神 🌏한자(사자성어) 💡의학 분야 340개
-
정신 지체아
(精神遲滯兒)
:
‘지적장애아’의 전 용어. (지적 장애아: 생후 비교적 조기에 선천적이거나 후천적인 요인으로 중추 신경 계통에 장애를 받아 정신 발달이 저지되거나 뒤져 있는 아동.)
🌏 精: 찧을 정 神: 귀신 신 遲: 더딜 지 滯: 막힐 체 兒: 아이 아 -
원심성 신경
(遠心性神經)
:
중추에 일어난 흥분을 말초에 전달하는 신경.
🌏 遠: 멀 원 心: 마음 심 性: 성품 성 神: 귀신 신 經: 경서 경 -
정신 장애자
(精神障礙者)
:
정신 기능에 장애가 있어 사물을 변별하거나 의사를 결정할 능력이 없는 사람. 장애의 정도에 따라 형법에서는 심신 상실자와 심신 미약자로 구별하여 형사상 책임을 달리하고, 민법에서는 피성년 후견인 또는 피한정 후견인으로 정하여 행위 능력을 제한한다.
🌏 精: 찧을 정 神: 귀신 신 障: 가로막을 장 礙: 막을 애 者: 놈 자 -
정신 분열병
(精神分裂病)
:
‘조현병’의 전 용어. (조현병: 사고의 장애나 감정, 의지, 충동 따위의 이상으로 인한 인격 분열의 증상. 현실과의 접촉을 상실하고 분열병성 황폐를 가져오는 병이다. 청년기에 많으며 내향적인 성격이나 비사교적, 공격적 성향을 가진 사람에게 일어나기 쉬운데, 유전적인 요인과 깊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본다. 긴장형, 파과형(破瓜型), 망상형(妄想型) 따위로 나눈다.)
🌏 精: 찧을 정 神: 귀신 신 分: 나눌 분 裂: 찢을 열 病: 병들 병 -
정신맹
(精神盲)
:
시각 자체는 정상인데, 뒤통수엽이 손상되어 눈으로 본 것을 파악하거나 인식하지 못하는 상태. 대뇌 겉질에서 시각 겉질이 다른 중추와 연락이 잘 안되기 때문에 나타난다.
🌏 精: 찧을 정 神: 귀신 신 盲: 소경 맹 -
내이 신경
(內耳神經)
:
여덟째 머릿골 신경으로, 소리를 듣는 달팽이관 신경과 평형 감각을 맡은 안뜰 신경으로 이루어진 신경. 사람에 따라 달팽이 신경과 안뜰 신경이 머리뼈안에서 고랑에 의해 구별이 되기도 하고 그렇지 않기도 한다. 다리뇌, 숨뇌, 소뇌 사이의 모퉁이에서 나와 속귀길로 들어간다.
🌏 內: 안 내 耳: 귀 이 神: 귀신 신 經: 경서 경 -
신경 분비물
(神經分泌物)
:
신경 세포에서 분비하는 물질. 신경 호르몬, 신경액 따위가 있다.
🌏 神: 귀신 신 經: 경서 경 分: 나눌 분 泌: 샘물 졸졸 흐를 비 物: 만물 물 -
시각 신경염
(視覺神經炎)
:
시각 신경에 온 염증.
🌏 視: 볼 시 覺: 깨달을 각 神: 귀신 신 經: 경서 경 炎: 불탈 염 -
신경 아교 섬유
(神經阿膠纖維)
:
신경 아교 세포의 돌기.
🌏 神: 귀신 신 經: 경서 경 阿: 언덕 아 膠: 갖풀 교 纖: 가늘 섬 維: 바 유 -
신경과
(神經科)
:
신경 계통을 다루는 의학의 한 분야.
🌏 神: 귀신 신 經: 경서 경 科: 품등 과 -
투사 신경로
(投射神經路)
:
대뇌 겉질에서 대뇌 반구 아래쪽 뇌의 부분이나 척수로 내려가는 신경 섬유.
🌏 投: 던질 투 射: 쏠 사 神: 귀신 신 經: 경서 경 路: 길 로 -
상반 신경 지배
(相反神經支配)
:
하나의 근육을 지배하는 운동 신경이 흥분될 때에는 그 반대되는 근육을 지배하는 운동 신경의 중추가 억제되는 현상. 수의 운동에서, 굽힘근이 수축하면서 폄근이 이완하는 따위이다.
🌏 相: 서로 상 反: 돌이킬 반 神: 귀신 신 經: 경서 경 支: 지탱할 지 配: 짝 배 -
갓돌림 신경
(갓돌림神經)
:
여섯째 머릿골 신경으로, 뇌에서 나와 눈구멍으로 들어가 안구를 바깥쪽으로 돌리는 작용을 하는 운동 신경.
🌏 神: 귀신 신 經: 경서 경 -
신경 조직
(神經組織)
:
신경 세포와 돌기 및 신경 아교로 이루어진 조직.
🌏 神: 귀신 신 經: 경서 경 組: 짤 조 織: 짤 직 -
관절 신경통
(關節神經痛)
:
관절 부위에 있는 말초 신경이 자극을 받아서 일어나는 통증.
🌏 關: 빗장 관 節: 마디 절 神: 귀신 신 經: 경서 경 痛: 아플 통 -
신경종
(神經腫)
:
신경의 구성 성분인 신경 세포나 신경 섬유에서 생기는 종양을 통틀어 이르는 말.
🌏 神: 귀신 신 經: 경서 경 腫: 부스럼 종 -
자율 신경절
(自律神經節)
:
자율 신경의 중간에 있는 신경절.
🌏 自: 스스로 자 律: 법 율 神: 귀신 신 經: 경서 경 節: 마디 절 -
안면 신경통
(顔面神經痛)
:
삼차 신경의 분포 영역에 생기는 통증 발작. 얼굴 한쪽이 심하게 아프며 후두부나 어깨까지 아플 수도 있는데 중년 이후의 여성에게 많다. 원인은 분명하지 않으나, 뇌줄기에 발생한 종양이나 뇌동맥 자루가 원인일 가능성이 있고, 다발 경화증의 증상으로 나타날 수도 있으며 뇌 바닥 세동맥의 동맥 경화증이 원인이 되는 경우도 있다.
🌏 顔: 얼굴 안 面: 낯 면 神: 귀신 신 經: 경서 경 痛: 아플 통 -
제칠 뇌신경
(第七腦神經)
:
일곱째 머릿골 신경으로, 주로 얼굴 근육에 분포하여 얼굴의 표정 운동을 관장하는 운동 신경. 미각이나 침의 분비를 맡는 신경 섬유를 포함한다.
🌏 第: 차례 제 七: 일곱 칠 腦: 뇌 뇌 神: 귀신 신 經: 경서 경 -
후각 신경 마비
(嗅覺神經痲痹)
:
냄새를 맡는 감각 신경이 기능을 잃는 머릿골 신경 마비.
🌏 嗅: 냄새 맡을 후 覺: 깨달을 각 神: 귀신 신 經: 경서 경 痲: 저릴 마 痹: 저릴 비 -
설인 신경
(舌咽神經)
:
‘혀인두신경’의 전 용어. (혀 인두 신경: 아홉째 머릿골 신경으로, 숨뇌에서 일어나며 혀와 인두에 주로 분포하는 혼합 신경. 혀의 뒤쪽 1/3에서 일반 감각과 맛감각, 인두의 일부 근육에서 운동 신경, 그리고 귀밑샘에서 부교감 신경이 일어난다.)
🌏 舌: 혀 설 咽: 목구멍 인 神: 귀신 신 經: 경서 경 -
두렁 신경
(두렁神經)
:
넙다리 신경의 끝부분. 정강이 안쪽과 발등 안쪽의 피부를 다스린다.
🌏 神: 귀신 신 經: 경서 경 -
분비 신경
(分泌神經)
:
샘세포를 흥분하게 하여 분비를 촉진하는 신경.
🌏 分: 나눌 분 泌: 샘물 졸졸 흐를 비 神: 귀신 신 經: 경서 경 -
되돌이 후두 신경
(되돌이喉頭神經)
:
후두 속에 있는, 성대문을 열고 닫는 근육을 지배하는 신경.
🌏 喉: 목구멍 후 頭: 머리 두 神: 귀신 신 經: 경서 경 -
급성 특발 다발 신경염
(急性特發多發神經炎)
:
원인을 모르게 여러 말초 신경에 염증이 와서, 팔다리에 통증과 마비가 일어나며 몸통과 얼굴로 퍼지는 질병. 병의 진행은 다양한데, 심한 경우 호흡 마비를 일으켜 중환자실 간호가 필요하다. 특별한 치료 없이 몇 주일이나 몇 달 안에 회복된다.
🌏 急: 급할 급 性: 성품 성 特: 특별할 특 發: 필 발 多: 많을 다 發: 필 발 神: 귀신 신 經: 경서 경 炎: 불탈 염 -
척수 부교감 신경
(脊髓副交感神經)
:
척수의 둘째와 넷째 엉치뼈 부분에서 일어나는 부교감 신경.
🌏 脊: 등성마루 척 髓: 골수 수 副: 버금 부 交: 사귈 교 感: 느낄 감 神: 귀신 신 經: 경서 경 -
요신경
(腰神經)
:
척수의 허리 분절에서 일어나는 다섯 쌍의 척수 신경.
🌏 腰: 허리 요 神: 귀신 신 經: 경서 경 -
망상형 정신 분열병
(妄想型精神分裂病)
:
‘망상형조현병’의 전 이름. (망상형 조현병: 조현병의 하나. 환각과 망상이 주된 징후로 나타나며, 공상에 사로잡혀 과장적인 경향을 보이거나 피해망상으로 인하여 질투심이 많아지기도 한다.)
🌏 妄: 허망할 망 想: 생각 상 型: 거푸집 형 精: 찧을 정 神: 귀신 신 分: 나눌 분 裂: 찢을 열 病: 병들 병 -
신경 분비
(神經分泌)
:
신경 세포가 자극이나 흥분을 전달하는 구실 외에 내분비적인 활동을 하는 생리적 현상. 주로 분비물을 생산하여 혈액 속으로 방출하는 일을 이른다.
🌏 神: 귀신 신 經: 경서 경 分: 나눌 분 泌: 샘물 졸졸 흐를 비 -
신경 구토증
(神經嘔吐症)
:
위신경증의 한 증상으로, 나타나는 구토증. 신경질이 있는 어린아이가 흥분하거나 불만이 있을 때 일어난다.
🌏 神: 귀신 신 經: 경서 경 嘔: 기쁠 구 토할 구 吐: 토할 토 症: 증세 증 -
반얼굴 신경통
(半얼굴神經痛)
:
얼굴의 반쪽에만 오는 신경통.
🌏 半: 반 반 神: 귀신 신 經: 경서 경 痛: 아플 통 -
안뜰 신경
(안뜰神經)
:
속귀 신경의 하나. 평형 감각과 머리의 위치 감각을 맡는다.
🌏 神: 귀신 신 經: 경서 경 -
정신외과
(精神外科)
:
정신병ㆍ신경증ㆍ만성 통증 따위를 뇌의 수술로써 치료하는 신경외과.
🌏 精: 찧을 정 神: 귀신 신 外: 바깥 외 科: 품등 과 -
천골 신경총
(薦骨神經叢)
:
넷째 허리 신경부터 넷째 엉치 신경 사이의 척수 신경이 골반의 가쪽 벽에서 이웃한 신경들이 만났다 갈라졌다 하며 이룬 얼기. 여기서 일어난 신경들은 골반, 볼기, 다리에 분포한다.
🌏 薦: 드릴 천 骨: 뼈 골 神: 귀신 신 經: 경서 경 叢: 모을 총 -
심신 장애자
(心神障礙者)
:
정신 기능에 장애가 있어 사물을 변별하거나 의사를 결정할 능력이 없는 사람. 장애의 정도에 따라 형법에서는 심신 상실자와 심신 미약자로 구별하여 형사상 책임을 달리하고, 민법에서는 피성년 후견인 또는 피한정 후견인으로 정하여 행위 능력을 제한한다.
🌏 心: 마음 심 神: 귀신 신 障: 가로막을 장 礙: 막을 애 者: 놈 자 -
상악 신경
(上顎神經)
:
삼차 신경의 둘째 가지. 윗니와 눈 아래 피부의 감각을 지배한다.
🌏 上: 위 상 顎: 얼굴 높을 악 神: 귀신 신 經: 경서 경 -
정신 박약증
(精神薄弱症)
:
선천적으로 지적 장애가 있는 병. 유전적인 것 외에 태내에서의 감염, 중독 따위가 원인이다.
🌏 精: 찧을 정 神: 귀신 신 薄: 얇을 박 弱: 약할 약 症: 증세 증 -
눈신경
(눈神經)
:
삼차 신경의 첫째 가지로 눈구멍 속의 구조와 윗눈꺼풀, 코, 이마 부위에 분포하는 가지를 내는 감각 신경.
🌏 神: 귀신 신 經: 경서 경 -
발기 신경
(勃起神經)
:
부교감 신경의 하나. 곧창자ㆍ방광ㆍ요도ㆍ전립샘ㆍ정낭ㆍ자궁ㆍ질 따위에 분포하여 배변ㆍ배뇨ㆍ사정ㆍ분만ㆍ발기 따위의 자율 기능을 조절한다.
🌏 勃: 우쩍 일어날 발 起: 일어날 기 神: 귀신 신 經: 경서 경 -
향정신 약물 치료
(向精神藥物治療)
:
향정신성 의약품을 써서 정신병을 치료하는 일.
🌏 向: 향할 향 精: 찧을 정 神: 귀신 신 藥: 약 약 物: 만물 물 治: 다스릴 치 療: 병 고칠 료 -
코 신경
(코神經)
:
첫째 머릿골 신경으로 코점막에서 냄새를 맡는 수용체 세포의 돌기가 머리뼈안으로 다발을 이루어 뻗는 신경.
🌏 神: 귀신 신 經: 경서 경 -
신경 마디
(神經마디)
:
뇌와 척수가 아닌 곳에 신경 세포체가 모여 있는 것.
🌏 神: 귀신 신 經: 경서 경 -
종아리 신경 마비
(종아리神經痲痹)
:
종아리뼈 신경이 마비되어 발끝이 아래로 처지고 발등 쪽으로 발을 굽힐 수 없게 되는 척추 신경 마비. 각기 환자에게 많은 증상으로 걸음걸이에 불편을 준다.
🌏 神: 귀신 신 經: 경서 경 痲: 저릴 마 痹: 저릴 비 -
혀밑 신경
(혀밑神經)
:
열두째 머릿골 신경으로, 혀의 근육에 분포하는 신경. 숨뇌에서 여러 개의 잔뿌리로 일어나 혀밑 신경관을 지나 머리뼈를 빠져나가며 목에서 혀로 들어가 혀의 모든 근육에 분포한다.
🌏 神: 귀신 신 經: 경서 경 -
들신경
(들神經)
:
말초에서 뇌와 척수로 자극을 전달하는 신경.
🌏 神: 귀신 신 經: 경서 경 -
회귀 후두 신경
(回歸後頭神經)
:
후두 속에 있는, 성대문을 열고 닫는 근육을 지배하는 신경.
🌏 回: 돌아올 회 歸: 돌아올 귀 後: 뒤 후 頭: 머리 두 神: 귀신 신 經: 경서 경 -
방광 신경증
(膀胱神經症)
:
방광 기능에는 변화가 없는데, 신경 반사적으로 방광이 자극을 받아 오줌 누는 횟수가 많아지는 증상.
🌏 膀: 오줌통 방 胱: 오줌통 광 神: 귀신 신 經: 경서 경 症: 증세 증 -
신경총
(神經叢)
:
‘신경얼기’의 전 용어. (신경얼기: 신경 섬유가 서로 섞여서 그물처럼 이루어진 것.)
🌏 神: 귀신 신 經: 경서 경 叢: 모을 총 -
자신경 마비
(자神經痲痹)
:
자신경의 장애로 일어나는 마비.
🌏 神: 귀신 신 經: 경서 경 痲: 저릴 마 痹: 저릴 비 -
듣기신경
(듣기神經)
:
여덟째 머릿골 신경으로, 소리를 듣는 달팽이관 신경과 평형 감각을 맡은 안뜰 신경으로 이루어진 신경. 사람에 따라 달팽이 신경과 안뜰 신경이 머리뼈안에서 고랑에 의해 구별이 되기도 하고 그렇지 않기도 한다. 다리뇌, 숨뇌, 소뇌 사이의 모퉁이에서 나와 속귀길로 들어간다.
🌏 神: 귀신 신 經: 경서 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