說 🌏한자(사자성어) 💡철학 분야 142개
說:
말씀 설
달랠 세
기뻐할 열
벗을 탈
총획:14
부수:言
국어사전에서 🌏한자 "說 (말씀 설, 달랠 세)" 단어이고, '철학' 관련 단어는 142개 입니다.
💡통계
품사
글자수
한자
끝 글자
시작 글자

-
감정적 도덕설
(感情的道德說)
:
도덕적 행위의 동기를 감정에 두는 윤리 학설.
🌏 感: 느낄 감 情: 뜻 정 的: 과녁 적 道: 길 도 德: 덕 덕 說: 말씀 설 -
실재설
(實在說)
:
실재론의 학설.
🌏 實: 열매 실 在: 있을 재 說: 말씀 설 -
직관설
(直觀說)
:
진리나 실재는 분별적인 사고보다는 지적 직관에 의하여서만 인식이 가능하다는 사상.
🌏 直: 곧을 직 觀: 볼 관 說: 말씀 설 -
애타설
(愛他說)
:
사랑을 주의로 하고 질서를 기초로 하여 자기를 희생함으로써 타인의 행복과 복리의 증가를 행위의 목적으로 하는 생각. 또는 그 행위.
🌏 愛: 사랑 애 他: 다를 타 說: 말씀 설 -
자생설
(自生說)
:
사물의 한 현상이 저절로 생겨났다는 학설.
🌏 自: 스스로 자 生: 날 생 說: 말씀 설 -
전변설
(轉變說)
:
우주 일체는 하나의 실재(實在)가 스스로 변화하여 생성된 것이라는 학설. 고대 인도의 우파니샤드 철학의 중심 사상이다.
🌏 轉: 구를 전 變: 변할 변 說: 말씀 설 -
천부설
(天賦說)
:
사람의 성질과 능력은 태어나면서부터 갖추어져 있다는 이론.
🌏 天: 하늘 천 賦: 구실 부 說: 말씀 설 -
겹제약설
(겹制約說)
:
모든 현상은 한 가지 원인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고, 많은 제약이 겹쳐서 이루어진다는 학설.
🌏 制: 억제할 제 約: 맺을 약 說: 말씀 설 -
독단설
(獨斷說)
:
1
인간의 인식 능력에 관한 비판 없이 그대로 인식의 타당성을 믿는 이론.
2
일반적으로 불완전한 점이나 잘못된 점을 검토하지 않고 주관적 편견으로 어떤 판단을 주장하거나 긍정하는 태도.
🌏 獨: 홀로 독 斷: 끊을 단 說: 말씀 설 -
객관설
(客觀說)
:
1
인간 인식은 진정한 진리에 이를 수 있다는 인식론에 입각한 학설.
2
인간 의식의 바깥에 인식되기 이전의 실재가 존재한다는 학설.
🌏 客: 손님 객 觀: 볼 관 說: 말씀 설 -
참위설
(讖緯說)
:
고대 중국에서, 음양오행설에 의하여 인간 사회의 길흉화복을 예언하던 학설.
🌏 讖: 참서 참 緯: 씨 위 說: 말씀 설 -
조명설
(照明說)
:
하느님을 인식하는 일 이외에 자연을 인식하는 데에도 하느님의 빛이 직접 비춤으로써 가능하다는 학설.
🌏 照: 비출 조 明: 밝을 명 說: 말씀 설 -
성삼품설
(性三品說)
:
중국 철학에서, 사람의 본성에는 상ㆍ중ㆍ하의 세 계급이 있다는 성론(性論). 성선설(性善說)과 성악설(性惡說)을 절충한 것으로, 상(上)은 가르치지 않아도 선(善)인 것, 중(中)은 가르침에 따라 선 또는 악이 되는 것, 하(下)는 악한 것이다.
🌏 性: 성품 성 三: 석 삼 品: 물건 품 說: 말씀 설 -
심리설
(心理說)
:
철학을 포함하는 일반 정신과학의 여러 문제를 인간의 심리적ㆍ주관적 과정으로 환원하여 심리학적인 관점에서 생각하려는 경향. 따라서 가치, 논리, 규범 따위는 그 자체로서의 존립을 인정하지 않는다. 상대주의, 경험론, 생의 철학 따위가 이에 속한다.
🌏 心: 마음 심 理: 다스릴 리 說: 말씀 설 -
지각설
(知覺說)
:
인간 정신은 지각에 의하여 외적 실재를 직접적으로 착오 없이 파악할 수 있다고 하는 학설. 쇼펜하우어, 스펜서, 베르그송 등이 주장하였다.
🌏 知: 알 지 覺: 깨달을 각 說: 말씀 설 -
선천설
(先天說)
:
사람의 성질과 능력은 태어나면서부터 갖추어져 있다는 이론.
🌏 先: 먼저 선 天: 하늘 천 說: 말씀 설 -
제논의 역설
(Zenon의逆說)
:
그리스의 철학자 제논이 참다운 존재는 유일하고 부동(不動)이라는 스승 파르메니데스의 설을 옹호하기 위하여 참다운 존재는 많고 운동한다는 반대파의 주장을 논파한 역설. 그의 논증은 얼핏 상식적 견해에 어긋나는 역설로 보이지만, 과학 철학에서 볼 때에 시간ㆍ공간의 상대성 이론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 逆: 거스를 역 說: 말씀 설 달랠 세 기뻐할 열 벗을 탈 -
이통기국설
(理通氣局說)
:
이이(李珥) 철학에서, 본체론과 현상론을 설명하는 핵심적인 명제. 궁극적인 실체와 현상계의 개체의 관계를 이기(理氣)의 개념으로 설명한 것이다.
🌏 理: 다스릴 이 通: 통할 통 氣: 기운 기 局: 판 국 說: 말씀 설 -
기일분수설
(氣一分殊說)
:
세계의 모든 사물 현상이 하나의 물질적인 기(氣)로 이루어졌다는 학설. 세계의 근원은 기이고 기가 자체의 운동으로 다양한 사물과 현상을 이룬다는 주장이다. 이일분수설(理一分殊說)과 대립되는 것으로, 18세기의 임성주(任聖周)가 대표적 학자이다.
🌏 氣: 기운 기 一: 하나 일 分: 나눌 분 殊: 죽일 수 說: 말씀 설 -
실체설
(實體說)
:
현상과 작용의 뒤에 실체가 있다는 이론.
🌏 實: 열매 실 體: 몸 체 說: 말씀 설 -
복성설
(復性說)
:
중국 당나라ㆍ송나라 때 성행한 학설. 사람의 본성을 선한 것으로 보고 본성으로 돌아가는 것이 사람의 도리라고 주장하였다.
🌏 復: 돌아올 복 性: 성품 성 說: 말씀 설 -
숙명설
(宿命說)
:
모든 일은 미리 정하여진 필연적인 법칙에 따라 일어나므로 인간의 의지로는 바꿀 수 없다는 이론.
🌏 宿: 잠잘 숙 命: 목숨 명 說: 말씀 설 -
겸애설
(兼愛說)
:
하느님이 모든 사람을 똑같이 사랑하듯이 사람들도 서로 사랑하고 이롭게 하여야 한다는 사상. 고대 중국의 철학자인 묵자가 주장하였다.
🌏 兼: 겸할 겸 愛: 사랑 애 說: 말씀 설 -
공중 쾌락설
(公衆快樂說)
:
쾌락을 유일한 선(善)으로 인정하지만 개인적 쾌락이 아니고 인류 전체의 쾌락을 목적으로 하며 그것이 최대의 선(善)이라고 보는 도덕설. 영국의 철학자 벤담의 학설이다.
🌏 公: 공변될 공 衆: 무리 중 快: 쾌할 쾌 樂: 즐길 락 說: 말씀 설 -
심리적 쾌락설
(心理的快樂說)
:
인간이 쾌락을 추구하는 것은 심리적 사실로서 인간의 근본적인 욕구이며 또한 인생의 최고 목적이라는 학설.
🌏 心: 마음 심 理: 다스릴 리 的: 과녁 적 快: 쾌할 쾌 樂: 즐길 락 說: 말씀 설 -
세계관설
(世界觀說)
:
역사적으로 형성된 여러 세계관을 그 근원과 유형에 따라 비교하여 설명하고, 현실 생활의 보편성과 관련하여 연구하는 학문. 대개 딜타이의 철학을 이른다.
🌏 世: 세대 세 界: 경계 계 觀: 볼 관 說: 말씀 설 -
주관적 동기설
(主觀的動機說)
:
어떤 행위에서 의도하는 바의 목적만 정당하면 수단이나 결과는 문제가 되지 아니한다는 이론.
🌏 主: 주인 주 觀: 볼 관 的: 과녁 적 動: 움직일 동 機: 틀 기 說: 말씀 설 -
개념 기구설
(槪念機具說)
:
개념은 환경에 대한 적응 수단으로서 도구와 같은 구실을 한다는 학설. 듀이의 인식론에서 나온 말로서 개념은 불변의 것이 아니고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도구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끊임없이 수정되어야만 한다고 한다.
🌏 槪: 대개 개 念: 생각할 념 機: 틀 기 具: 갖출 구 說: 말씀 설 -
관념력설
(觀念力說)
:
관념은 활동성을 갖는 힘이고, 자기를 실현시키는 작용을 하며, 만물 진화의 요인이 된다는 학설.
🌏 觀: 볼 관 念: 생각할 념 力: 힘 력 說: 말씀 설 -
생득설
(生得說)
:
인간의 지식이나 관념 및 표상은 본래 태어날 때부터 공통적으로 갖추어져 있으며, 또 모든 사람에게 똑같이 그 성질을 띠게 한다는 학설.
🌏 生: 날 생 得: 얻을 득 說: 말씀 설 -
예정 조화설
(豫定調和說)
:
세계는 각각 독립된 존재로서의 단위인 단자(單子)로 이루어지며 독립된 단자가 서로 일치하여 세계의 질서를 이루고 있는 것은 미리 신(神)에 의하여 전체의 조화가 정하여져 있기 때문이라는 학설. 라이프니츠가 주장하였다.
🌏 豫: 미리 예 定: 정할 정 調: 고를 조 和: 화목할 화 說: 말씀 설 -
범의설
(汎意說)
:
만유의 본체는 의지(意志)라는 유심론의 한 이론.
🌏 汎: 뜰 범 意: 뜻 의 說: 말씀 설 -
이세계설
(二世界說)
:
이데아의 세계와 현상의 세계를 구별한 플라톤의 학설을 이어받아 예지계와 감성계, 본체계와 현상계, 신의 나라와 지상의 나라, 자유의 세계와 필연의 세계 따위와 같이 구별 대립을 주장하는 학설을 통틀어 이르는 말. 라스크의 용어이다.
🌏 二: 두 이 世: 세대 세 界: 경계 계 說: 말씀 설 -
부수 현상설
(附隨現象說)
:
의식 현상은 신경 계통, 특히 뇌의 생리적 활동에 부수하여 일어나는 현상이라고 보는 학설.
🌏 附: 붙을 부 隨: 따를 수 現: 나타날 현 象: 코끼리 상 상아 상 상징 상 형상 상 징조 상 용모 상 상상 상 법제 상 역법 상 본받을 상 說: 말씀 설 -
우주 개벽설
(宇宙開闢說)
:
우주의 발생과 발전에 대한 이론. 신화, 종교, 철학, 과학의 관점에서 풀이한 각각의 이론이 있다.
🌏 宇: 집 우 宙: 집 주 開: 열 개 闢: 열 벽 說: 말씀 설 -
도덕관설
(道德官說)
:
인간은 본디부터 도덕적 선악이나 바르고 그릇됨을 분별해 내는 심리적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하는 학설. 17~18세기 근대 영국의 윤리학자들이 주장하였다.
🌏 道: 길 도 德: 덕 덕 官: 벼슬 관 說: 말씀 설 -
환상설
(幻想說)
:
현실을 부정하고, 항상 내적 충동이나 영감에 의하여 새로운 세계를 추구하려는 미학적인 관점이나 경향.
🌏 幻: 변할 환 想: 생각 상 說: 말씀 설 -
성악설
(性惡說)
:
인간의 본성은 이기적이고 악하므로 선(善) 행위는 후천적 습득에 의해서만 가능하다고 보는 학설. 중국의 순자가 주장한 것으로, 인간은 선천적으로 한없는 욕망을 가지고 있어 그대로 두면 싸움만이 일어나 파멸하기 때문에 예(禮)로써 바로잡아야 한다고 하였다.
🌏 性: 성품 성 惡: 악할 악 說: 말씀 설 -
가설 추리
(假說推理)
:
전제 가운데에 일부가 가언 명제로 이루어진 추론.
🌏 假: 거짓 가 說: 말씀 설 推: 옮길 추 理: 다스릴 리 -
자아실현설
(自我實現說)
:
인생의 궁극적인 목적은 자아실현에 있다고 하는 학설.
🌏 自: 스스로 자 我: 나 아 實: 열매 실 現: 나타날 현 說: 말씀 설 -
기호설
(記號說)
:
인식론에서, 우리들의 지식이나 개념은 실재(實在)를 그대로 묘사한 것이 아니라, 사물을 표시하는 기호에 지나지 않는다는 학설.
🌏 記: 기록할 기 號: 부르짖을 호 說: 말씀 설 -
결과설
(結果說)
:
행위의 동기와는 상관없이, 행위의 결과나 남에게 끼치는 영향을 도덕적 판단의 대상으로 삼는 윤리설.
🌏 結: 맺을 결 果: 열매 과 說: 말씀 설 -
상관설
(相關說)
:
인식론에서, 주관과 객관, 정신과 물질은 절대적 대립을 이루는 것이 아니고, 밀접한 상관성을 가진 상대적인 개념이라는 학설.
🌏 相: 서로 상 關: 빗장 관 說: 말씀 설 -
육천설
(六天說)
:
중국 고대의 천(天)의 사상을 정리, 체계화한 한나라 정현(鄭玄)의 학설. 중국에서의 천계 사상은 하늘에 오제(五帝)가 있어 그들이 사계절의 순환을 행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하였는데, 여기에 오행 사상과 성술설(星術說)을 받아들여 하늘의 주재자인 상제(上帝)의 작용을 목(木)ㆍ화(火)ㆍ토(土)ㆍ금(金)ㆍ수(水)의 다섯으로 하고 이 다섯 작용에 각각 제(帝)를 배치하면서 여기에 상제(上帝)를 보태어 육제(六帝)로 하고, 하늘이 여섯 있다고 설명하였다. 뒤에 위(魏)나라의 왕숙(王肅)에 의하여 부정되었다.
🌏 六: 여섯 육 天: 하늘 천 說: 말씀 설 -
활력설
(活力說)
:
생명 현상은 물리적 요인과 자연법칙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고, 그와는 원리적으로 다른 초경험적인 생명력의 운동에 의하여 창조ㆍ유지ㆍ진화된다는 이론. 17세기 이후부터 일부 생리학자나 철학자들이 제창하였다.
🌏 活: 살 활 力: 힘 력 說: 말씀 설 -
분출설
(分出說)
:
완전하고 선(善)하며 하나인 신으로부터 각종의 존재자가 단계적으로 전개되어 현실의 세계가 완성된다는 형이상학적 학설. 신플라톤학파나 그노시스파 따위가 제창한 우주론이다.
🌏 分: 나눌 분 出: 날 출 說: 말씀 설 -
적취설
(積聚說)
:
인도 철학에서, 우주는 많은 원자의 결합ㆍ집적에 의하여 다양한 세계가 이루어진다고 보는 우주설.
🌏 積: 쌓을 적 聚: 모일 취 說: 말씀 설 -
만유 유기체설
(萬有有機體說)
:
우주를 하나의 완전한 유기체로 생각하여, 완전한 절대 작품으로서 절대자 속에 형성되어 있다고 보는 견해. 셸링, 페히너 등이 대표자이다.
🌏 萬: 일만 만 有: 있을 유 有: 있을 유 機: 틀 기 體: 몸 체 說: 말씀 설 -
여건 생산설
(與件生産說)
:
감각 여건(感覺與件)은 의식적인 유기체나 정신에 의하여 생산되는 것으로 오로지 실제 지각의 조건 아래에서만 존재한다고 주장하는 감각적 지각설.
🌏 與: 더불 여 件: 사건 건 生: 날 생 産: 낳을 산 說: 말씀 설 -
역동설
(力動說)
:
자연계의 근원은 힘이며, 힘이 모든 것의 원리라고 주장하는 설. 데카르트의 기계론에 반대되는 것으로, 라이프니츠나 베르그송 등의 철학이 여기에 속한다.
🌏 力: 힘 역 動: 움직일 동 說: 말씀 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