科 🌏한자(사자성어) 💡동물 분야 555개
-
고래상엇과
(고래상엇科)
:
연골어강 수염상어목의 한 과. 우리나라에는 고래상어 한 종만이 알려져 있다.
🌏 科: 품등 과 -
아귓과
(아귓科)
:
조기강 아귀목의 한 과. 황아귀, 아귀가 있다.
🌏 科: 품등 과 -
갈고리나방과
(갈고리나방科)
:
곤충강 나비목의 한 과. 남방흰갈고리나방, 점갈고리나방 따위의 250여 종이 전 세계에 분포한다.
🌏 科: 품등 과 -
꼬리칫과
(꼬리칫科)
:
조기강 꼬리치목의 한 과. 몸통과 꼬리가 길며 몸이 부드럽다. 지느러미에 가시가 없다. 우리나라에는 꼬리치 1종만이 알려져 있다.
🌏 科: 품등 과 -
전갱잇과
(전갱잇科)
:
조기강 농어목의 한 과. 뒷지느러미 앞쪽에 두 개의 가시가 있고 옆줄에는 마름모 모양의 비늘이 많다. 전갱이, 방어, 잿방어, 가라지, 갈고등어 따위가 있다.
🌏 科: 품등 과 -
민챙잇과
(민챙잇科)
:
복족강 두순목의 한 과. 민챙이가 있다.
🌏 科: 품등 과 -
팔색조과
(八色鳥科)
:
조강 참새목의 한 과. 중간 크기의 새로 몸이 똥똥한 편이며, 몸빛이 짙고 뚜렷하다. 말레이 제도, 오스트레일리아, 인도 등지에 팔색조 따위의 70여 종이 산다.
🌏 八: 여덟 팔 色: 빛 색 鳥: 새 조 科: 품등 과 -
활칫과
(활칫科)
:
조기강 농어목의 한 과. 제비활치가 있다.
🌏 科: 품등 과 -
사마귀붙잇과
(사마귀붙잇科)
:
곤충강 풀잠자리목의 한 과. 모양이나 습성이 사마귀와 비슷한데, 겹눈은 크고 홑눈은 없다. 끝검은사마귀붙이, 사마귀붙이, 애사마귀붙이 따위가 있다.
🌏 科: 품등 과 -
줄강충잇과
(줄강충잇科)
:
곤충강 매미목의 한 과. 몸은 흰 가루가 묻어 있으며, 배는 옆으로 납작하다. 볏과 식물 따위에 기생한다. 알락줄강충이, 줄강충이가 있다.
🌏 科: 품등 과 -
사면발닛과
(사면발닛科)
:
곤충강 이목의 한 과. 주로 사람에 기생한다. 전 세계에 분포한다. 사면발니가 있다.
🌏 科: 품등 과 -
뱀과
(뱀科)
:
파충강 뱀목의 한 과. 구렁이, 누룩뱀, 실뱀, 유혈목이 따위가 있다.
🌏 科: 품등 과 -
아비과
(阿比科)
:
조강 황새목의 한 과. 부리는 뾰족하며, 발가락에 물갈퀴가 있고 잠수를 잘한다. 여름이 되면 북극 부근에 가서 번식하는데 아비, 회색머리아비, 큰회색머리아비, 흰부리아비 따위가 있다.
🌏 阿: 언덕 아 比: 견줄 비 科: 품등 과 -
통구멍과
(통구멍科)
:
조기강 농어목의 한 과. 얼룩통구멍, 통구멩이, 푸렁통구멍 따위가 있다.
🌏 科: 품등 과 -
우럭과
(우럭科)
:
연체동물문 이매패강 우럭목의 한 과. 말뿌리꼬마우럭, 우럭이 있다.
🌏 科: 품등 과 -
실비늘칫과
(실비늘칫科)
:
조기강 큰가시고기목의 한 과. 실비늘치가 있다.
🌏 科: 품등 과 -
청벌과
(靑벌科)
:
곤충강 벌목의 한 과. 몸은 금속광택이 나는 청색, 적색, 남색, 자색 따위가 있고 전 세계에 1,500여 종이 분포한다. 번개청벌, 가는청벌, 사치청벌, 멋쟁이청벌 따위가 있다.
🌏 靑: 푸를 청 科: 품등 과 -
면충과
(綿蟲科)
:
곤충강 매미목의 한 과. 물푸레면충, 산사나무면충, 오배자면충 따위가 있다.
🌏 綿: 이어질 면 蟲: 벌레 충 科: 품등 과 -
두꺼빗과
(두꺼빗科)
:
양서강 개구리목의 한 과. 마다가스카르와 오스트레일리아를 제외한 전 세계에 분포한다. 두꺼비, 물두꺼비 따위가 있다.
🌏 科: 품등 과 -
넓적노린잿과
(넓적노린잿科)
:
곤충강 노린재목의 한 과. 몸은 넓적하며 더듬이는 굵고 짧다. 나무껍질이나 고목의 틈에서 서식한다. 어리넓적노린재, 참넓적노린재, 큰넓적노린재 따위가 있다.
🌏 科: 품등 과 -
진딧물과
(진딧물科)
:
곤충강 매미목의 한 과. 버들흰진딧물, 일본버들흰진딧물, 진버들흰진딧물 따위가 있다.
🌏 科: 품등 과 -
모메뚜깃과
(모메뚜깃科)
:
곤충강 메뚜기목의 한 과. 몸은 작고 더듬이는 짧으며 앞등판이 매우 크다. 앞날개는 퇴화하여 비늘 조각 모양이다. 뒷날개는 다소 발달한 종류도 있으며 청각 기관은 없다. 전 세계에 650여 종이 분포한다. 가시모메뚜기, 장삼모메뚜기, 모메뚜기 따위가 있다.
🌏 科: 품등 과 -
바다뱀과
(바다뱀科)
:
1
파충강 뱀목의 한 과. 바다뱀, 먹대가리바다뱀 따위의 15속 50여 종이 있다.
2
조기강 뱀장어목의 한 과. 몸이 길고 가늘며 꼬리지느러미가 없다. 까치물뱀, 바다뱀, 날붕장어, 자물뱀 따위가 있다.
🌏 科: 품등 과 -
광삼과
(光蔘科)
:
극피동물문 해삼강의 한 과. 성게광삼, 소광삼, 수수해삼, 오각광삼 따위가 있다.
🌏 光: 빛 광 蔘: 인삼 삼 科: 품등 과 -
개밋과
(개밋科)
:
곤충강 벌목의 한 과. 사회성 곤충으로 여왕개미, 일개미, 수개미로 구성된다. 대부분 땅속에서 모여 산다. 전 세계에 5,000여 종이 분포하는데 불개미, 가시개미, 왕개미 따위가 있다.
🌏 科: 품등 과 -
잇과
(잇科)
:
곤충강 이목의 한 과. 이가 있다.
🌏 科: 품등 과 -
기린과
(麒麟科)
:
포유강 소목의 한 과. 목과 다리가 길고 모두 아프리카에 산다. 오카피와 기린이 있다.
🌏 麒: 기린 기 麟: 기린 린 科: 품등 과 -
실고깃과
(실고깃科)
:
조기강 큰가시고기목의 한 과. 몸이 골판으로 덮여 있고 배지느러미가 없다. 콧구멍이 양쪽에 두 개씩 있다. 실고기, 거물가시치, 해마 따위가 있다.
🌏 科: 품등 과 -
털파릿과
(털파릿科)
:
곤충강 파리목의 한 과. 온몸에 털이 나 있고, 날개는 큰데 가장자리에 뚜렷한 무늬가 있다. 애벌레는 볏과 식물이나 야채 따위의 뿌리를 해치는데 전 세계에 400여 종이 분포한다. 아마띠털파리, 모기털파리, 검털파리 따위가 있다.
🌏 科: 품등 과 -
긴수염고랫과
(긴鬚髥고랫科)
:
포유강 고래목의 한 과. 흰긴수염고래, 긴수염고래, 혹등고래 따위가 있다.
🌏 鬚: 턱수염 수 髥: 구레나룻 염 科: 품등 과 -
뱅엇과
(뱅엇科)
:
조기강 바다빙어목의 한 과. 뱅어, 젓뱅어, 벚꽃뱅어 따위가 있다.
🌏 科: 품등 과 -
씬벵잇과
(씬벵잇科)
:
조기강 아귀목의 한 과. 빨간씬벵이, 노랑씬벵이, 줄씬벵이가 있다.
🌏 科: 품등 과 -
압칫과
(압칫科)
:
조기강 압치목의 한 과. 압치가 있다.
🌏 科: 품등 과 -
날칫과
(날칫科)
:
조기강 동갈치목의 한 과. 날치, 매날치, 상날치, 황날치 따위가 있다.
🌏 科: 품등 과 -
발광멸과
(發光멸科)
:
조기강 여을멸목의 한 과. 우리나라에는 발광멸 한 종만이 있다.
🌏 發: 필 발 光: 빛 광 科: 품등 과 -
장삼벌렛과
(長衫벌렛科)
:
곤충강 매미목의 한 과. 원시적인 작은 곤충으로 더듬이는 마디가 없고 채찍 모양이며, 홑눈은 2~3개이다. 앞날개는 각질로 된 종류도 있는데 암컷의 배 끝부분의 마디에는 밀랍 성분의 물질이 붙어 있다. 온대보다 열대 지방에 많이 분포한다. 모시장삼벌레, 띠장삼벌레, 쑥장삼벌레 따위가 있다.
🌏 長: 길 장 衫: 적삼 삼 科: 품등 과 -
진주조갯과
(眞珠조갯科)
:
연체동물문 이매패강 익각목의 한 과. 조개 안쪽에 진주를 가지고 있다. 갈색띠진주조개, 진주조개가 있다.
🌏 眞: 참 진 珠: 구슬 주 科: 품등 과 -
깔따굿과
(깔따굿科)
:
곤충강 파리목의 한 과. 등깔따구, 장수깔따구, 숲아기깔따구, 그네깃깔따구 따위가 있다.
🌏 科: 품등 과 -
여우원숭잇과
(여우원숭잇科)
:
포유강 영장목의 한 과. 하등의 유인원이 속한 과로 5속 12종이 있다. 마다가스카르섬과 코모로 제도에만 분포한다.
🌏 科: 품등 과 -
물땅땅잇과
(물땅땅잇科)
:
곤충강 딱정벌레목의 한 과. 몸은 대체로 타원형이고 더듬이는 6~9마디로 곤봉 모양이다. 전 세계에 1,600여 종이 분포하는데 물땅땅이, 애물땅땅이, 잔물땅땅이, 점박이물땅땅이 따위가 있다.
🌏 科: 품등 과 -
부채장수잠자릿과
(부채將帥잠자릿科)
:
곤충강 잠자리목의 한 과. 몸이 크고 검은색에 녹색 또는 누런색의 선명한 무늬가 있다. 흐르는 물가에 많고 수면 위로 솟아오른 바위나 땅 위에 수평으로 앉는 습관이 있다. 전 세계에 검정측범잠자리, 꼬마측범잠자리, 노란측범잠자리, 부채장수잠자리, 푸른측범잠자리 따위의 350여 종이 있다.
🌏 將: 장수 장 帥: 주장할 수 科: 품등 과 -
뿔벌렛과
(뿔벌렛科)
:
곤충강 딱정벌레목의 한 과. 몸빛은 검정 또는 갈색이고 앞등판에 뿔 모양의 돌기가 있다. 전 세계에 800여 종이 분포한다. 검은좀뿔벌레, 삼각뿔벌레, 뿔벌레 따위가 있다.
🌏 科: 품등 과 -
썩덩벌레붙잇과
(썩덩벌레붙잇科)
:
곤충강 딱정벌레목의 한 과. 몸은 대체로 작으며 더듬이는 11마디이고 끝의 3마디는 곤봉 모양이다. 동북아시아, 미국, 인도, 말레이시아 등지에 20여 종이 분포한다. 썩덩벌레붙이가 있다.
🌏 科: 품등 과 -
성댓과
(성댓科)
:
조기강 쏨뱅이목의 한 과. 꼬마달재, 달강어, 성대 따위가 있다.
🌏 科: 품등 과 -
깡충거밋과
(깡충거밋科)
:
절지동물문 거미강 거미목의 한 과. 집을 짓지 않고 돌아다니며 먹이를 구하는데 높은 곳에서 이동할 때에는 배의 끝에서 실을 빼어 공중을 나는 것처럼 하여 옮아간다. 전 세계에 350여 속이 분포하는데, 우리나라에는 60종 이상이 알려져 있다. 비아노깡충거미, 털보깡충거미, 불개미거미, 산개미거미 따위가 있다.
🌏 科: 품등 과 -
비둘깃과
(비둘깃科)
:
조강 비둘기목의 한 과. 대개 암수가 같은 색깔이고 비행력이 강하며 성질이 온순하여 집에서 기르기 쉽다. 주로 삼림에 서식하고 나뭇가지, 해안의 바위틈에 둥지를 짓고 한 배에 한두 개의 흰 알을 낳는다. 전 세계에 300여 종이 있는데 우리나라에는 멧비둘기, 염주비둘기, 흑비둘기 따위가 있다.
🌏 科: 품등 과 -
유령거밋과
(幽靈거밋科)
:
절지동물문 거미강 거미목의 한 과. 머리가 작고 다리는 가늘고 길다. 불규칙한 그물을 치고 거꾸로 매달려 있다. 우리나라에는 대륙유령거미, 산유령거미, 집유령거미 따위가 있다.
🌏 幽: 그윽할 유 靈: 신령 령 科: 품등 과 -
명주잠자릿과
(明紬잠자릿科)
:
곤충강 풀잠자리목의 한 과. 잠자리와 비슷한데 더듬이는 짧고 곤봉 모양이며, 날개의 가장자리에 무늬가 없다. 애벌레는 개미귀신이라 부르며 주로 개미를 잡아먹는다. 물명주잠자리, 명주잠자리, 애명주잠자리 따위가 있다.
🌏 明: 밝을 명 紬: 명주 주 科: 품등 과 -
소랏과
(소랏科)
:
연체동물문 복족강 원시복족목의 한 과. 소라, 잔뿔소라, 팥알고둥, 납작소라 따위가 있다.
🌏 科: 품등 과 -
별불가사릿과
(별불가사릿科)
:
불가사리강 유극목의 한 과. 별불가사리가 있다.
🌏 科: 품등 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