龍 🌏한자(사자성어) 💡민속 분야 86개
龍:
용 룡
용 용
둔덕 롱
둔덕 농
얼룩 망
은총 총
총획:16
부수:龍
국어사전에서 🌏한자 "龍 (용 룡, 용 용)" 단어이고, '민속' 관련 단어는 86개 입니다.
💡통계
품사
글자수
한자
끝 글자
시작 글자
-
오룡쟁주
(五龍爭珠)
:
풍수지리설에서, 다섯 용이 여의주를 얻으려고 다투는 형세.
🌏 五: 다섯 오 龍: 용 룡 爭: 다툴 쟁 珠: 구슬 주 -
내룡
(來龍)
:
풍수지리에서, 종산(宗山)에서 내려온 산줄기.
🌏 來: 올 내 龍: 용 룡 -
단청룡
(單靑龍)
:
풍수지리에서, 묏자리나 집터의 뒷산에서 왼쪽으로 뻗어 나간 산줄기 가운데 가장 안쪽에 있는 줄기.
🌏 單: 홑 단 靑: 푸를 청 龍: 용 룡 -
산내룡
(山來龍)
:
풍수지리에서, 종산(宗山)에서 내려온 산줄기.
🌏 山: 뫼 산 來: 올 내 龍: 용 룡 -
용맥
(龍脈)
:
풍수지리에서, 산의 정기가 흐르는 산줄기. 그 정기가 모인 자리가 혈(穴)이 된다.
🌏 龍: 용 용 脈: 맥 맥 -
서방 토룡제
(西方土龍祭)
:
오방 토룡제의 하나. 서방 토룡단에서 서쪽을 맡은 백룡에게 비가 오기를 빌던 제사이다.
🌏 西: 서녘 서 方: 모 방 土: 흙 토 龍: 용 룡 祭: 제사 제 -
청룡굿
(靑龍굿)
:
장독에 축원을 드리는 굿.
🌏 靑: 푸를 청 龍: 용 룡 -
용날
(龍날)
:
지지(地支)가 진(辰)으로 된 날.
🌏 龍: 용 용 -
용떡
(龍떡)
:
혼례나 굿 따위에서, 가래떡을 굵직하게 길게 비벼서 큼직한 양푼에 용의 모양이 되도록 서리어 담은 떡.
🌏 龍: 용 용 -
천리행룡
(千里行龍)
:
1
어떤 일을 바로 말하지 아니하고 그 유래를 말하여 차차 그 일에 미치도록 하는 것.
2
풍수지리에서, 산맥이 높았다 낮았다 하며 힘차게 멀리 뻗음.
🌏 千: 일천 천 里: 마을 리 行: 다닐 행 龍: 용 룡 -
토룡제
(土龍祭)
:
흙으로 빚은 용을 놓고 비가 오기를 빌며 지내던 제사.
🌏 土: 흙 토 龍: 용 룡 祭: 제사 제 -
용왕길
(龍王길)
:
제주 풍신제인 영등굿놀이에서, 용왕과 영등신이 오는 길.
🌏 龍: 용 용 王: 임금 왕 -
용틀임하다
(龍틀임하다)
:
1
이리저리 비틀거나 꼬면서 움직이다.
2
땅재주 동작에서, 동쪽으로 서서 여러 번 살판뜀을 하여 공중에 솟다가 몸을 돌려 떨어지면서 북쪽을 보고 서다.
3
양주 별산대놀이 춤사위에서, 장삼 자락을 두 손으로 잡고 몸을 비틀듯이 허리를 구부리고 몸의 중심을 좌우로 옮겨 이쪽저쪽을 보다가 제자리에서 일어나다.
🌏 龍: 용 용 -
남방 토룡제
(南方土龍祭)
:
오방 토룡제의 하나. 남방 토룡단에서 남쪽을 맡은 적룡에게 비를 빌던 제사이다.
🌏 南: 남녘 남 方: 모 방 土: 흙 토 龍: 용 룡 祭: 제사 제 -
동방 토룡제
(東方土龍祭)
:
오방 토룡제의 하나. 동방 토룡단에서 동쪽을 맡은 청룡에게 비를 빌던 제사이다.
🌏 東: 동녘 동 方: 모 방 土: 흙 토 龍: 용 룡 祭: 제사 제 -
흑룡 기우제
(黑龍祈雨祭)
:
오방 토룡제(五方土龍祭)의 하나. 북방 토룡단에서 북쪽을 맡은 흑룡에게 비를 빌던 제사이다.
🌏 黑: 검을 흑 龍: 용 룡 祈: 빌 기 雨: 비 우 祭: 제사 제 -
청룡 기우제
(靑龍祈雨祭)
:
오방 토룡제의 하나. 동방 토룡단에서 동쪽을 맡은 청룡에게 비를 빌던 제사이다.
🌏 靑: 푸를 청 龍: 용 룡 祈: 빌 기 雨: 비 우 祭: 제사 제 -
용비
(龍鼻)
:
코 모양의 하나. 콧날이 두둑하며 위아래가 밋밋하고, 콧방울은 빈약하며, 콧구멍이 앞에서 약간 보이는 코를 이른다.
🌏 龍: 용 용 鼻: 코 비 -
용의 밭갈기
(龍의밭갈기)
:
한 해의 풍흉(豐凶)을 알아보는 점의 하나. 동지를 전후하여 함창의 공검지, 밀양의 남지, 당진의 합덕지, 연안의 남대지에 언 얼음의 모양이 남에서 북으로 갈라지면 풍년, 서에서 북으로 갈라지면 흉년, 동서남북으로 갈라지면 풍년도 흉년도 아니라고 한다.
🌏 龍: 용 용 -
용왕문
(龍王門)
:
제주 영등굿놀이에서, 용왕과 영등신이 찾아온다고 하는 문. 푸른 잎이 붙은 1미터가량의 댓가지 8개를 한 줄로 꽂아 흰 종이, 지전(紙錢), 돈 따위를 걸어 놓는다.
🌏 龍: 용 용 王: 임금 왕 門: 문 문 -
사룡
(死龍)
:
풍수지리에서, 묏자리의 뒤에 종산(宗山)에서 내려오는 맥이 없거나 끊어진 지형. 자손이 끊어지고 가난하게 된다는 나쁜 지형이다.
🌏 死: 죽을 사 龍: 용 룡 -
용궁맞이
(龍宮맞이)
:
진도 씻김굿의 하나. 물에 빠져 죽은 이의 넋을 물속에서 건져 내어 그 한을 풀어 주고 영혼을 씻겨 준다. 익사한 곳에서 넋을 건져 내어 집 안에 모셔다 놓고 한다.
🌏 龍: 용 용 宮: 집 궁 -
외청룡
(外靑龍)
:
풍수지리에서, 묏자리나 집터의 뒷산에서 왼쪽으로 뻗어 나간 산줄기 가운데 가장 바깥쪽에 있는 줄기.
🌏 外: 바깥 외 靑: 푸를 청 龍: 용 룡 -
북방 토룡제
(北方土龍祭)
:
오방 토룡제(五方土龍祭)의 하나. 북방 토룡단에서 북쪽을 맡은 흑룡에게 비를 빌던 제사이다.
🌏 北: 북녘 북 方: 모 방 土: 흙 토 龍: 용 룡 祭: 제사 제 -
용연 기우제
(龍淵祈雨祭)
:
제주 용담동 용연에서 가물 때 지내던 기우제.
🌏 龍: 용 용 淵: 못 연 祈: 빌 기 雨: 비 우 祭: 제사 제 -
용왕먹이기
(龍王먹이기)
:
음력 정월 14일에 배의 주인이 제주가 되어 뱃사공들이 지내는 제사. 무당을 부르지 않는 점에서 ‘용왕굿’과 다르다. (용왕굿: 별신굿의 하나. 바닷가로 나가 무당이 물동이를 타고 방울을 흔들며 공수를 내리고 음식을 떼어 바다에 던진다., 인천을 중심으로 한 서해안 갯마을의 도당굿. 정월 대보름을 전후하여 이 굿을 베풀어 마을의 안녕과 풍어를 빈다. 지역에 따라 명칭이 각각 다른데, 동해안에서는 별신굿, 서해안에서는 배연신굿, 위도에서는 띠뱃놀이, 강화도에서는 시선뱃놀이, 해운대에서는 용왕맞이, 정주에서는 축복놀이라고 한다.)
🌏 龍: 용 용 王: 임금 왕 -
백룡 기우제
(白龍祈雨祭)
:
오방 토룡제의 하나. 서방 토룡단에서 서쪽을 맡은 백룡에게 비가 오기를 빌던 제사이다.
🌏 白: 흰 백 龍: 용 룡 祈: 빌 기 雨: 비 우 祭: 제사 제 -
용치수
(龍治水)
:
음력 정월에 처음 드는 용날을 이르는 말. 초하루면 ‘일용치수’, 초엿새면 ‘육용치수’라 하여, 용의 수로 그해의 강수량을 점친다.
🌏 龍: 용 용 治: 다스릴 치 水: 물 수 -
황룡 기우제
(黃龍祈雨祭)
:
오방 토룡제(五方土龍祭)의 하나. 중앙 토룡단에서 중앙을 맡은 황룡에게 비를 빌던 제사이다.
🌏 黃: 누를 황 龍: 용 룡 祈: 빌 기 雨: 비 우 祭: 제사 제 -
용혐저면흑
(龍嫌豬面黑)
:
원진살(元嗔煞)의 하나. 용띠는 돼지띠를 꺼린다는 말이다.
🌏 龍: 용 용 嫌: 싫어할 혐 豬: 돼지 저 面: 낯 면 黑: 검을 흑 -
용호
(龍虎)
:
1
용과 범을 아울러 이르는 말.
2
실력이 비슷한 두 사람의 영웅을 아울러 이르는 말.
3
풍수지리에서, 묏자리나 집터의 왼쪽과 오른쪽의 지형을 이르는 말.
🌏 龍: 용 용 虎: 범 호 -
용틀임
(龍틀임)
:
1
땅재주 동작의 하나. 동쪽으로 서서 여러 번 살판뜀을 하여 공중에 솟다가 몸을 돌려 떨어지면서 북쪽을 보고 선다.
2
이리저리 비틀거나 꼬면서 움직임.
3
용의 모양을 틀어 새긴 장식.
... (총 4개의 의미)
🌏 龍: 용 용 -
청룡단지
(靑龍단지)
:
주로 호남에서 모시는 가신(家神)의 신체(神體). 쌀이나 한지(韓紙)를 넣고 주저리를 덮어 집 뒤꼍의 나무 밑에 묻는다.
🌏 靑: 푸를 청 龍: 용 룡 -
행룡
(行龍)
:
풍수지리에서, 높았다 낮았다 하며 멀리 뻗어 나간 산맥.
🌏 行: 다닐 행 龍: 용 룡 -
나룡
(懶龍)
:
풍수지리에서, 지형의 기복이나 굴곡이 심하지 아니한 산줄기를 이르는 말.
🌏 懶: 게으를 나 龍: 용 룡 -
서방 토룡단
(西方土龍壇)
:
조선 시대에, 오방 토룡제를 지내던 제단의 하나. 서울 마포 부근에 설치하였다가 뒤에 양화도 옆으로 옮겼다.
🌏 西: 서녘 서 方: 모 방 土: 흙 토 龍: 용 룡 壇: 단 단 -
용궁당
(龍宮堂)
:
용왕에게 제사를 올리는 집.
🌏 龍: 용 용 宮: 집 궁 堂: 집 당 -
간룡
(看龍)
:
풍수지리에서, 묘지 뒤의 내룡(來龍)을 찾아보는 일. 내룡이 어떠한가에 따라 산소의 복되고 복되지 않음이 결정된다.
🌏 看: 볼 간 龍: 용 룡 -
청룡날
(靑龍날)
:
풍수지리에서, 산의 청룡 줄기.
🌏 靑: 푸를 청 龍: 용 룡 -
심룡
(尋龍)
:
풍수지리에서, 으뜸이 되는 산줄기를 찾는 일.
🌏 尋: 찾을 심 龍: 용 룡 -
후룡
(後龍)
:
묏자리나 집을 지을 터, 도읍할 터의 뒤쪽으로 바로 벋어 내려온 산줄기.
🌏 後: 뒤 후 龍: 용 룡 -
용알뜨기
(龍알뜨기)
:
정월의 첫 용날 첫닭이 울 때, 아낙네들이 다투어 정화수를 길어 오던 풍속. 그 전날 밤에 용이 내려와 우물 속에 알을 낳는데, 남보다 먼저 그 물을 길어서 밥을 해 먹으면 그해 농사가 잘된다고 한다.
🌏 龍: 용 용 -
주룡
(主龍)
:
풍수지리에서, 주산(主山)의 줄기.
🌏 主: 주인 주 龍: 용 룡 -
용왕경
(龍王經)
:
용왕에게 비를 내려 달라고 비는 제사 때 읽는 경문.
🌏 龍: 용 용 王: 임금 왕 經: 경서 경 -
북방 토룡단
(北方土龍壇)
:
조선 시대에, 오방 토룡제(五方土龍祭)를 지내던 제단(祭壇)의 하나. 서울 창의문 밖 여제단(厲祭壇) 옆에 있었다.
🌏 北: 북녘 북 方: 모 방 土: 흙 토 龍: 용 룡 壇: 단 단 -
용궁부인
(龍宮夫人)
:
서울 무당이 섬기던 물귀신.
🌏 龍: 용 용 宮: 집 궁 夫: 남편 부 人: 사람 인 -
용제
(龍祭)
:
가물 때 용왕에게 비를 빌던 제사.
🌏 龍: 용 용 祭: 제사 제 -
심룡하다
(尋龍하다)
:
풍수지리에서, 으뜸이 되는 산줄기를 찾다.
🌏 尋: 찾을 심 龍: 용 룡 -
내청룡
(內靑龍)
:
풍수지리에서, 묏자리나 집터의 뒷산에서 왼쪽으로 뻗어 나간 산줄기 가운데 가장 안쪽에 있는 줄기.
🌏 內: 안 내 靑: 푸를 청 龍: 용 룡 -
용단지
(龍단지)
:
가신(家神)을 모시는 신체(神體)의 하나. 풍년과 집안의 평안을 비는 뜻으로 벼를 넣어서 부엌이나 창고 또는 다락에 모시는 단지이다.
🌏 龍: 용 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