錄 🌏한자(사자성어) 💡2 글자 102개
錄:
기록할 록
기록할 녹
사실할 려
사실할 여
총획:16
부수:金
국어사전에서 🌏한자 "錄 (기록할 록, 기록할 녹)" 단어 중에서, '글자수 2개'의 단어는 102개 입니다.
💡통계
품사
분야
한자
끝 글자
시작 글자

-
녹음
(錄音)
:
테이프나 판 또는 영화 필름 따위에 소리를 기록함. 또는 그렇게 기록한 소리.
🌏 錄: 기록할 녹 音: 소리 음 -
환록
(換錄)
:
사유를 다르게 바꾸어 적음.
🌏 換: 바꿀 환 錄: 기록할 록 -
구록
(具錄)
:
필요한 것을 모두 갖추어 빠짐없이 기록함.
🌏 具: 갖출 구 錄: 기록할 록 -
신록
(新錄)
:
조선 시대에, 홍문관의 교리(校理)나 수찬(修撰)에 새로 뽑힌 사람을 이르던 말.
🌏 新: 새로울 신 錄: 기록할 록 -
수록
(手錄)
:
글이나 글씨를 자기 손으로 직접 씀.
🌏 手: 손 수 錄: 기록할 록 -
오록
(誤錄)
:
잘못 기입함. 또는 그런 기입.
🌏 誤: 그릇할 오 錄: 기록할 록 -
잡록
(雜錄)
:
1
여러 가지 일을 질서 없이 기록함. 또는 그런 기록.
2
자질구레한 일을 기록함. 또는 그런 기록.
🌏 雜: 섞일 잡 錄: 기록할 록 -
상록
(詳錄)
:
자세하게 기록함. 또는 그런 기록.
🌏 詳: 자세할 상 錄: 기록할 록 -
녹취
(錄取)
:
방송 따위의 내용을 녹음함. 또는 녹음한 것을 글로 옮겨 기록함.
🌏 錄: 기록할 녹 取: 취할 취 -
허록
(虛錄)
:
거짓으로 꾸며 기록함. 또는 그 기록.
🌏 虛: 빌 허 錄: 기록할 록 -
도록
(圖錄/圖籙)
:
앞날의 길흉을 예언하는 술법. 또는 그런 내용을 적은 책. ≪정감록≫ 따위가 있다.
🌏 圖: 그림 도 錄: 기록할 록 기록할 녹 사실할 려 사실할 여 圖: 그림 도 籙: 호적 록 호적 녹 -
녹차
(錄差)
:
임명할 사람의 이름을 대장에 올림.
🌏 錄: 기록할 녹 差: 어그러질 차 -
학록
(學錄)
:
1
고려 시대에, 국자감ㆍ국학ㆍ성균관에 속한 정구품 벼슬.
2
조선 시대에, 성균관에 속한 정구품 벼슬.
🌏 學: 배울 학 錄: 기록할 록 -
도록
(都錄)
:
사람이나 물건의 이름을 적은 목록.
🌏 都: 도읍 도 錄: 기록할 록 -
서록
(書錄)
:
주로 후일에 남길 목적으로 어떤 사실을 적음. 또는 그런 글.
🌏 書: 글 서 錄: 기록할 록 -
여록
(餘錄)
:
어떤 기록에서 빠진 나머지 사실의 기록.
🌏 餘: 남을 여 錄: 기록할 록 -
저록
(著錄)
:
1
어떤 사실을 드러내어 적음.
2
이름 따위를 장부에 적음.
🌏 著: 나타날 저 錄: 기록할 록 -
녹수
(錄囚)
:
옥에 갇힌 죄수에 대하여 그 죄상과 처결 상황 따위를 살피던 일.
🌏 錄: 기록할 녹 囚: 가둘 수 -
보록
(寶錄)
:
귀중한 기록.
🌏 寶: 보배 보 錄: 기록할 록 -
사록
(史錄)
:
역사에 관한 기록.
🌏 史: 역사 사 錄: 기록할 록 -
집록
(輯錄/集錄)
:
여러 책에서 모아 기록함. 또는 그런 기록.
🌏 輯: 모을 집 錄: 기록할 록 기록할 녹 사실할 려 사실할 여 集: 모을 집 錄: 기록할 록 기록할 녹 사실할 려 사실할 여 -
부록
(簿錄)
:
문서에 기록함.
🌏 簿: 장부 부 錄: 기록할 록 -
녹명
(錄名)
:
이름을 적음.
🌏 錄: 기록할 녹 名: 이름 명 -
선록
(選錄)
:
가려서 적음.
🌏 選: 가릴 선 錄: 기록할 록 -
암록
(暗錄)
:
몰래 기록함.
🌏 暗: 어두울 암 錄: 기록할 록 -
녹문
(錄問)
:
죄상을 문서에 적으면서 캐물음.
🌏 錄: 기록할 녹 問: 물을 문 -
심록
(審錄)
:
하급 법원의 심리 기록을 상급 법원에서 심리함.
🌏 審: 살필 심 錄: 기록할 록 -
수록
(蒐錄)
:
어떤 자료를 찾아 모아서 기록함.
🌏 蒐: 꼭두서니 수 錄: 기록할 록 -
현록
(懸錄)
:
장부에 기록함.
🌏 懸: 매달 현 錄: 기록할 록 -
향록
(鄕錄)
:
향족(鄕族)의 명부(名簿).
🌏 鄕: 시골 향 錄: 기록할 록 -
존록
(存錄)
:
잊지 않도록 기록하여 남김.
🌏 存: 있을 존 錄: 기록할 록 -
어록
(語錄)
:
1
위인들이 한 말을 간추려 모은 기록.
2
유학자가 설명한 유교 경서나 스님이 설명한 불교 교리를 뒤에 제자들이 기록한 책. ≪근사록≫, ≪전습록≫, ≪임제록≫, ≪주자어록≫ 따위가 있다.
3
중국 송나라 때, 학자들이 후진의 교도(敎導) 및 편지에 필요한 당시의 속어를 수집하여 구어체로 기록한 책.
🌏 語: 말씀 어 錄: 기록할 록 -
만록
(漫錄)
:
일정한 형식이나 체계 없이 느끼거나 생각나는 대로 글을 쓰는 일. 또는 그 글. 대체로 글 속에 사물에 대한 필자의 풍자나 비판이 들어 있다.
🌏 漫: 질펀할 만 錄: 기록할 록 -
사록
(司錄)
:
조선 시대에, 의정부에 속하여 봉록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정팔품 벼슬.
🌏 司: 맡을 사 錄: 기록할 록 -
협록
(夾錄)
:
편지 속에 따로 넣은 작은 쪽지에 적은 글.
🌏 夾: 낄 협 錄: 기록할 록 -
별록
(別錄)
:
중국 한(漢)나라 때 유향이 펴낸 장서(藏書) 목록집. 조정의 장서 목록과 해제집(解題集)을 모아 엮은 것으로, 당나라 때 없어져서 오늘날은 일부만 전한다. 20권.
🌏 別: 다를 별 錄: 기록할 록 -
찬록
(撰錄)
:
학문이나 문예 따위의 글을 짓거나 골라 모아서 기록함.
🌏 撰: 지을 찬 錄: 기록할 록 -
구록
(舊錄)
:
예전의 기록. 또는 묵은 기록.
🌏 舊: 옛 구 錄: 기록할 록 -
홍록
(弘錄)
:
홍문관에 속한 교리, 수찬 등을 임명할 때의 제1차 인선 기록.
🌏 弘: 넓을 홍 錄: 기록할 록 -
녹록
(碌碌/錄錄)
:
‘녹록하다’의 어근. (녹록하다: 평범하고 보잘것없다., 만만하고 상대하기 쉽다.)
🌏 碌: 푸른 빛 록 푸른 빛 녹 碌: 푸른 빛 록 푸른 빛 녹 錄: 기록할 록 기록할 녹 사실할 려 사실할 여 錄: 기록할 록 기록할 녹 사실할 려 사실할 여 -
녹자
(錄子)
:
신하가 임금에게 올리는 글의 하나.
🌏 錄: 기록할 녹 子: 아들 자 -
가록
(加錄)
:
1
조선 시대에, 홍문관의 관원을 추천할 때 명단에서 빠진 사람을 의정부에서 추가로 적어 넣던 일.
2
문부(文簿)를 정리할 때에, 금액 따위를 추가로 적어 넣던 일.
🌏 加: 더할 가 錄: 기록할 록 -
녹안
(錄案)
:
대장(臺帳)에 적음. 노비 이름을 노비 대장에 올리는 일 따위를 이른다.
🌏 錄: 기록할 녹 案: 책상 안 -
적록
(摘錄)
:
나중에 참고하기 위하여 글로 간단히 적어 둠. 또는 그런 기록.
🌏 摘: 딸 적 錄: 기록할 록 -
후록
(後錄)
:
글이 끝난 뒤에 덧붙인 기록.
🌏 後: 뒤 후 錄: 기록할 록 -
죄록
(罪錄)
:
죄를 기록한 문서.
🌏 罪: 허물 죄 錄: 기록할 록 -
도록
(盜錄)
:
남의 글이나 문헌에 있는 내용을 자기가 쓴 것처럼 그대로 옮기거나 훔쳐서 기록함.
🌏 盜: 도둑 도 錄: 기록할 록 -
녹용
(錄用)
:
1
사람을 골라서 씀.
2
어떤 의견, 방안 등을 고르거나 받아들여서 씀.
🌏 錄: 기록할 녹 用: 쓸 용 -
개록
(開錄)
:
상급 관청에 보내는 문서 끝에 이름이나 의견 따위를 적음.
🌏 開: 열 개 錄: 기록할 록 -
총록
(總錄)
:
모두 모아서 적은 기록.
🌏 總: 거느릴 총 錄: 기록할 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