經 🌏한자(사자성어) 💡불교 분야 273개
-
역경
(譯經)
:
경전을 번역하는 일.
🌏 譯: 통변할 역 經: 경서 경 -
사경
(寫經)
:
후세에 전하거나 축복을 받기 위하여 경문(經文)을 베끼는 일. 또는 그런 경전.
🌏 寫: 베낄 사 經: 경서 경 -
금판경
(金版經)
:
얇은 금판으로 만든 경전.
🌏 金: 쇠 금 版: 널조각 판 經: 경서 경 -
해심밀경소
(解深密經疏)
:
신라 때의 승려 원측이 해심밀경을 바탕으로 쓴 책. 10권으로 되어 있다.
🌏 解: 풀 해 深: 깊을 심 密: 빽빽할 밀 經: 경서 경 疏: 트일 소 -
경염불
(經念佛)
:
경문을 읽으며 부처의 공덕을 생각함.
🌏 經: 경서 경 念: 생각할 염 佛: 부처 불 -
반야경
(般若經)
:
반야바라밀을 교설한 여러 경전을 통틀어 이르는 말.
🌏 般: 옮길 반 若: 반야 야 經: 경서 경 -
경대지
(經戴紙)
:
전독(轉讀)할 때 경책(經冊)을 싸는 종이.
🌏 經: 경서 경 戴: 일 대 紙: 종이 지 -
내경
(內經)
:
불교의 서적.
🌏 內: 안 내 經: 경서 경 -
남전대장경
(南傳大藏經)
:
팔리어로 쓰인 불경을 통틀어 이르는 말. 스리랑카, 타이 등지의 남부 불교권에서 쓰고 있다.
🌏 南: 남녘 남 傳: 전할 전 大: 큰 대 藏: 감출 장 經: 경서 경 -
묘법연화경
(妙法蓮華經)
:
법화삼부경의 하나. 가야성(迦耶城)에서 도를 이룬 부처가 세상에 나온 본뜻을 말한 것으로, 모든 불교 경전 가운데 가장 존귀하게 여겨지는 경전이다. 쿠마라지바가 중국어로 번역하였다. 8권 28품.
🌏 妙: 묘할 묘 法: 법도 법 蓮: 연밥 연 華: 빛날 화 經: 경서 경 -
경총
(經冢)
:
경전을 묻은 무덤. 불법을 후세에 길이 전하기 위하여 경전을 넣거나 경문을 새기거나 쓴 경통(經筒), 경문을 새긴 경석(經石)이나 경와(經瓦) 따위를 땅속에 묻으며, 무덤 위에 오륜탑을 세우기도 한다.
🌏 經: 경서 경 冢: 무덤 총 -
유마경
(維摩經)
:
반야경에서 말하는 공(空)의 사상에 기초한 윤회와 열반, 번뇌와 보리, 예토(穢土)와 정토(淨土) 따위의 구별을 떠나, 일상생활 속에서 해탈의 경지를 체득하여야 함을, 유마라는 주인공을 내세워 설화식으로 설한 경전.
🌏 維: 바 유 摩: 갈 마 經: 경서 경 -
경탑
(經塔)
:
1
종이에 경문을 탑 모양으로 베껴 쓴 것.
2
경문이나 다라니를 모아 안에 넣고 공양하는 탑.
3
경문을 새긴 탑.
🌏 經: 경서 경 塔: 탑 탑 -
경률
(經律)
:
부처가 말한 교법.
🌏 經: 경서 경 律: 법 률 -
대운경
(大雲經)
:
689년에 중국 당나라의 설회의(薛懷義), 법랑(法朗) 등이 측천무후가 천명을 받아 통치한다는 내용으로 지었다는 위경(僞經). 이 경(經)을 주상(奏上)받은 측천무후는 국호를 주(周)로 고치고 이 경을 중국 각지에 보내어, 여러 주에 대운사를 짓게 하였다.
🌏 大: 큰 대 雲: 구름 운 經: 경서 경 -
경상
(經床)
:
경을 올려놓는 책상.
🌏 經: 경서 경 床: 평상 상 -
경사
(經師)
:
1
경문(經文)을 읽거나 외는 법사.
2
경문을 쓰거나, 쓴 것을 표구하고 제본하는 사람.
3
경문의 뜻을 풀어 가르치는 법사.
🌏 經: 경서 경 師: 스승 사 -
은중경
(恩重經)
:
중국 수나라 말기에서 당나라 초기에 간행된 불교의 경전. 부모의 은혜가 지극히 크고 깊다는 사실을 이르고, 보은(報恩)을 권장하였다. 1권.
🌏 恩: 은혜 은 重: 무거울 중 중요할 중 점잖을 중 삼갈 중 어려울 중 거듭 중 아낄 중 숭상할 중 經: 경서 경 -
미륵경
(彌勒經)
:
미륵보살에 관한 불경을 통틀어 이르는 말. 미륵 하생경(彌勒下生經), 미륵 내시경(彌勒來時經), 미륵 하생성불경(彌勒下生成佛經), 미륵 대성불경(彌勒大成佛經), 미륵 상생경(彌勒上生經), 미륵 상생성불경(彌勒上生成佛經) 들이다.
🌏 彌: 두루 미 勒: 굴레 륵 經: 경서 경 -
방광반야경
(放光般若經)
:
서진(西晉)의 무라차(無羅叉)와 축숙란(竺叔蘭)이 함께 번역한 불경. 대반야경을 달리 번역한 것으로 97품 20권이다.
🌏 放: 놓을 방 光: 빛 광 般: 옮길 반 若: 반야 야 經: 경서 경 -
청경하다
(聽經하다)
:
송경(誦經)이나 설법을 듣다.
🌏 聽: 들을 청 經: 경서 경 -
설경
(說經)
:
1
경전을 해설하는 일.
2
조선 시대에, 경연청에 속한 정팔품 벼슬. 경서(經書)를 설명하였다.
🌏 說: 말씀 설 經: 경서 경 -
불경
(佛經)
:
1
불교의 교리를 밝혀 놓은 전적(典籍)을 통틀어 이르는 말.
2
불교 경전을 소리 내어 염불하는 일.
🌏 佛: 부처 불 經: 경서 경 -
범망경
(梵網經)
:
대승계(大乘戒)에 관한 경전. 상권에는 보살의 심지(心地)가 전개되어 가는 모양을 밝혔고, 하권에는 10중 48경계를 설하였다.
🌏 梵: 범어 범 網: 그물 망 經: 경서 경 -
부단경
(不斷經)
:
매일 읽는 경. 또는 일정한 기간 동안 끊임없이 읽는 경.
🌏 不: 아닌가 부 斷: 끊을 단 經: 경서 경 -
이취경
(理趣經)
:
진언종에서, 아침저녁의 근행(勤行)에 외는 경전. 일체 법의 자성(自性)이 청정함을 설명한 책으로, 당나라 불공(不空)이 번역하였다.
🌏 理: 다스릴 이 趣: 빨리갈 취 취지 취 행동 취 지향 취 흥취 취 經: 경서 경 -
지장경언해
(地藏經諺解)
:
조선 세조 때의 승려인 학조 대사가 지장경(地藏經)을 한글로 풀이한 책. 초간본은 오늘날 전하지 않고, 선조 2년(1569)에 쌍계사에서 중간한 3권 1책의 판본과 영조 28년(1752)에 펴낸 순한글판이 전한다. 원래의 이름은 ≪지장보살본원경언해≫이다.
🌏 地: 땅 지 藏: 감출 장 經: 경서 경 諺: 상말 언 解: 풀 해 -
진호국가 삼부경
(鎭護國家三部經)
:
나라를 지키는 세 경전. 법화경, 인왕반야경, 금광명경이다.
🌏 鎭: 누를 진 護: 보호할 호 國: 나라 국 家: 집 가 三: 석 삼 部: 나눌 부 經: 경서 경 -
경론
(經論)
:
삼장(三藏) 가운데 경장과 논장을 아울러 이르는 말.
🌏 經: 경서 경 論: 논의할 론 -
점사경
(漸寫經)
:
여러 날에 걸쳐 천천히 베껴 쓴 경전.
🌏 漸: 차차 점 寫: 베낄 사 經: 경서 경 -
조왕경
(竈王經)
:
조왕의 공덕(功德)을 적어 놓은 경전.
🌏 竈: 부엌 조 王: 임금 왕 經: 경서 경 -
소품반야경
(小品般若經)
:
모두 10권으로 된 반야경.
🌏 小: 작을 소 品: 물건 품 般: 옮길 반 若: 반야 야 經: 경서 경 -
팔만대장경
(八萬大藏經)
:
1
‘대장경’을 달리 이르는 말. 팔만사천법문이 있다는 뜻이다. (대장경: 불경을 집대성한 경전. 석가모니의 설교를 기록한 경장(經藏), 모든 계율을 모은 율장(律藏), 불제자들의 논설을 모은 논장(論藏)을 모두 망라하였다.)
2
고려 고종 23년(1236)부터 38년(1251)에 걸쳐 완성한 대장경. 부처의 힘으로 외적을 물리치기 위하여 만들었는데, 경판(經板)의 수가 8만 1258판에 이르며 현재 합천 해인사에 보관하고 있다.
🌏 八: 여덟 팔 萬: 일만 만 大: 큰 대 藏: 감출 장 經: 경서 경 -
심경언해
(心經諺解)
:
조선 세조 때 왕명에 따라 한계희 등이 반야바라밀다심경을 한글로 풀이한 책. 1464년에 간행하였다. 1권 1책의 목판본.
🌏 心: 마음 심 經: 경서 경 諺: 상말 언 解: 풀 해 -
지경
(持經)
:
경전을 늘 몸에 지니고 다니면서 읽고 욈. 또는 그런 일.
🌏 持: 가질 지 經: 경서 경 -
금강정경
(金剛頂經)
:
밀교에서 의지하는 삼부 비밀경의 하나. 부처, 보살의 경지로 들어가기 위한 법을 설한 것이다.
🌏 金: 쇠 금 剛: 굳셀 강 頂: 정수리 정 經: 경서 경 -
대장엄경론
(大莊嚴經論)
:
고대 인도의 고승 아슈바고샤가 지은 책. 인도 유식(唯識)의 중심 논서(論書)의 하나로 부처의 본생(本生) 및 여러 가지 인연, 비유, 설화 따위의 90종이 실려 있다. 13권.
🌏 大: 큰 대 莊: 씩씩할 장 嚴: 엄할 엄 經: 경서 경 論: 논의할 론 -
하경하다
(夏經하다)
:
1
하안거 동안에 경전을 읽다.
2
하안거를 지내다.
🌏 夏: 여름 하 經: 경서 경 -
불모대공작명왕경
(佛母大孔雀明王經)
:
공작명왕의 신주(神呪)를 써 놓은 불경. 중국 당나라 불공(不空)이 한역한 것이 있다. 3권.
🌏 佛: 부처 불 母: 어머니 모 大: 큰 대 孔: 구멍 공 雀: 참새 작 明: 밝을 명 王: 임금 왕 經: 경서 경 -
제경
(諸經)
:
불가의 모든 경전.
🌏 諸: 모든 제 經: 경서 경 -
경스승
(經스승)
:
경문의 뜻을 풀어 가르치는 법사.
🌏 經: 경서 경 -
대반야경회
(大般若經會)
:
대반야바라밀다경을 독송(讀誦)하는 법회. 승려들이 모여서 국가의 안녕을 빌고 진혼(鎭魂)을 위하여 행한다.
🌏 大: 큰 대 般: 옮길 반 若: 반야 야 經: 경서 경 會: 모일 회 -
경교
(經敎)
:
경문(經文)에 나타난 교리.
🌏 經: 경서 경 敎: 가르칠 교 -
관세음경
(觀世音經)
:
실상묘법연화경(實相妙法蓮華經) 제25품(品)인 관세음보살 보문품(普門品)만을 따로 뽑아 만든 불경.
🌏 觀: 볼 관 世: 세대 세 音: 소리 음 經: 경서 경 -
대승경
(大乘經)
:
대승의 교법이 담긴 불경. 화엄경, 대집경, 반야경, 법화경, 열반경 따위가 있다.
🌏 大: 큰 대 乘: 탈 승 經: 경서 경 -
금강경
(金剛經)
:
지혜의 정체(正諦)를 금강의 견실함에 비유하여 해설한 불경으로 우리나라 조계종의 기본 경전.
🌏 金: 쇠 금 剛: 굳셀 강 經: 경서 경 -
와경
(瓦經)
:
질그릇, 벽돌 따위에 경문(經文)을 새긴 경판(經板). 죽은 이를 위하여 또는 자신의 보리(菩提)를 성취하기 위하여 땅속에 묻는다.
🌏 瓦: 기와 와 經: 경서 경 -
청경
(聽經)
:
송경(誦經)이나 설법을 들음.
🌏 聽: 들을 청 經: 경서 경 -
장경판
(藏經板)
:
부처가 일생 동안 설한 교법의 글월을 새겨 놓은 경판.
🌏 藏: 감출 장 經: 경서 경 板: 널빤지 판 -
결연경
(結緣經)
:
성불할 인연을 맺게 하기 위하여 경문을 베껴 쓰거나 읽게 하는 일. 또는 그 경문. 주로 법화경을 읽거나 쓴다.
🌏 結: 맺을 결 緣: 인연 연 經: 경서 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