物 🌏한자(사자성어) 💡농업 분야 106개
-
기호 작물
(嗜好作物)
:
술, 담배, 커피 따위의 기호품을 얻기 위하여 가꾸는 작물.
🌏 嗜: 즐길 기 好: 좋을 호 作: 지을 작 物: 만물 물 -
곡물 한계
(穀物限界)
:
땅 위에서 곡물을 생산할 수 있는 지리적 또는 경제적 한계.
🌏 穀: 곡식 곡 物: 만물 물 限: 한계 한 界: 경계 계 -
농작물 건조제
(農作物乾燥劑)
:
일찍 수확하기 위하여 농작물을 빨리 건조시키는 약제. 성숙기에 이른 농작물의 잎이나 줄기에 처리한다.
🌏 農: 농사 농 作: 지을 작 物: 만물 물 乾: 하늘 건 마를 건 燥: 마를 조 劑: 약지을 제 -
대작물
(代作物)
:
1
대신하여 만든 물건이나 지은 작품.
2
대용갈이를 한 곡식.
🌏 代: 대신할 대 作: 지을 작 物: 만물 물 -
환금 작물
(換金作物)
:
시장에 내다 팔기 위하여 재배하는 농작물.
🌏 換: 바꿀 환 金: 쇠 금 作: 지을 작 物: 만물 물 -
동물 검역
(動物檢疫)
:
동물이나 축산물 따위를 수출하거나 수입할 때에, 전염병을 예방하기 위하여 해항(海港)이나 공항에서 실시하는 검사.
🌏 動: 움직일 동 物: 만물 물 檢: 검사할 검 疫: 염병 역 -
사료 작물
(飼料作物)
:
사료로 쓰기 위하여 재배하는 작물.
🌏 飼: 먹일 사 料: 되질할 료 作: 지을 작 物: 만물 물 -
상품 작물
(商品作物)
:
시장에 내다 팔기 위하여 재배하는 농작물.
🌏 商: 장사 상 品: 물건 품 作: 지을 작 物: 만물 물 -
비료 작물
(肥料作物)
:
녹비로 쓰기 위하여 가꾸는 작물. 연맥, 자운영 따위가 있다.
🌏 肥: 살찔 비 料: 되질할 료 作: 지을 작 物: 만물 물 -
내한성 작물
(耐寒性作物)
:
추위에 잘 견디는 작물. 보리, 밀, 시금치 따위가 있다.
🌏 耐: 견딜 내 寒: 찰 한 性: 성품 성 作: 지을 작 物: 만물 물 -
광물성 먹이
(鑛物性먹이)
:
소금, 석회, 인산, 철분 따위의 광물질로 된 사료.
🌏 鑛: 쇳돌 광 物: 만물 물 性: 성품 성 -
재배 식물
(栽培植物)
:
곡식이나 열매 또는 그 밖의 원료를 얻기 위하여 심어서 가꾸는 식물.
🌏 栽: 심을 재 培: 북돋울 배 植: 심을 식 物: 만물 물 -
식물성 비료
(植物性肥料)
:
풋거름, 깻묵, 짚 따위로 만든 비료. 양분을 고르게 함유하고 있어 땅을 기름지게 한다.
🌏 植: 심을 식 物: 만물 물 性: 성품 성 肥: 살찔 비 料: 되질할 료 -
작물 재배학
(作物栽培學)
:
농작물의 재배 원리 및 재배 기술을 연구하는 학문. 농학의 한 분야이다.
🌏 作: 지을 작 物: 만물 물 栽: 심을 재 培: 북돋울 배 學: 배울 학 -
전작물
(前作物)
:
그루갈이를 할 때에 먼저 재배하는 농작물.
🌏 前: 앞 전 作: 지을 작 物: 만물 물 -
작물 한계
(作物限界)
:
지형이나 기후 조건 따위에 의하여 제한ㆍ지배되는 작물 재배의 한계.
🌏 作: 지을 작 物: 만물 물 限: 한계 한 界: 경계 계 -
내건성 작물
(耐乾性作物)
:
가물에도 잘 견디는 특성을 지닌 작물.
🌏 耐: 견딜 내 乾: 하늘 건 마를 건 性: 성품 성 作: 지을 작 物: 만물 물 -
구황 작물
(救荒作物)
:
흉년 따위로 기근이 심할 때 주식물 대신 먹을 수 있는 농작물. 가뭄이나 장마에 영향을 받지 않고, 걸지 않은 땅에서도 가꿀 수 있는 작물로서, 이에는 감자, 메밀 따위가 있다.
🌏 救: 구원할 구 荒: 거칠 황 作: 지을 작 物: 만물 물 -
보통 작물
(普通作物)
:
사람이나 동물의 식용이 되는 일반 작물.
🌏 普: 널리 보 通: 통할 통 作: 지을 작 物: 만물 물 -
하계 작물
(夏季作物)
:
여름에 수확하는 농작물. 밀, 보리, 감자 따위가 있다.
🌏 夏: 여름 하 季: 계절 계 作: 지을 작 物: 만물 물 -
한지성 작물
(寒地性作物)
:
추운 지방에서 짓는 농업에 적합한 농작물. 보리, 밀, 귀리, 옥수수, 조 따위가 있다.
🌏 寒: 찰 한 地: 땅 지 性: 성품 성 作: 지을 작 物: 만물 물 -
모이 작물
(모이作物)
:
동물의 먹이로 쓰기 위하여 키우는 작물.
🌏 作: 지을 작 物: 만물 물 -
한해살이 작물
(한해살이作物)
:
한 해 동안에 발육 주기를 마치는 작물. 벼, 옥수수, 콩, 담배 따위가 있다.
🌏 作: 지을 작 物: 만물 물 -
동물성 비료
(動物性肥料)
:
동물의 뼈나 노폐물 따위를 이용한 유기물 비료. 생선가루, 가죽, 날짐승의 똥 따위로 질소ㆍ인산이 많고 칼륨이 부족하여 밑거름으로 쓴다.
🌏 動: 움직일 동 物: 만물 물 性: 성품 성 肥: 살찔 비 料: 되질할 료 -
향료 작물
(香料作物)
:
향수나 향유의 원료가 되는 식물. 계수나무, 녹나무, 라벤더, 박하, 재스민 따위가 있다.
🌏 香: 향기 향 料: 되질할 료 作: 지을 작 物: 만물 물 -
곡물 선별기
(穀物選別機)
:
1
곡물을 고르는 데 쓰는 농기구. 지푸라기, 먼지, 등겨 따위를 골라내거나 싸라기, 현미 따위를 가려내어 고르는 데 쓴다.
2
곡물에 섞인 쭉정이, 겨, 먼지 따위를 날려서 제거하는 농기구. 한쪽에 큰 바람구멍이 있고, 큰북 모양의 통 내부에 있는 여러 개의 넓은 깃이 달린 바퀴를 돌려서 낟알과 잡물을 가려낸다.
🌏 穀: 곡식 곡 物: 만물 물 選: 가릴 선 別: 다를 별 機: 틀 기 -
농부산물
(農副産物)
:
농업 생산에서 기본 생산물 이외에 부차적으로 얻는 생산물. 짚, 겨 따위이다.
🌏 農: 농사 농 副: 버금 부 産: 낳을 산 物: 만물 물 -
동물질 거름
(動物質거름)
:
동물의 뼈나 노폐물 따위를 이용한 유기물 비료. 생선가루, 가죽, 날짐승의 똥 따위로 질소ㆍ인산이 많고 칼륨이 부족하여 밑거름으로 쓴다.
🌏 動: 움직일 동 物: 만물 물 質: 바탕 질 -
여름 작물
(여름作物)
:
여름 동안에 가꾸어서 가을철에 거두어들이는 작물. 벼, 콩, 담배, 고추, 가지 따위가 여기에 속한다.
🌏 作: 지을 작 物: 만물 물 -
피복 작물
(被覆作物)
:
거름이 흘러 내려가거나 토양이 침식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심는 작물. 목초나 콩과 식물이 많다.
🌏 被: 입을 피 覆: 엎어질 복 作: 지을 작 物: 만물 물 -
섬유 작물
(纖維作物)
:
식물체가 지니고 있는 섬유를 얻기 위하여 재배하는 식물. 목화, 삼, 아마, 모시풀 따위가 있다.
🌏 纖: 가늘 섬 維: 바 유 作: 지을 작 物: 만물 물 -
유료 작물
(油料作物)
:
기름을 얻기 위하여 재배하는 작물. 참깨, 들깨, 땅콩, 유채, 아마, 아주까리, 야자나무, 올리브, 동백 따위가 있다.
🌏 油: 기름 유 料: 되질할 료 作: 지을 작 物: 만물 물 -
풋먹이 작물
(풋먹이作物)
:
풋먹이로 쓰기 위하여 심는 작물. 옥수수, 호밀 따위의 작물이 이에 속한다.
🌏 作: 지을 작 物: 만물 물 -
수액료작물
(樹液料作物)
:
식물의 수액을 이용하기 위하여 재배하는 작물. 파라고무나무, 옻나무 따위가 있다.
🌏 樹: 나무 수 液: 진 액 料: 되질할 료 作: 지을 작 物: 만물 물 -
녹말 작물
(綠末作物)
:
녹말을 얻기 위해 가꾸는 농작물.
🌏 綠: 초록빛 녹 末: 끝 말 作: 지을 작 物: 만물 물 -
다수확 작물
(多收穫作物)
:
일정한 단위 면적에서 다른 작물을 심었을 때보다 더 많은 수확을 낼 수 있는 작물.
🌏 多: 많을 다 收: 거둘 수 穫: 벼벨 확 作: 지을 작 物: 만물 물 -
식물 육종
(植物育種)
:
식물의 유전 물질을 개량하여 새로운 품종을 만드는 일. 변이의 탐구, 선택, 고정과 새 품종의 증식 따위의 단계를 거친다.
🌏 植: 심을 식 物: 만물 물 育: 기를 육 種: 씨 종 -
관엽 식물
(觀葉植物)
:
잎사귀의 모양이나 빛깔의 아름다움을 보고 즐기기 위하여 재배하는 식물. 단풍나무, 고무나무, 색비름, 만년청 따위이다.
🌏 觀: 볼 관 葉: 나뭇잎 엽 植: 심을 식 物: 만물 물 -
휴한 작물
(休閑作物)
:
휴한하는 땅에 재배하여 지력(地力)을 높이는 작물. 토끼풀 따위가 있다.
🌏 休: 쉴 휴 閑: 한가할 한 作: 지을 작 物: 만물 물 -
풋거름 작물
(풋거름作物)
:
녹비로 쓰기 위하여 가꾸는 작물. 연맥, 자운영 따위가 있다.
🌏 作: 지을 작 物: 만물 물 -
내한 작물
(耐寒作物)
:
추위에 잘 견디는 작물. 보리, 밀, 시금치 따위가 있다.
🌏 耐: 견딜 내 寒: 찰 한 作: 지을 작 物: 만물 물 -
곡물 건조기
(穀物乾燥機)
:
품질을 향상하거나 저장력을 높이기 위하여 곡물을 인공적으로 말리는 기계. 수확 후 날씨가 고르지 못하여 자연 건조를 할 수 없을 때 쓴다.
🌏 穀: 곡식 곡 物: 만물 물 乾: 하늘 건 마를 건 燥: 마를 조 機: 틀 기 -
작물 유전자
(作物遺傳子)
:
농작물의 좋은 형질을 보존하는 유전자를 통틀어 이르는 말.
🌏 作: 지을 작 物: 만물 물 遺: 남길 유 傳: 전할 전 子: 아들 자 -
소수 작물
(少數作物)
:
적게 심는 작물. 이에는 기장, 조, 피, 메밀 따위가 있다.
🌏 少: 적을 소 數: 셀 수 作: 지을 작 物: 만물 물 -
국제 곡물 협정
(國際穀物協定)
:
1967년 국제 소맥 회의에서 채택한 소맥 무역과 식량 원조에 관한 국제 협정.
🌏 國: 나라 국 際: 가 제 穀: 곡식 곡 物: 만물 물 協: 도울 협 定: 정할 정 -
광물 비료
(鑛物肥料)
:
질산 칼륨이나 과인산 석회 따위의 광물질을 주성분으로 하는 화학 비료.
🌏 鑛: 쇳돌 광 物: 만물 물 肥: 살찔 비 料: 되질할 료 -
두과작물
(荳科作物)
:
콩과 식물을 농작물로 이르는 말.
🌏 荳: 콩 두 科: 품등 과 作: 지을 작 物: 만물 물 -
광물성 비료
(鑛物性肥料)
:
질산 칼륨이나 과인산 석회 따위의 광물질을 주성분으로 하는 화학 비료.
🌏 鑛: 쇳돌 광 物: 만물 물 性: 성품 성 肥: 살찔 비 料: 되질할 료 -
밀원 작물
(蜜源作物)
:
벌이 꿀을 얻기에 적합한 작물. 메밀, 자운영 따위가 있다.
🌏 蜜: 꿀 밀 源: 근원 원 作: 지을 작 物: 만물 물 -
곡물 농경
(穀物農耕)
:
쌀, 보리, 밀, 옥수수 따위의 곡물을 재배하는 농경.
🌏 穀: 곡식 곡 物: 만물 물 農: 농사 농 耕: 밭갈 경
▹ 품사로 구분한 통계
▹ 글자수로 구분한 통계
💡한자 物 (만물 물)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4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4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066개입니다.
- 1 글자 2개 : 물
- 2 글자 302개 : 광물, 실물, 하물, 물색, 양물, 물소, 목물, 애물, 물중, 전물 3 글자 763개 4 글자 1,066개 5 글자 704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