祭 🌏한자(사자성어) 💡민속 분야 161개
祭:
제사 제
성 채
총획:11
부수:示
국어사전에서 🌏한자 "祭 (제사 제, 성 채)" 단어이고, '민속' 관련 단어는 161개 입니다.
💡통계
품사
글자수
한자
끝 글자
시작 글자

-
뇌공제
(雷公祭)
:
심한 가뭄 때 국가나 마을에서 천둥을 맡은 신(神)인 뇌공에게 지내는 제사.
🌏 雷: 우레 뇌 公: 공변될 공 祭: 제사 제 -
동제논
(洞祭논)
:
마을에서 지내는 제사의 경비를 충당하기 위하여 농사를 짓는, 마을 공동 소유의 논.
🌏 洞: 고을 동 祭: 제사 제 -
안택제
(安宅祭)
:
무당이 집안의 터주를 위로하기 위하여 하는 굿.
🌏 安: 편안할 안 宅: 집 택 祭: 제사 제 -
중농제
(中農祭)
:
농사를 짓는 과정에서 농신(農神)에게 올리는 의식. 유두(流頭)에 밀전병을 부쳐 논에 바치는 일 따위이다.
🌏 中: 가운데 중 農: 농사 농 祭: 제사 제 -
여제
(厲祭)
:
나라에 역질이 돌 때에 여귀에게 지내던 제사. 봄철에는 청명에, 가을철에는 7월 보름에, 겨울철에는 10월 초하루에 지냈다.
🌏 厲: 갈 여 祭: 제사 제 -
기은제
(祈恩祭)
:
조선 시대에, 함흥의 선원전(璿源殿)에서 무당과 광대를 불러 의장(儀仗)과 풍악을 갖추어 왕가의 복을 빌던 제사.
🌏 祈: 빌 기 恩: 은혜 은 祭: 제사 제 -
토신제
(土神祭)
:
마을 사람들이 마을을 지켜 주는 신인 동신(洞神)에게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 마을 사람들의 무병과 풍년을 빌며 정월 대보름날에 서낭당, 산신당, 당산(堂山) 따위에서 지낸다.
🌏 土: 흙 토 神: 귀신 신 祭: 제사 제 -
전답제
(田畓祭)
:
유두(流頭)에 행하던 제사의 하나. 농촌에서 논의 물꼬나 밭 가운데에 여러 음식을 차려 놓고 농신(農神)에게 풍년이 들기를 빈 다음 제사가 끝나면 그 음식들을 땅에 묻는다.
🌏 田: 밭 전 畓: 논 답 祭: 제사 제 -
기한제
(祈旱祭)
:
장마가 오래 계속되는 때에, 비가 그치고 해가 나기를 비는 제사.
🌏 祈: 빌 기 旱: 가물 한 祭: 제사 제 -
지신제
(地神祭)
:
땅을 다스리는 신령에게 지내는 제사.
🌏 地: 땅 지 神: 귀신 신 祭: 제사 제 -
장군제
(將軍祭)
:
음력 정월 보름날 마을의 수호신에게 지내던 제사. 마을 입구에 장군상을 세우고 마을 사람이 모여 점으로 그해의 운수가 좋은 사람을 제관(祭官)으로 뽑아 제사를 지냈다.
🌏 將: 장수 장 軍: 군사 군 祭: 제사 제 -
당산제
(堂山祭)
:
1
당산에서 산신(山神)에게 지내는 제사.
2
‘동신제’를 달리 이르는 말. (동신제: 마을 사람들이 마을을 지켜 주는 신인 동신(洞神)에게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 마을 사람들의 무병과 풍년을 빌며 정월 대보름날에 서낭당, 산신당, 당산(堂山) 따위에서 지낸다.)
🌏 堂: 집 당 山: 뫼 산 祭: 제사 제 -
가신제
(家神祭)
:
민간 신앙 의식의 하나. 성주, 지신 따위의 가신에게 지내는 제사를 이른다.
🌏 家: 집 가 神: 귀신 신 祭: 제사 제 -
산제단
(山祭壇)
:
산신제를 지내기 위하여 동네 뒤에 있는 큰 산에 만든 제단.
🌏 山: 뫼 산 祭: 제사 제 壇: 단 단 -
원장제
(元狀祭)
:
본제사에 앞서 지내던 제사. 대개 정월에 지냈다.
🌏 元: 으뜸 원 狀: 문서 장 祭: 제사 제 -
동빙제
(凍氷祭)
:
조선 시대에, 겨울이 너무 따뜻하거나 눈이 오지 않을 때, 또는 얼음을 떠서 빙고(氷庫)에 넣거나 빙고를 열 때 지내던 제사.
🌏 凍: 얼 동 氷: 얼음 빙 祭: 제사 제 -
포제 동산
(酺祭동산)
:
제주에서, 포제를 지내는 마을 뒷동산.
🌏 酺: 술 잔치 포 祭: 제사 제 -
서낭제
(서낭祭)
:
서낭신에게 지내는 제사.
🌏 祭: 제사 제 -
출사제
(出師祭)
:
출병(出兵)할 때 지내던 제사.
🌏 出: 날 출 師: 스승 사 祭: 제사 제 -
장빙제
(藏氷祭)
:
조선 시대에, 겨울이 너무 따뜻하거나 눈이 오지 않을 때, 또는 얼음을 떠서 빙고(氷庫)에 넣거나 빙고를 열 때 지내던 제사.
🌏 藏: 감출 장 氷: 얼음 빙 祭: 제사 제 -
납제
(臘祭)
:
납일(臘日)에 한 해 동안 지은 농사 형편과 그 밖의 일들을 여러 신에게 고하는 제사.
🌏 臘: 납향 납 祭: 제사 제 -
야제
(野祭)
:
한식(寒食)에 길가나 들에서 잡신(雜神)을 위하여 드리는 제사.
🌏 野: 들 야 祭: 제사 제 -
서방 토룡제
(西方土龍祭)
:
오방 토룡제의 하나. 서방 토룡단에서 서쪽을 맡은 백룡에게 비가 오기를 빌던 제사이다.
🌏 西: 서녘 서 方: 모 방 土: 흙 토 龍: 용 룡 祭: 제사 제 -
샘제
(샘祭)
:
마을의 공동 우물에 물이 잘 나오라고 치성을 드리는 일. 음력 정월 중 수신(水神)이 내려오는 날을 점쳐서 제사를 주관하는 사람 세 명이 한밤중에 우물가에서 드린다.
🌏 祭: 제사 제 -
토룡제
(土龍祭)
:
흙으로 빚은 용을 놓고 비가 오기를 빌며 지내던 제사.
🌏 土: 흙 토 龍: 용 룡 祭: 제사 제 -
산천제
(山天祭)
:
산신령에게 드리는 제사.
🌏 山: 뫼 산 天: 하늘 천 祭: 제사 제 -
계제사
(禊祭祀)
:
유둣날에, 액운을 떨어 버리기 위하여 물가에서 지내는 제사.
🌏 禊: 계제 계 祭: 제사 제 祀: 제사 사 -
산제
(山祭)
:
산신령에게 드리는 제사.
🌏 山: 뫼 산 祭: 제사 제 -
개토제
(開土祭)
:
뫼를 쓸 때에, 흙을 파기 전에 토지신에게 올리는 제사.
🌏 開: 열 개 土: 흙 토 祭: 제사 제 -
포제
(酺祭)
:
1
논밭의 충해가 심할 때에 그 피해를 물리치기 위하여 지내던 제사.
2
제주에서, 매년 정월 첫 정일(丁日)에 지내는 동제(洞祭).
🌏 酺: 술 잔치 포 祭: 제사 제 -
기곡 대제
(祈穀大祭)
:
임금이 친히 한 해의 농사가 잘되기를 빌며 지내던 제사. 음력 정월 첫 번째 신일(辛日)에 지냈다.
🌏 祈: 빌 기 穀: 곡식 곡 大: 큰 대 祭: 제사 제 -
공문제
(公文祭)
:
조선 후기에, 보부상들이 총회를 열 때 상무사의 공문을 모셔 놓고 올리던 제사.
🌏 公: 공변될 공 文: 글월 문 꾸밀 문 祭: 제사 제 -
칠일제
(七日祭)
:
사람이 죽은 지 이레 만에 지내는 제사.
🌏 七: 일곱 칠 日: 날 일 祭: 제사 제 -
소제
(燒祭)
:
탈놀이 따위의 마지막 절차로서, 부정을 타지 아니하고 풍년과 마을의 무사를 비는 뜻으로 탈을 태우는 일.
🌏 燒: 사를 소 祭: 제사 제 -
풍어제
(豐漁祭)
:
어촌에서, 물고기가 많이 잡히기를 비는 제사.
🌏 豐: 풍년 풍 漁: 고기잡을 어 祭: 제사 제 -
해괴제
(解怪祭)
:
조선 시대에, 나라에서 이상한 일이 일어났을 경우에 지내던 제사. 궁중 용마루 위에서 부엉이가 울거나, 절의 부처가 땀을 흘리거나 하는 일이 있을 때에 지냈다.
🌏 解: 풀 해 怪: 기이할 괴 祭: 제사 제 -
상음신제
(霜陰神祭)
:
매년 단오에 선위 대왕과 선위 부인의 영에 올리는 제사. 함경남도 안변에 그 사당이 있다.
🌏 霜: 서리 상 陰: 응달 음 神: 귀신 신 祭: 제사 제 -
오금잠제
(烏金簪祭)
:
강원도 삼척에서 단오에 지내는 제사. 고려 태조의 유물이라고 전하는 오금비녀를 함에 모시고 무당을 불러 3일 동안 제사를 지낸다.
🌏 烏: 까마귀 오 金: 쇠 금 簪: 비녀 잠 祭: 제사 제 -
일포제
(日哺祭)
:
발인 전에 영결을 고하는 제사 의식.
🌏 日: 날 일 哺: 먹을 포 祭: 제사 제 -
삭제
(朔祭)
:
왕실에서 음력 초하룻날마다 조상에게 지내던 제사.
🌏 朔: 초하루 삭 祭: 제사 제 -
기설제
(祈雪祭)
:
고려ㆍ조선 시대에, 납일(臘日) 이전에 눈이 오지 않을 때 눈이 오기를 빌던 나라의 제사. 농경의례로 소사(小祀)에 속하는 길례(吉禮)이다.
🌏 祈: 빌 기 雪: 눈 설 祭: 제사 제 -
흑룡 기우제
(黑龍祈雨祭)
:
오방 토룡제(五方土龍祭)의 하나. 북방 토룡단에서 북쪽을 맡은 흑룡에게 비를 빌던 제사이다.
🌏 黑: 검을 흑 龍: 용 룡 祈: 빌 기 雨: 비 우 祭: 제사 제 -
남방 토룡제
(南方土龍祭)
:
오방 토룡제의 하나. 남방 토룡단에서 남쪽을 맡은 적룡에게 비를 빌던 제사이다.
🌏 南: 남녘 남 方: 모 방 土: 흙 토 龍: 용 룡 祭: 제사 제 -
동방 토룡제
(東方土龍祭)
:
오방 토룡제의 하나. 동방 토룡단에서 동쪽을 맡은 청룡에게 비를 빌던 제사이다.
🌏 東: 동녘 동 方: 모 방 土: 흙 토 龍: 용 룡 祭: 제사 제 -
독제
(纛祭)
:
‘둑제’의 원말. (둑제: 임금의 행차나 군대의 행렬 앞에 세우는 둑에 지내던 제사.)
🌏 纛: 둑기 독 祭: 제사 제 -
산신 제물
(山神祭物)
:
산신에게 제사를 지낼 때 차려 놓는 음식.
🌏 山: 뫼 산 神: 귀신 신 祭: 제사 제 物: 만물 물 -
서낭제 탈놀이
(서낭祭탈놀이)
:
농어촌에서 굿과 함께 벌이는 탈놀이를 도시에서 발전한 탈놀이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 祭: 제사 제 -
중류제
(中霤祭)
:
음력 6월 토왕일(土旺日)에 토지신에게 지내던 제사. 집의 한가운데 있는 방에서 지냈다.
🌏 中: 가운데 중 霤: 낙숫물 류 祭: 제사 제 -
청룡 기우제
(靑龍祈雨祭)
:
오방 토룡제의 하나. 동방 토룡단에서 동쪽을 맡은 청룡에게 비를 빌던 제사이다.
🌏 靑: 푸를 청 龍: 용 룡 祈: 빌 기 雨: 비 우 祭: 제사 제 -
초제
(醮祭)
:
무속 신앙이나 도교에서, 별을 향하여 지내는 제사.
🌏 醮: 제사 지낼 초 祭: 제사 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