語 🌏한자(사자성어) 💡언어 분야 764개
-
지나어
(支那語)
:
중국인이 쓰는 말.
🌏 支: 지탱할 지 那: 어찌 나 語: 말씀 어 -
피지어
(Fiji語)
:
말라요ㆍ폴리네시아 어족의 멜라네시아 어파에 속한 언어. 남태평양의 피지에서 쓴다.
🌏 語: 말씀 어 -
몬ㆍ크메르어
(Mon-Khmer語)
:
오스트로ㆍ아시아 어족에 속한 어파의 하나. 일찍이 인도차이나반도에서 번영하였던 몬족과 크메르족 언어를 이른다.
🌏 語: 말씀 어 -
오스트로ㆍ아시아 어족
(Austro-Asia語族)
:
인도차이나반도에서 인도 중부에 걸쳐서 산재하는 언어를 통틀어 이르는 말. 인도차이나반도의 몬크메르 제 언어(諸言語), 말레이반도의 세망어와 사카이어, 인도를 중심으로 한 문다 어군(語群) 따위가 이에 속한다.
🌏 語: 말씀 어 族: 겨레 족 풍류 가락 주 -
전성어
(轉成語)
:
1
다른 품사로 바뀌어 쓰이는 말.
2
외국어가 자기 나라말로 변화한 말. ‘남포’, ‘빵’ 따위가 있다.
🌏 轉: 구를 전 成: 이룰 성 語: 말씀 어 -
어원학
(語源學)
:
단어의 기원 및 그 유래를 연구하는 학문. 언어학의 한 분야이다.
🌏 語: 말씀 어 源: 근원 원 學: 배울 학 -
주격 보어
(主格補語)
:
서양 문법에서 불완전 자동사를 보충하는 말.
🌏 主: 주인 주 格: 격식 격 補: 기울 보 語: 말씀 어 -
이란어
(Iran語)
:
인도ㆍ유럽 어족의 인도ㆍ이란 어파의 하나.
🌏 語: 말씀 어 -
역사 언어학
(歷史言語學)
:
어떤 언어 현상을 여러 시대에 걸쳐 역사적으로 연구하는 학문. 언어학의 한 분야이다.
🌏 歷: 지낼 역 史: 역사 사 言: 말씀 언 語: 말씀 어 學: 배울 학 -
그리스어
(Greece語)
:
인도ㆍ유럽 어족에 속한 언어의 하나. 그리스 본토와 터키, 알바니아 등지에 사는 그리스 사람들이 쓴다.
🌏 語: 말씀 어 -
소기 언어
(所記言語)
:
문자로 나타낸 말. 음성 언어에 상대하여 말을 글자로 적은 것을 이른다.
🌏 所: 바 소 記: 기록할 기 言: 말씀 언 語: 말씀 어 -
관형사형 어미
(冠形詞形語尾)
:
문장에서 용언의 어간에 붙어 관형사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어미. ‘-ㄴ’, ‘-는’, ‘-던’, ‘-ㄹ’ 따위가 있다.
🌏 冠: 갓 관 形: 형상 형 詞: 말씀 사 形: 형상 형 語: 말씀 어 尾: 꼬리 미 -
코인 어군
(Khoin語群)
:
아프리카의 남부에서 쓰는 언어군. 호텐토트어, 부시먼어, 산다웨어 따위가 있다.
🌏 語: 말씀 어 群: 무리 군 -
어학
(語學)
:
1
외국어를 연구하거나 습득하기 위한 학문. 또는 그런 학과(學科).
2
어떤 나라의 언어, 특히 문법을 연구하는 학문.
3
인간의 언어와 관련한 여러 현상을 과학적인 방법으로 연구하는 학문. 언어의 기능과 본질, 언어의 역사, 언어의 변이, 언어와 인간의 관계 따위를 주로 연구한다.
🌏 語: 말씀 어 學: 배울 학 -
화어
(華語)
:
중국인이 쓰는 말.
🌏 華: 빛날 화 語: 말씀 어 -
의성 의태어
(擬聲擬態語)
:
의성어와 의태어를 아울러 이르는 말.
🌏 擬: 헤아릴 의 聲: 소리 성 擬: 헤아릴 의 態: 모양 태 語: 말씀 어 -
국제 보조어
(國際補助語)
:
1
국제적으로 널리 쓰이는 말. 영어 따위가 있다.
2
세계 여러 나라에서 공통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만든 언어. ‘에스페란토’, ‘이도’ 따위가 있다.
🌏 國: 나라 국 際: 가 제 補: 기울 보 助: 도울 조 語: 말씀 어 -
말레이ㆍ인도네시아어
(Malay-Indonesia語)
:
말레이어와 인도네시아어를 통틀어 이르는 말. 주로 인도네시아어를 가리킨다.
🌏 語: 말씀 어 -
노르웨이어
(Norway語)
:
인도ㆍ유럽 어족의 게르만 어파에 속하는 언어. 노르웨이의 공용어로 주로 오슬로에서 쓰는데, 덴마크어를 노르웨이식으로 발음한 것이다.
🌏 語: 말씀 어 -
경어법
(敬語法)
:
남을 높여서 말하는 법. 문장의 주체를 높이는 주체 높임법, 말을 듣는 상대편을 높이는 상대 높임법이 있다.
🌏 敬: 공경할 경 語: 말씀 어 法: 법도 법 -
집시어
(Gypsy語)
:
인도ㆍ유럽 어족의 인도ㆍ이란 어파에 속한 인도ㆍ아리아 제어(諸語)의 하나. 집시족이 쓰는 언어이다.
🌏 語: 말씀 어 -
무주어문
(無主語文)
:
주어가 없는 문장. ‘넷에서 둘을 빼면 둘이다.’, ‘금강산도 식후경이다.’ 따위이다.
🌏 無: 없을 무 主: 주인 주 語: 말씀 어 文: 글월 문 꾸밀 문 -
티베트어
(Tibet語)
:
중국ㆍ티베트 어족의 티베트ㆍ버마 어파에 속한 티베트족의 언어.
🌏 語: 말씀 어 -
페니키아어
(Phoenicia語)
:
셈 어족에 속한 언어. 고대 페니키아에서 썼다.
🌏 語: 말씀 어 -
아프리카ㆍ아시아 어족
(Africa-Asia語族)
:
아프리카 북부에 분포하는 함ㆍ셈 어족. 이집트어, 튀니지어, 알제리어, 모로코어, 에티오피아어 따위가 있다.
🌏 語: 말씀 어 族: 겨레 족 풍류 가락 주 -
어근
(語根)
:
단어를 분석할 때, 실질적 의미를 나타내는 중심이 되는 부분. ‘덮개’의 ‘덮-’, ‘어른스럽다’의 ‘어른’ 따위이다.
🌏 語: 말씀 어 根: 뿌리 근 -
폐어
(廢語)
:
과거에는 쓰였으나 현재에는 쓰이지 아니하게 된 언어. 또는 그런 단어. 고대 그리스어, 고대 라틴어 따위가 있다.
🌏 廢: 폐할 폐 語: 말씀 어 -
유어
(類語)
:
뜻이 서로 비슷한 말.
🌏 類: 무리 유 語: 말씀 어 -
기초 어휘
(基礎語彙)
:
한 언어에서, 기본적인 의사소통에 꼭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최소한의 어휘.
🌏 基: 터 기 礎: 주춧돌 초 語: 말씀 어 彙: 무리 휘 -
언어학사
(言語學史)
:
언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변화ㆍ발전되어 온 역사. 또는 그것을 연구하는 학문.
🌏 言: 말씀 언 語: 말씀 어 學: 배울 학 史: 역사 사 -
아카드어
(Akkad語)
:
셈 어족의 동방 셈 어파에 속한 고대 메소포타미아 언어. 주로 설형 문자를 사용하였으며, 기원전 2000년 무렵부터 기원전 1년 무렵까지 사용되었다.
🌏 語: 말씀 어 -
어원
(語源/語原)
:
어떤 단어의 근원적인 형태. 또는 어떤 말이 생겨난 근원.
🌏 語: 말씀 어 源: 근원 원 語: 말씀 어 原: 근원 원 -
버마어
(Burma語)
:
중국ㆍ티베트 어족, 티베트ㆍ버마 어파에 속한 언어이며 미얀마의 공용어이다.
🌏 語: 말씀 어 -
이해 어휘
(理解語彙)
:
한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듣고 이해할 수 있는 낱말 모두.
🌏 理: 다스릴 이 解: 풀 해 語: 말씀 어 彙: 무리 휘 -
기능어
(機能語)
:
말과 말, 또는 문장과 문장 사이에서 문법적인 기능을 가지는 말. 조사, 접속사 따위가 있다.
🌏 機: 틀 기 能: 능할 능 語: 말씀 어 -
대조 언어학
(對照言語學)
:
두 개 이상의 언어를 비교하여, 차이 또는 유사점을 연구하는 학문. 언어학의 한 분야이다.
🌏 對: 대답할 대 照: 비출 조 言: 말씀 언 語: 말씀 어 學: 배울 학 -
알바니아어
(Albania語)
:
인도ㆍ유럽 어족의 알바니아 어파에 속한 언어. 알바니아 이외에 그리스 및 마케도니아, 몬테네그로, 세르비아 등지에서 쓴다.
🌏 語: 말씀 어 -
어미변화
(語尾變化)
:
용언의 어간이나 서술격 조사에 변하는 말이 붙어 문장의 성격을 바꿈. 또는 그런 일. 국어에서는 동사, 형용사, 서술격 조사의 어간에 여러 가지 어미가 붙는 형태를 이르는데, 이로써 시제ㆍ서법 따위를 나타낸다.
🌏 語: 말씀 어 尾: 꼬리 미 變: 변할 변 化: 될 화 -
한국 수어
(韓國手語)
:
대한민국 농문화 속에서 시각ㆍ동작 체계를 바탕으로 생겨난, 고유한 형식의 언어. 대한민국 농인의 공용어이다.
🌏 韓: 나라 한 國: 나라 국 手: 손 수 語: 말씀 어 -
페르시아어
(Persia語)
:
인도ㆍ유럽 어족의 이란 어파에 속한 언어. 이란의 공용어로, 아프가니스탄과 타지키스탄에서도 쓰며, 아라비아 문자로 표기한다.
🌏 語: 말씀 어 -
우즈베크어
(Uzbek語)
:
알타이 어족의 튀르크 어파에 속한 언어. 우즈베크인의 언어로서 우즈베키스탄의 공용어이다.
🌏 語: 말씀 어 -
트루크어
(Truk語)
:
말레이ㆍ폴리네시아 어족의 멜라네시아 어파에 속한 언어. 캐롤라인 제도의 트루크섬에서 쓴다.
🌏 語: 말씀 어 -
종속적 연결 어미
(從屬的連結語尾)
:
앞의 문장을 뒤의 문장에 종속적으로 이어 주는 어말 어미. ‘봄이 오면, 꽃이 핀다.’에서 ‘-면’, ‘겨울이 되니, 날씨가 춥다.’에서 ‘-니’ 따위이다.
🌏 從: 좇을 종 屬: 무리 속 的: 과녁 적 連: 잇닿을 연 結: 맺을 결 語: 말씀 어 尾: 꼬리 미 -
포합어
(抱合語)
:
형태론적 특징에서 본 언어의 한 유형. 동사를 중심으로 하여 그 앞뒤에 인칭 접사나 목적을 나타내는 어사를 결합 또는 삽입하여 한 단어로서 한 문장과 같은 형태를 가지는 언어인데, 에스키모어ㆍ아이누어 따위가 있다.
🌏 抱: 안을 포 合: 합할 합 語: 말씀 어 -
언어 정책
(言語政策)
:
국가가 그 나라에서 쓰는 말을 통일ㆍ발전시키려고 쓰는 정책. 표준어의 규정, 맞춤법의 확립, 글자의 통일이나 개혁, 외국어 교육, 문맹 퇴치 따위가 있다.
🌏 言: 말씀 언 語: 말씀 어 政: 정사 정 策: 꾀 책 -
이디시어
(Yiddish語)
:
고지 독일어에 히브리어, 슬라브어 따위가 섞여서 된 언어. 유럽 내륙 지방과 그곳에서 미국으로 이주한 유대인들이 쓴다.
🌏 語: 말씀 어 -
단어 결합
(單語結合)
:
두 개 이상의 단어들이 의미적ㆍ문법적으로 관련을 맺으면서 결합하는 일.
🌏 單: 홑 단 語: 말씀 어 結: 맺을 결 合: 합할 합 -
내적 언어
(內的言語)
:
아직 언어로 표현되지 아니하고 인간의 머릿속에 있는 언어.
🌏 內: 안 내 的: 과녁 적 言: 말씀 언 語: 말씀 어 -
의존어
(依存語)
:
문법적으로 또는 의미적ㆍ기능적으로 다른 단어에 의존하는 단어.
🌏 依: 의지할 의 存: 있을 존 語: 말씀 어 -
어휘 형태소
(語彙形態素)
:
구체적인 대상이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형태소. ‘철수가 책을 읽었다.’에서 ‘철수’, ‘책’, ‘읽’ 따위이다.
🌏 語: 말씀 어 彙: 무리 휘 形: 형상 형 態: 모양 태 素: 흴 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