的 🌏한자(사자성어) 💡철학 분야 421개
-
방법적 회의
(方法的懷疑)
:
확실한 진리에 이르기 위한 수단이나 방법으로써 행하는 의심. 데카르트의 용어로, 철학적 이론이나 감각적 인식, 또는 일상적 의식 모두가 확실한 것으로 인정될 수 없다고 여기고, 조금이라도 의심스러운 것은 거짓으로 본 후에야 더 이상 의심할 수 없는 확실한 판단에 이를 수 있다고 한다.
🌏 方: 모 방 法: 법도 법 的: 과녁 적 懷: 품을 회 疑: 의심할 의 -
미적 범주
(美的範疇)
:
본래는 하나인 미(美)를 우아미, 숭고미, 비장미, 골계미 따위의 개별적인 유형으로 분류한 개념.
🌏 美: 아름다울 미 的: 과녁 적 範: 법 범 疇: 밭 두둑 주 -
변증법적 유물론
(辨證法的唯物論)
:
자연과 사회의 전체를 물질적 존재의 변증법적 발전으로 설명한 이론. 헤겔의 관념론적 변증법을 유물론에 입각하여 전개한 이론으로, 마르크스의 유물 사관을 일반화하여 엥겔스, 레닌, 스탈린 등에 의하여 시작되었다.
🌏 辨: 분별할 변 證: 증거 증 法: 법도 법 的: 과녁 적 唯: 오직 유 物: 만물 물 論: 논의할 론 -
미적 내용
(美的內容)
:
예술 표현의 제재나 심리적 내용 또는 가치 내용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
🌏 美: 아름다울 미 的: 과녁 적 內: 안 내 容: 얼굴 용 -
규제적 원리
(規制的原理)
:
이념이 스스로 인식의 한계를 정하고, 구성적 원리를 발견하여 인식을 규제하는 합목적성의 원리. 칸트의 용어이다.
🌏 規: 법 규 制: 억제할 제 的: 과녁 적 原: 근원 원 理: 다스릴 리 -
감정적 도덕설
(感情的道德說)
:
도덕적 행위의 동기를 감정에 두는 윤리 학설.
🌏 感: 느낄 감 情: 뜻 정 的: 과녁 적 道: 길 도 德: 덕 덕 說: 말씀 설 -
긍정적 개념
(肯定的槪念)
:
어떤 성질의 존재를 긍정적으로 나타내는 개념. 무식에 대한 유식, 불행에 대한 행복 따위이다.
🌏 肯: 옳게 여길 긍 定: 정할 정 的: 과녁 적 槪: 대개 개 念: 생각할 념 -
합리적 자애
(合理的自愛)
:
이성을 세계관 또는 인생관의 중심으로 삼아 자아가 한없는 만족을 추구하는 일.
🌏 合: 합할 합 理: 다스릴 리 的: 과녁 적 自: 스스로 자 愛: 사랑 애 -
현현적
(顯現的)
:
1
어떤 존재 또는 개념의 성질이나 요소가 이것들의 전개나 분석에 의하여 분명히 드러나는 것.
2
어떤 존재 또는 개념의 성질이나 요소가 이것들의 전개나 분석에 의하여 분명히 드러나는.
🌏 顯: 나타날 현 現: 나타날 현 的: 과녁 적 -
심적 현상
(心的現象)
:
의식의 현상.
🌏 心: 마음 심 的: 과녁 적 現: 나타날 현 象: 코끼리 상 상아 상 상징 상 형상 상 징조 상 용모 상 상상 상 법제 상 역법 상 본받을 상 -
이접적 개념
(離接的槪念)
:
동일 종류의 개념이면서 그 외연이 전혀 달라 교차하지 않고 아주 분리되어 있는 개념. 흑(黑)과 백(白), 삼각형과 사각형 같은 것이다.
🌏 離: 떠날 이 接: 접할 접 的: 과녁 적 槪: 대개 개 念: 생각할 념 -
주관적 관념론
(主觀的觀念論)
:
사물의 존재는 개인의 주관이 가지고 있는 표상(表象) 또는 감각 내용에 불과하고, 인식 작용을 떠나서는 어떠한 존재도 있을 수 없다는 이론. 버클리, 흄, 피히테 등의 학설이 대표적이다.
🌏 主: 주인 주 觀: 볼 관 的: 과녁 적 觀: 볼 관 念: 생각할 념 論: 논의할 론 -
점적 사고
(點的思考)
:
순간순간의 영감(靈感)을 중요시하는 사고법.
🌏 點: 점찍을 점 的: 과녁 적 思: 생각 사 考: 상고할 고 -
적극적 개념
(積極的槪念)
:
어떤 성질의 존재를 긍정적으로 나타내는 개념. 무식에 대한 유식, 불행에 대한 행복 따위이다.
🌏 積: 쌓을 적 極: 지극할 극 的: 과녁 적 槪: 대개 개 念: 생각할 념 -
방법적 회의론
(方法的懷疑論)
:
방법적 회의로써 진리를 탐구하는 데카르트의 방법론.
🌏 方: 모 방 法: 법도 법 的: 과녁 적 懷: 품을 회 疑: 의심할 의 論: 논의할 론 -
소극적 판단
(消極的判斷)
:
어떤 사태가 성립함을 인정하지 아니하는 판단. 전통적 형식 논리학에서 주사(主辭)의 외연이 빈사(賓辭)의 외연에 포함되어 있지 않음을 나타내는 판단을 이른다.
🌏 消: 꺼질 소 極: 지극할 극 的: 과녁 적 判: 판가름할 판 斷: 끊을 단 -
객관적 도덕
(客觀的道德)
:
1
대부분의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지니는 도덕.
2
행위를 하는 주관적인 요인인 동기보다는 행위의 결과를 중시하는 도덕.
🌏 客: 손님 객 觀: 볼 관 的: 과녁 적 道: 길 도 德: 덕 덕 -
원자론적
(原子論的)
:
1
모든 사물이 원자로 이루어졌다는 견해에 기초하는 것.
2
모든 사물이 원자로 이루어졌다는 견해에 기초하는.
🌏 原: 근원 원 子: 아들 자 論: 논의할 론 的: 과녁 적 -
직언적 명령
(直言的命令)
:
칸트 철학에서, 행위의 결과에 구애됨이 없이 행위 그것 자체가 선(善)이기 때문에 무조건 그 수행이 요구되는 도덕적 명령.
🌏 直: 곧을 직 言: 말씀 언 的: 과녁 적 命: 목숨 명 令: 명령할 령 -
직접적 명제
(直接的命題)
:
분석 철학에서, 직접 경험할 수 있는 관찰ㆍ지각의 결과를 나타낸 명제. 경험적 검증의 기초가 된다.
🌏 直: 곧을 직 接: 접할 접 的: 과녁 적 命: 목숨 명 題: 제목 제 -
연역적 논증
(演繹的論證)
:
일반적인 사실이나 원리를 근거로 하여 다른 특수한 사실을 이끌어 내기 위한 논증. 연역적 추리 형식으로 진행하는 논증을 이른다.
🌏 演: 멀리 흐를 연 繹: 당길 역 的: 과녁 적 論: 논의할 논 證: 증거 증 -
심리적 쾌락주의
(心理的快樂主義)
:
인간이 쾌락을 추구하는 것은 심리적 사실로서 인간의 근본적인 욕구이며 또한 인생의 최고 목적이라는 학설.
🌏 心: 마음 심 理: 다스릴 리 的: 과녁 적 快: 쾌할 쾌 樂: 즐길 락 主: 주인 주 義: 옳을 의 순응할 의 명분 의 문체이름 의 뜻 의 가짜 의 은의 의 착할 의 의론 의 공정할 의 -
비변증법적 유물론
(非辨證法的唯物論)
:
변증법적 전개를 무시하고 자연이나 사회 현상을 단순한 기계적 운동에 의한 양적 변화로 보고 발전을 인정하지 않는 유물론.
🌏 非: 아닐 비 辨: 분별할 변 證: 증거 증 法: 법도 법 的: 과녁 적 唯: 오직 유 物: 만물 물 論: 논의할 론 -
사변적 미학
(思辨的美學)
:
현상의 배후에 있는 실재의 세계를 근거로 하여 미(美) 또는 예술의 본질을 설명하려는 학문.
🌏 思: 생각 사 辨: 분별할 변 的: 과녁 적 美: 아름다울 미 學: 배울 학 -
역사적 이성
(歷史的理性)
:
역사적 세계를 포착하는 정신과학의 인식 작용. 독일의 철학자 딜타이의 용어이다. 딜타이는 칸트의 이성 비판의 철학이 자연 과학의 인식을 지배하는 이성을 주제로 하는 것에 착안하여, 역사적ㆍ사회적 현실의 학문인 정신과학을 지배하는 이성의 비판을 행할 것을 주장하였다.
🌏 歷: 지낼 역 史: 역사 사 的: 과녁 적 理: 다스릴 이 性: 성품 성 -
발생적 방법
(發生的方法)
:
개념이나 인식이 어떻게 생성되고 발전하여 왔는지를 사실적으로 설명하는 방법.
🌏 發: 필 발 生: 날 생 的: 과녁 적 方: 모 방 法: 법도 법 -
이성적 우주론
(理性的宇宙論)
:
경험적 사실을 떠나 우주 전체의 이념을 탐구하여 그 본질을 이성적으로 규정하려는 우주론.
🌏 理: 다스릴 이 性: 성품 성 的: 과녁 적 宇: 집 우 宙: 집 주 論: 논의할 론 -
육체적 생명
(肉體的生命)
:
생물 유기체로서의 사람의 생명. 사회적 존재로서의 사람의 생명인 정치적 생명에 대응되는 개념이다.
🌏 肉: 고기 육 體: 몸 체 的: 과녁 적 生: 날 생 命: 목숨 명 -
가언적 추론
(假言的推論)
:
전제 가운데에 일부가 가언 명제로 이루어진 추론.
🌏 假: 거짓 가 言: 말씀 언 的: 과녁 적 推: 옮길 추 論: 논의할 론 -
복합적 삼단 논법
(複合的三段論法)
:
두 개 이상의 삼단 논법 사이에서, 하나의 삼단 논법의 결론이 다른 삼단 논법의 전제로 연결되는 삼단 논법. 이를테면 ‘모든 A는 B이다.’ ‘모든 B는 C이다.’ ‘그러므로 모든 A는 C이다.’ ‘그러나 모든 C는 D이다.’ ‘그러므로 A는 D이다.’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 複: 겹옷 복 合: 합할 합 的: 과녁 적 三: 석 삼 段: 구분 단 論: 논의할 논 法: 법도 법 -
형이하학적
(形而下學的)
:
1
형이하학에 관련되거나 바탕을 둔 것.
2
형이하학에 관련되거나 바탕을 둔.
🌏 形: 형상 형 而: 말이을 이 下: 아래 하 學: 배울 학 的: 과녁 적 -
구체적 개념 명사
(具體的槪念名辭)
:
구체적 개념을 말로 나타내는 명사.
🌏 具: 갖출 구 體: 몸 체 的: 과녁 적 槪: 대개 개 念: 생각할 념 名: 이름 명 辭: 말씀 사 -
실천적 사랑
(實踐的사랑)
:
의무의 관념으로 남에게 친절을 베푸는 일.
🌏 實: 열매 실 踐: 밟을 천 的: 과녁 적 -
일차원적 인간
(一次元的人間)
:
현상에 대한 비판이나 인간의 내적 자유 따위를 상실하고, 개성을 상실한 무능력하고 동조적(同調的)인 인간을 이르는 말.
🌏 一: 하나 일 次: 버금 차 元: 으뜸 원 的: 과녁 적 人: 사람 인 間: 사이 간 -
목적관
(目的觀)
:
모든 사물은 목적에 의하여 규정되고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존재한다는 이론.
🌏 目: 눈 목 的: 과녁 적 觀: 볼 관 -
사변적 이성
(思辨的理性)
:
이론적 인식에만 관계하는 순수 이성. 칸트 철학에서 실천 이성에 대한 이론 이성을 가리킨다.
🌏 思: 생각 사 辨: 분별할 변 的: 과녁 적 理: 다스릴 이 性: 성품 성 -
경험적 개념
(經驗的槪念)
:
감각적 경험의 범위 안에서 얻어지는 개념. 사람, 꽃, 동물 따위와 같이 경험을 바탕으로 얻어진 개념을 말한다.
🌏 經: 경서 경 驗: 시험 험 的: 과녁 적 槪: 대개 개 念: 생각할 념 -
연역적
(演繹的)
:
1
연역에 의하여 논리를 전개하여 나가는 것.
2
연역에 의하여 논리를 전개하여 나가는.
🌏 演: 멀리 흐를 연 繹: 당길 역 的: 과녁 적 -
형이하적
(形而下的)
:
1
형체를 갖추어 나타나 있는 물질의 영역과 관련된 것.
2
형체를 갖추어 나타나 있는 물질의 영역과 관련된.
🌏 形: 형상 형 而: 말이을 이 下: 아래 하 的: 과녁 적 -
역퇴적 논증
(逆退的論證)
:
결론의 진리를 증명하는 데 있어 결론의 전제가 되는 일반적인 진리에 호소하는 논증법. 결론으로부터 그 전제를 이루는 일반적인 진리로 거슬러 올라가는 것에 의하여, 결론이 참임을 증명한다.
🌏 逆: 거스를 역 退: 물러날 퇴 的: 과녁 적 論: 논의할 논 證: 증거 증 -
선언적
(選言的)
:
1
몇 개의 배타적 개념이나 빈사(賓辭) 가운데에서 선택하게 되어 있는 것.
2
몇 개의 배타적 개념이나 빈사(賓辭) 가운데에서 선택하게 되어 있는.
🌏 選: 가릴 선 言: 말씀 언 的: 과녁 적 -
무한적 판단
(無限的判斷)
:
‘불사적(不死的)’, ‘비생산적’처럼 원칙상 외연이 무한한 낱말을 빈사로 가지는 긍정 형식의 판단.
🌏 無: 없을 무 限: 한계 한 的: 과녁 적 判: 판가름할 판 斷: 끊을 단 -
자연 과학적 유물론
(自然科學的唯物論)
:
과학의 성과에 기초하여 세계를 인간의 의식과는 독립해 있는 객관적 실재로 인정하는 유물론적 견해.
🌏 自: 스스로 자 然: 그럴 연 科: 품등 과 學: 배울 학 的: 과녁 적 唯: 오직 유 物: 만물 물 論: 논의할 론 -
과학적 유물론
(科學的唯物論)
:
과학의 성과에 기초하여 세계를 인간의 의식과는 독립해 있는 객관적 실재로 인정하는 유물론적 견해.
🌏 科: 품등 과 學: 배울 학 的: 과녁 적 唯: 오직 유 物: 만물 물 論: 논의할 론 -
종국 목적
(終局目的)
:
인생이 추구하는 궁극적인 목적.
🌏 終: 마칠 종 局: 판 국 目: 눈 목 的: 과녁 적 -
이성적 실재론
(理性的實在論)
:
경험적으로 지각할 수 있는 실재를 부정하고, 이성적으로 생각되는 개념만이 객관적 실재와 일치하며 또 인식할 수 있다는 이론.
🌏 理: 다스릴 이 性: 성품 성 的: 과녁 적 實: 열매 실 在: 있을 재 論: 논의할 론 -
본질적 연관
(本質的聯關)
:
사물의 현상들을 항구적ㆍ결정적으로 관련짓게 하는 일.
🌏 本: 근본 본 質: 바탕 질 的: 과녁 적 聯: 잇닿을 연 關: 빗장 관 -
목적론적 유심론
(目的論的唯心論)
:
세계의 현상들이 정신의 합목적적인 발전 단계에 따라 일어난다고 보는 유심론.
🌏 目: 눈 목 的: 과녁 적 論: 논의할 론 的: 과녁 적 唯: 오직 유 心: 마음 심 論: 논의할 론 -
초월적 가치
(超越的價値)
:
모든 주관이나 의식을 완전히 초월해서 존재하는 가치.
🌏 超: 넘을 초 越: 넘을 월 的: 과녁 적 價: 값 가 値: 값 치 -
미적 인상
(美的印象)
:
미적 대상에서 받는 인상.
🌏 美: 아름다울 미 的: 과녁 적 印: 도장 인 象: 코끼리 상 상아 상 상징 상 형상 상 징조 상 용모 상 상상 상 법제 상 역법 상 본받을 상
▹ 품사로 구분한 통계
💡한자 的 (과녁 적)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7개의 품사 중에서 없음이 가장 많고, 단어수는 1,467개입니다.
- 없음 1,467개 : 진적, 적확, 확적, 적력, 적실, 정적 램, 표적 핵, 동적 램, 동적 계획
- 관형사 1,054개 : 동적, 극적, 수적, 물적, 종적, 사적, 인적, 성적, 영적, 실적 명사 234개 동사 9개 형용사 9개
▹ 글자수로 구분한 통계
💡한자 的 (과녁 적)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2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3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031개입니다.
- 1 글자 2개 : 적
- 2 글자 56개 : 적당, 언적, 적보, 적견, 목적, 동적, 적증, 미적, 극적, 적지 3 글자 1,031개 4 글자 342개 5 글자 727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