 철도. 2 높이 건너질러 가설하여 고압 전류를 송전하는 전선.
🌏 高: 높을 고 架: 시렁 가 線: 선 선 -
공고상 (公故床) : ‘번상’을 격식을 차려 이르는 말. (번상: 예전에, 번을 들 때에 자기 집에서 차려 내오던 밥상.)
🌏 公: 공변될 공 故: 옛 고 床: 평상 상 -
공급소 (供給所) : 공급하는 일을 맡아보는 곳.
🌏 供: 이바지할 공 給: 줄 급 所: 바 소 -
가공선 (架空線) : 전력을 보내거나 통신을 할 수 있도록 공중에 가로질러 설치한 선.
🌏 架: 시렁 가 空: 빌 공 線: 선 선 -
기계실 (機械室) : 기계를 설치하여 놓은 방.
🌏 機: 틀 기 械: 형틀 계 室: 집 실 -
경구시 (警句詩) : 어떤 인물이나 사건을 기발하고 날카로운 표현으로 비꼬고 풍자한 시.
🌏 警: 경계할 경 句: 구절 구 詩: 시 시 -
가구상 (家具商) : 1 가구를 파는 상점. 2 가구를 파는 장사. 또는 그런 장수.
🌏 家: 집 가 具: 갖출 구 商: 장사 상 -
견고성 (堅固性) : 굳고 단단한 성질.
🌏 堅: 굳을 견 固: 굳을 고 性: 성품 성 -
개가식 (開架式) : 도서관에서 열람자가 원하는 책을 자유로이 찾아볼 수 있도록 하는 운영 제도.
🌏 開: 열 개 架: 시렁 가 式: 법 식 -
김관식 (金冠植) : 시인(1934~1970). 호는 추수(秋水)ㆍ만오(晩悟)ㆍ우현(又玄). 1955년 ≪현대 문학≫을 통하여 등단하였다. 박학한 한학을 바탕으로 동양인의 서정 세계를 노래하였다. 시집에 ≪김관식 시선≫, ≪낙화집(落花集)≫, 역서(譯書)에 ≪서경(書經)≫ 따위가 있다.
🌏 金: 성 김 冠: 갓 관 植: 심을 식 -
겉고샅 : → 겉고삿. (겉고삿: 초가지붕을 일 때, 이엉을 얹은 위에 걸쳐 매는 새끼.)
-
기경성 (氣硬性) : 공기 중에서 굳어지는 성질.
🌏 氣: 기운 기 硬: 굳을 경 性: 성품 성 -
공기실 (空氣室) : 1 수압 장치에서, 액체의 유출을 고르게 하기 위한 공기가 들어 있는 방. 2 압축 공기를 넣은 용기실.
🌏 空: 빌 공 氣: 기운 기 室: 집 실 -
구공신 (九功臣) : 고려 말기에, 공양왕이 즉위하는 데 공이 컸던 아홉 명의 신하. 이성계, 정몽주, 심덕부(沈德符), 지용기(池湧奇), 설장수(偰長壽), 성석린(成石璘), 박위(朴葳), 조준, 정도전을 이른다.
🌏 九: 아홉 구 功: 공 공 臣: 신하 신 -
경각성 (警覺性) : 정신을 차리고 주의 깊게 살피어 경계하는 태도.
🌏 警: 경계할 경 覺: 깨달을 각 性: 성품 성 -
감공사 (監工司) : 조선 후기에, 화폐 주조에 관한 사무를 맡아보던 관아. 고종 18년(1881)에 통리기무아문의 12사가 7사로 개편되고 업무가 조정될 때 7사의 하나로 설치되었다가, 1884년 10월 갑신정변이 실패로 돌아간 직후 다시 정부 기구가 개편되면서 없어졌다.
🌏 監: 볼 감 工: 장인 공 司: 맡을 사 -
공공성 (公共性) : 한 개인이나 단체가 아닌 일반 사회 구성원 전체에 두루 관련되는 성질.
🌏 公: 공변될 공 共: 함께 공 性: 성품 성 -
가겟세 (가겟貰) : 가게를 하는 자리를 빌려 쓰는 대가로 주는 돈.
🌏 貰: 세낼 세 -
객관설 (客觀說) : 1 인간 인식은 진정한 진리에 이를 수 있다는 인식론에 입각한 학설. 2 인간 의식의 바깥에 인식되기 이전의 실재가 존재한다는 학설.
🌏 客: 손님 객 觀: 볼 관 說: 말씀 설 -
기계술 (機械術) : 기계를 다루는 기술.
🌏 機: 틀 기 械: 형틀 계 術: 꾀 술 -
긴급사 (緊急事) : 나라에서 긴급한 문서를 전달할 때에, 그 문서의 초면(初面)이나 마패 따위에 새겨 넣던 글자. 이러한 글자가 새겨진 문서를 접수하면 역에서는 밤낮을 가리지 않고 교대로 계속 빨리 달려 목적지까지 전했다.
🌏 緊: 팽팽할 긴 急: 급할 급 事: 일 사 -
긋기새 : 단청에서, 색선으로 그은 선과 선 사이.
-
급가속 (急加速) : 자동차, 배 따위의 속력을 갑자기 높이는 일.
🌏 急: 급할 급 加: 더할 가 速: 빠를 속 -
공고성 (鞏固性) : 단단하고 튼튼한 성질.
🌏 鞏: 굳을 공 固: 굳을 고 性: 성품 성 -
귀곡사 (귀曲四) : 바둑에서, 귀각에 생긴 곡사궁.
🌏 曲: 굽을 곡 四: 넉 사 -
가관속 (假官屬) : 관가에서 임시로 부리는 노비 따위를 이르던 말.
🌏 假: 거짓 가 官: 벼슬 관 屬: 무리 속 -
금강성 (金剛城) : 고려 시대의 속악. 고려 현종 때 거란의 침입으로 불타 버린 궁궐을 재건할 때 지었다고도 하고, 강화로 피란 갔다가 개성으로 돌아왔을 때 지었다고도 한다. ≪고려사≫ <악지(樂志)>에 이름과 제작 동기가 간단히 전할 뿐 가사는 전하지 않는다.
🌏 金: 쇠 금 剛: 굳셀 강 城: 재 성 -
겉고삿 : 초가지붕을 일 때, 이엉을 얹은 위에 걸쳐 매는 새끼.
-
기관사 (機關士) : 일정한 자격을 갖추어 열차나 지하철, 선박, 항공기 따위의 기관을 다루거나 조종하는 사람.
🌏 機: 틀 기 關: 빗장 관 士: 선비 사 -
국교생 (國校生) : 예전에, ‘국민학교 학생’을 줄여 이르던 말.
🌏 國: 나라 국 校: 학교 교 生: 날 생 -
김교신 (金敎臣) : 종교인ㆍ교육자(1901~1945). 경기 중학, 양정 중학에서 박물학(博物學)을 가르치며 학생들에게 독립 정신을 고취하였다. 잡지 ≪성서 조선(聖書朝鮮)≫을 발간하였는데, 1942년에 일본 관헌에 의하여 폐간됨과 동시에 옥고를 치렀다. 저서에 ≪김교신 전집≫이 있다.
🌏 金: 성 김 敎: 가르칠 교 臣: 신하 신 -
금광상 (金鑛床) : 금이 묻혀 있는 광상.
🌏 金: 쇠 금 鑛: 쇳돌 광 床: 평상 상 -
간기술 (幹技術) : 생년월일을 가지고 간지(干支)에 의하여 사람의 운세를 점치는 기술.
🌏 幹: 줄기 간 技: 재주 기 術: 꾀 술 -
구급선 (救急船) : 응급 환자나 부상자를 신속하게 실어 나르는 배.
🌏 救: 구원할 구 急: 급할 급 船: 배 선 -
과거세 (過去世) : 삼생(三生)의 하나. 이 세상에 태어나기 이전의 생애를 이른다.
🌏 過: 지날 과 去: 갈 거 世: 세대 세 -
결과수 (結果樹) : 열매를 맺는 나무.
🌏 結: 맺을 결 果: 열매 과 樹: 나무 수 -
기관선 (機關禪) : 단계를 베풀어 깨달음의 경지에 이르게 하는 선풍(禪風).
🌏 機: 틀 기 關: 빗장 관 禪: 고요할 선 -
과격성 (過激性) : 정도가 지나치게 격렬한 성질.
🌏 過: 지날 과 激: 과격할 격 性: 성품 성 -
공가설 (空假說) : 버려질 가능성이 큰 통계적 가설.
🌏 空: 빌 공 假: 거짓 가 說: 말씀 설 -
강경선 (江景線) : 호남선 채운역에서 분기하여 동남쪽으로 연무대에 이르는 철도. 1958년 5월에 개통되었다. 길이는 5.8km.
🌏 江: 강 강 景: 경치 경 線: 선 선 -
기계사 (機械師) : 기계를 다루는 기사(技師).
🌏 機: 틀 기 械: 형틀 계 師: 스승 사 -
급기시 (及其時) : ‘급기시하다’의 어근. (급기시하다: 그때에 다다르다.)
🌏 及: 미칠 급 其: 그 기 時: 때 시 -
김근사 (金謹思) : 조선 전기의 문신(1466~1539). 자는 명통(明通). 중종 28년(1533) 김안로 일파로 들어가 우의정에 올랐으나 김안로가 실각하자 귀양 가서 죽었다.
🌏 金: 성 김 謹: 삼갈 근 思: 생각 사 -
구급소 (救急所) : 응급 치료를 할 수 있는 의료 시설을 갖춘 곳. 주로 큰 공장과 탄광, 광산의 갱 안에 있다.
🌏 救: 구원할 구 急: 급할 급 所: 바 소 -
기개세 (氣蓋勢) : 기세가 세상을 덮을 만큼 왕성함.
🌏 氣: 기운 기 蓋: 덮을 개 勢: 기세 세 -
관계식 (關係式) :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양이나 문자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식. 공식, 등식, 부등식, 방정식 따위가 있다.
🌏 關: 빗장 관 係: 걸릴 계 式: 법 식 -
공간성 (空間性) : 공간에 대한 관념이나 공간으로서의 특성.
🌏 空: 빌 공 間: 사이 간 性: 성품 성 -
국극사 (國劇社) : 1945년 10월에 조직한 국립 국악원 산하의 창극 단체.
🌏 國: 나라 국 劇: 심할 극 몹시 극 격렬할 극 연극 극 교통의요충지 극 번다할 극 번거로운직무 극 간난할 극 클 극 빠를 극 社: 모일 사 -
공격성 (攻擊性) : 상대편에게 적대적 행동을 취하고 공격을 하며 파괴적 행동을 하는 성질.
🌏 攻: 칠 공 擊: 부딪칠 격 性: 성품 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