音 🌏한자(사자성어) 💡언어 분야 436개
-
두음
(頭音)
:
1
음절의 첫소리. ‘하늘’에서의 ‘ㅎ’, ‘ㄴ’ 따위이다.
2
단어의 첫소리. ‘하늘’에서의 ‘ㅎ’ 따위이다.
🌏 頭: 머리 두 音: 소리 음 -
표음
(表音)
:
문자나 부호로 소리를 나타내는 일.
🌏 表: 겉 표 音: 소리 음 -
치음
(齒音)
:
혀끝과 윗니 또는 윗잇몸이 닿아서 나는 소리. 현대 국어에서 ‘ㅅ’, ‘ㅆ’, ‘ㄴ’, ‘ㄹ’ 따위를 이른다.
🌏 齒: 이 치 音: 소리 음 -
순경음 비읍
(脣輕音비읍)
:
옛 한글 자음 ‘ㅸ’의 이름.
🌏 脣: 입술 순 輕: 가벼울 경 音: 소리 음 -
연음
(軟音)
:
구강 내부의 기압 및 발음 기관의 긴장도가 낮아 약하게 파열되는 자음. ‘ㄱ’, ‘ㄷ’, ‘ㅂ’, ‘ㅅ’, ‘ㅈ’ 따위를 이른다.
🌏 軟: 부드러울 연 音: 소리 음 -
단음
(斷音)
:
1
내던 소리를 끊음.
2
자음의 하나. 숨이 발음과 동시에 끊어지는 소리이다. 파열음과 촉음으로 나눈다.
🌏 斷: 끊을 단 音: 소리 음 -
음소
(音素)
:
더 이상 작게 나눌 수 없는 음운론상의 최소 단위. 하나 이상의 음소가 모여서 음절을 이룬다.
🌏 音: 소리 음 素: 흴 소 -
음운 동화
(音韻同化)
:
소리와 소리가 이어서 날 때에, 한 소리가 다른 소리의 영향을 받아서 그와 같거나 비슷하게 소리가 나는 음운 현상. 모음 조화, 원순 모음화, 유음화 따위가 있다.
🌏 音: 소리 음 韻: 운 운 同: 같을 동 化: 될 화 -
홑자음
(홑子音)
:
홑으로 소리 나는 자음.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ㅎ’ 따위가 있다.
🌏 子: 아들 자 音: 소리 음 -
관습음
(慣習音)
:
어법에는 어긋나지만 널리 쓰여 일반의 버릇으로 굳어진 소리. ‘하고’를 ‘하구’로 발음하는 따위이다.
🌏 慣: 버릇 관 習: 익힐 습 音: 소리 음 -
훈민정음
(訓民正音)
:
1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라는 뜻으로, 1443년에 세종이 창제한 우리나라 글자를 이르는 말.
2
조선 세종 28년(1446)에 훈민정음 28자를 세상에 반포할 때에 찍어 낸 판각 원본. 세종이 훈민정음 창제의 취지를 밝힌 어제 서문(御製序文), 자음자와 모음자의 음가와 운용 방법을 설명한 예의(例義), 훈민정음을 해설한 해례, 정인지 서(序)로 되어 있다. 1997년에 유네스코 세계 기록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국보 제70호.
🌏 訓: 가르칠 훈 民: 백성 민 正: 바를 정 音: 소리 음 -
매개 자음
(媒介子音)
:
모음 충돌을 피하기 위하여 두 모음 사이에 끼워 넣는 자음. 예를 들면, ‘+j+아→야’에서 ‘j’ 따위이다.
🌏 媒: 중매 매 介: 끼일 개 子: 아들 자 音: 소리 음 -
음편
(音便)
:
음이 연속될 때, 어떤 음이 발음하기 쉬운 다른 음으로 변하는 현상. ‘ㄹ’ 아래에서의 ‘이’를 ‘리’로 발음하는 것 따위이다.
🌏 音: 소리 음 便: 편할 편 -
아음
(牙音)
:
훈민정음에서 ‘ㄱ’, ‘ㄲ’, ‘ㆁ’, ‘ㅋ’을 이르는 말.
🌏 牙: 어금니 아 音: 소리 음 -
음운 법칙
(音韻法則)
:
어떤 시기에 일어난 소리의 변화에 대한 규칙.
🌏 音: 소리 음 韻: 운 운 法: 법도 법 則: 법 칙 -
중성 모음
(中性母音)
:
모음 조화가 있는 언어에서 어떤 모음과도 잘 어울리는 모음. 우리말의 모음 ‘ㅣ’ 따위이다.
🌏 中: 가운데 중 性: 성품 성 母: 어머니 모 音: 소리 음 -
설본음
(舌本音)
:
혀뿌리와 여린입천장ㆍ목젖 사이에서 나는 소리. 국어의 ‘ㄱ’, ‘ㅋ’, ‘ㅇ’ 따위가 있다.
🌏 舌: 혀 설 本: 근본 본 音: 소리 음 -
개음절
(開音節)
:
모음으로 끝나는 음절. ‘가, 거, 고, 구’ 따위처럼 받침이 없는 음절이 이에 속한다.
🌏 開: 열 개 音: 소리 음 節: 마디 절 -
끝모음
(끝母音)
:
어떤 음절이나 단어의 끝에 나는 모음. ‘소’, ‘국어’에서 ‘ㅗ’, ‘ㅓ’ 따위이다.
🌏 母: 어머니 모 音: 소리 음 -
단음
(短音)
:
낱말을 이루는 소리 가운데 원래 긴소리에 비해 짧게 내는 소리.
🌏 短: 짧을 단 音: 소리 음 -
기본 음절표
(基本音節表)
: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가로와 세로로 나누고 이 두 가지가 합쳐 이루어진 음절을 나타낸 표. 초보적인 문자 학습에 이용한다.
🌏 基: 터 기 本: 근본 본 音: 소리 음 節: 마디 절 表: 겉 표 -
비음
(鼻音)
:
1
코가 막힌 듯이 내는 소리.
2
입 안의 통로를 막고 코로 공기를 내보내면서 내는 소리. ‘ㄴ’, ‘ㅁ’, ‘ㅇ’ 따위가 있다.
🌏 鼻: 코 비 音: 소리 음 -
음운학
(音韻學)
:
1
한자의 음운, 사성(四聲), 반절 따위에 관하여 연구하는 학문. 언어학의 한 분야이다.
2
추상적이고 심리적인 말소리인 음운을 대상으로 음운 체계를 밝히고, 그 역사적 변천을 연구하는 학문. 언어학의 한 분야이다.
🌏 音: 소리 음 韻: 운 운 學: 배울 학 -
간음
(間音)
:
1
두 개의 형태소 또는 단어가 어울려 합성 명사를 이룰 때 그 사이에 덧생기는 소리.
2
한 단어 또는 한 어절 안의 두 모음이 상호 동화 하여 변한 음.
🌏 間: 사이 간 音: 소리 음 -
단음 문자
(單音文字)
:
표음 문자의 하나. 자음과 모음의 음소 단위를 나타낼 수 있는 글자이다. 한글의 자모와 영어의 알파벳 따위를 이르며, 특히 한글 자모는 자질 문자라 이르기도 한다.
🌏 單: 홑 단 音: 소리 음 文: 글월 문 꾸밀 문 字: 글자 자 -
음역
(音譯)
:
한자음을 가지고 외국어의 음을 나타내는 일.
🌏 音: 소리 음 譯: 통변할 역 -
표음 기호
(表音記號)
:
말소리를 음성학적으로 표시하는 기호.
🌏 表: 겉 표 音: 소리 음 記: 기록할 기 號: 부르짖을 호 -
설권음
(舌卷音)
:
혀끝을 윗잇몸 또는 경구개 쪽으로 말아 올리면서 내는 소리.
🌏 舌: 혀 설 卷: 책 권 音: 소리 음 -
격음화
(激音化)
:
예사소리 ‘ㄱ’, ‘ㄷ’, ‘ㅂ’, ‘ㅈ’이 거센소리 ‘ㅋ’, ‘ㅌ’, ‘ㅍ’, ‘ㅊ’으로 바뀌는 현상. 통시적으로는 ‘고[鼻]’가 ‘코’, ‘갈[刀]’이 ‘칼’로 되는 따위이고, 공시적으로는 ‘입학’이 ‘[이팍]’, ‘젖히다’가 ‘[저치다]’로 되는 것 따위이다.
🌏 激: 과격할 격 音: 소리 음 化: 될 화 -
개구음
(開口音)
:
중국 음운학에서, 모음을 발음할 때 입술은 움직이지 아니하고 입만 벌리고 내는 소리. 즉 자음과 모음 사이에 ‘w’의 과도음(過渡音)이 들어가지 않은 소리를 이른다.
🌏 開: 열 개 口: 입 구 音: 소리 음 -
설타음
(舌打音)
:
흡기음의 하나. 입천장과 혓바닥 또는 두 입술 사이를 막아 안쪽의 구강(口腔)을 진공 상태로 만든 후에 막은 것을 급격히 열 때에 나는 파열음(破裂音). 혀를 찰 때에 나는 ‘쯧쯧’과 같은 소리가 여기에 해당한다. (쯧쯧: 연민을 느끼거나 마음에 못마땅하여 자꾸 가볍게 혀를 차는 소리., 연민을 느끼거나 마음에 못마땅할 때에 혀를 자꾸 차 내는 소리.)
🌏 舌: 혀 설 打: 칠 타 音: 소리 음 -
무성 자음
(無聲子音)
:
성대(聲帶)가 진동하지 않고 나는 자음. 국어에서는, ‘ㄱ’, ‘ㄷ’, ‘ㅂ’, ‘ㅅ’, ‘ㅈ’, ‘ㅊ’, ‘ㅋ’, ‘ㅌ’, ‘ㅍ’, ‘ㅎ’, ‘ㄲ’, ‘ㄸ’, ‘ㅃ’, ‘ㅆ’, ‘ㅉ’이 있다.
🌏 無: 없을 무 聲: 소리 성 子: 아들 자 音: 소리 음 -
발음
(發音)
:
음성을 냄. 또는 그 음성.
🌏 發: 필 발 音: 소리 음 -
설전음
(舌顫音)
:
혀끝을 비교적 빠르게 떨면서 내는 소리. 혀끝을 윗잇몸에 대었다 떼었다 하는 운동을 반복함으로써 생긴다. 러시아어, 이탈리아어에서 혀끝을 윗잇몸에 대서 떨게 하는 ‘r’이 여기에 속한다.
🌏 舌: 혀 설 顫: 떨릴 전 音: 소리 음 -
구개수음
(口蓋垂音)
:
목젖과 후설면 사이에서 나는 소리.
🌏 口: 입 구 蓋: 덮을 개 垂: 드리울 수 音: 소리 음 -
청음
(淸音)
:
1
맑고 깨끗한 소리.
2
성대(聲帶)를 진동시키지 않고 내는 소리. 국어에서는, 자음의 ‘ㄱ’, ‘ㄷ’, ‘ㅂ’, ‘ㅅ’, ‘ㅈ’, ‘ㅊ’, ‘ㅋ’, ‘ㅌ’, ‘ㅍ’, ‘ㅎ’, ‘ㄲ’, ‘ㄸ’, ‘ㅃ’, ‘ㅆ’, ‘ㅉ’이다.
🌏 淸: 맑을 청 音: 소리 음 -
복음
(複音)
:
1
소리의 처음과 끝이 다르게 나는 소리.
2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높이의 음을 동시에 내는 일. 또는 그 음.
🌏 複: 겹옷 복 音: 소리 음 -
두음 법칙
(頭音法則)
:
일부 소리가 단어의 첫머리에 발음되는 것을 꺼려 나타나지 않거나 다른 소리로 발음되는 일. ‘ㅣ, ㅑ, ㅕ, ㅛ, ㅠ’ 앞에서의 ‘ㄹ’과 ‘ㄴ’이 없어지고, ‘ㅏ, ㅗ, ㅜ, ㅡ, ㅐ, ㅔ, ㅚ’ 앞의 ‘ㄹ’은 ‘ㄴ’으로 변하는 것 따위이다.
🌏 頭: 머리 두 音: 소리 음 法: 법도 법 則: 법 칙 -
평음
(平音)
:
구강 내부의 기압 및 발음 기관의 긴장도가 낮아 약하게 파열되는 자음. ‘ㄱ’, ‘ㄷ’, ‘ㅂ’, ‘ㅅ’, ‘ㅈ’ 따위를 이른다.
🌏 平: 평평할 평 音: 소리 음 -
철음
(綴音)
:
모음과 자음이 합하여 된 소리.
🌏 綴: 이을 철 音: 소리 음 -
호기음
(呼氣音)
:
내쉬는 숨에 의하여 발음되는 소리.
🌏 呼: 부를 호 氣: 기운 기 音: 소리 음 -
음의설
(音義說)
:
모든 글자의 음은 각기 독특한 뜻을 가지고 있다는 학설.
🌏 音: 소리 음 義: 옳을 의 순응할 의 명분 의 문체이름 의 뜻 의 가짜 의 은의 의 착할 의 의론 의 공정할 의 說: 말씀 설 -
음성 생리학
(音聲生理學)
:
음성 기관의 기능을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학문.
🌏 音: 소리 음 聲: 소리 성 生: 날 생 理: 다스릴 리 學: 배울 학 -
모음 동화
(母音同化)
:
모음과 모음이 서로 닮게 되는 음운 변화. 모음 조화, 전설 모음화 따위가 있다.
🌏 母: 어머니 모 音: 소리 음 同: 같을 동 化: 될 화 -
토음
(土音)
:
어느 한 지방에서만 쓰는, 표준어가 아닌 말.
🌏 土: 흙 토 音: 소리 음 -
닫힌음절
(닫힌音節)
:
자음으로 끝나는 음절. ‘책’, ‘밥’, ‘숲’ 따위가 있다.
🌏 音: 소리 음 節: 마디 절 -
음성 문자
(音聲文字)
:
말소리를 그대로 기호로 나타낸 문자. 한글, 로마자, 아라비아 문자 따위가 있다.
🌏 音: 소리 음 聲: 소리 성 文: 글월 문 꾸밀 문 字: 글자 자 -
방언음
(方言音)
:
방언에서 실제 발음하는 소리.
🌏 方: 모 방 言: 말씀 언 音: 소리 음 -
동음 생략
(同音省略)
:
한 단어 안에 같은 두 음소나 음소의 연속이 반복되어 나타날 때에, 그중 하나가 탈락하는 현상.
🌏 同: 같을 동 音: 소리 음 省: 덜 생 略: 다스릴 략 -
경음 부호
(硬音符號)
:
러시아어에서, 앞의 자음이 경자음(硬子音)임을 나타내기 위하여 쓰는 부호. ‘c
Ƃ ëmka’에서와 같이 ‘Ƃ ’로 표시한다.
🌏 硬: 굳을 경 音: 소리 음 符: 부신 부 號: 부르짖을 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