水 🌏한자(사자성어) 💡화학 분야 451개
-
아질산 무수물
(亞窒酸無水物)
:
질소의 삼이산화물. 진한 질산을 삼산화 비소로 환원하여 만든 기체로, 냉각하면 녹색의 액체가 되고 더 냉각하면 푸른색의 고체가 된다. 녹는점은 영하102℃, 끓는점은 영하2℃, 화학식은 N2O3.
🌏 亞: 버금 아 窒: 막을 질 酸: 초 산 無: 없을 무 水: 물 수 物: 만물 물 -
수상 치환
(水上置換)
:
물에 녹지 않는 산소, 수소, 질소 따위의 기체를 모으는 방법. 물을 가득 채운 용기의 입구를 아래로 향하게 하여 물에 넣고 용기 안으로 기체를 모은다.
🌏 水: 물 수 上: 위 상 置: 둘 치 換: 바꿀 환 -
황화 제일수은
(黃化第一水銀)
:
일가(一價) 수은의 황화물. 수은염 수용액에 황화 수소를 넣으면 침전물로 얻을 수 있는 물질이며, 불안정하여 곧 황화 수은과 수은으로 분해된다. 화학식은 Hg2S.
🌏 黃: 누를 황 化: 될 화 第: 차례 제 一: 하나 일 水: 물 수 銀: 은 은 -
수소산염
(水素酸鹽)
:
수소산이나 비산소산의 수소를 금속으로 치환한 화합물. 염화 나트륨, 황화 나트륨, 사이안화 나트륨 따위가 있다.
🌏 水: 물 수 素: 흴 소 酸: 초 산 鹽: 소금 염 -
축합환식 탄화수소
(縮合環式炭化水素)
:
축합 고리를 가진 탄화수소 화합물. 나프탈렌 따위가 있다.
🌏 縮: 오그라들 축 合: 합할 합 環: 고리 환 式: 법 식 炭: 숯 탄 化: 될 화 水: 물 수 素: 흴 소 -
소다수
(soda水)
:
이산화 탄소의 포화 수용액. 청량음료수나 의약품, 실험 따위에 쓴다.
🌏 水: 물 수 -
무수 규산
(無水硅酸)
:
석영, 수정, 수석, 마노 따위에 있는 규소의 산화물. 산성을 띤 고체로, 알칼리와 만나 규산염을 만든다. 렌즈, 장식품 따위를 만드는 데 쓴다. 화학식은 SiO2.
🌏 無: 없을 무 水: 물 수 硅: 규소 규 酸: 초 산 -
산화 중수소
(酸化重水素)
:
중수의 하나로 수소가 중수소로 치환된 물. 물에 비하여 염류의 용해도는 낮아지고, 이온이 잘 움직이지 않는다. 보통 물속에 1/5,000 정도 들어 있다. 추적자, 중성자 감속재로 쓴다. 화학식은 D2O.
🌏 酸: 초 산 化: 될 화 重: 무거울 중 중요할 중 점잖을 중 삼갈 중 어려울 중 거듭 중 아낄 중 숭상할 중 水: 물 수 素: 흴 소 -
원자 수소
(原子水素)
:
수소 분자가 수소 원자로 해리(解離)한 기체 수소.
🌏 原: 근원 원 子: 아들 자 水: 물 수 素: 흴 소 -
수소 라디칼
(水素radical)
:
분자로 결합되기 전의 원자 상태로 있는 수소 원자.
🌏 水: 물 수 素: 흴 소 -
함수 폭약
(含水爆藥)
:
질산 암모늄에 티엔티, 폭약 분말, 알루미늄 분말 따위를 섞어 물로 반죽하여 만든 폭파약. 내수성이 뛰어나고 다이너마이트보다 안정성이 높으며 발파 효과도 크다.
🌏 含: 머금을 함 水: 물 수 爆: 터질 폭 藥: 약 약 -
뇌산 수은
(雷酸水銀)
:
뇌산의 수소 원자가 수은으로 치환된 어두운 갈색 결정의 가루. 기폭약으로 뇌관에 쓴다. 뇌산 수은(Ⅰ)과 뇌산 수은(Ⅱ)가 있고, 그중 뇌산 수은(Ⅰ)은 뇌홍(雷汞)이라고도 한다. 화학식은 Hg(ONC)2, Hg2(ONC)2.
🌏 雷: 우레 뇌 酸: 초 산 水: 물 수 銀: 은 은 -
수산화 비스무트
(水酸化Wismut)
:
비스무트의 화합물 용액에 알칼리를 가하여 얻는 흰색 침전물. 화학식은 Bi(OH)3.
🌏 水: 물 수 酸: 초 산 化: 될 화 -
황화 수소 암모늄
(黃化水素ammonium)
:
황화 수소의 수소 이온 하나가 암모늄 이온으로 치환된 염. 암모니아와 황화 수소의 혼합물을 0℃로 냉각하여 얻는 무색의 바늘 모양 결정이다. 녹는점은 120℃, 화학식은 NH4HS.
🌏 黃: 누를 황 化: 될 화 水: 물 수 素: 흴 소 -
옥화 수소
(沃化水素)
:
무기산의 하나. 무색의 자극적인 냄새가 나는 발연성 기체로, 환원제, 소독제, 살균제, 분석 시약 따위로 쓴다. 화학식은 HI.
🌏 沃: 기름질 옥 化: 될 화 水: 물 수 素: 흴 소 -
수산화 크롬
(水酸化Chrom)
:
‘수산화크로뮴’의 전 용어. (수산화 크로뮴: 크로뮴의 수산화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이수산화 크로뮴과 삼수산화 크로뮴이 있다.)
🌏 水: 물 수 酸: 초 산 化: 될 화 -
무수 비산
(無水砒酸)
:
오가 비소의 산화물. 비소산을 탈수하여 얻는 흰 가루로, 조해성이 있고 물에 녹아서 비산이 되며 독이 있다. 화학식은 As2O5.
🌏 無: 없을 무 水: 물 수 砒: 비상 비 酸: 초 산 -
수연강
(水鉛鋼)
:
몰리브데넘을 넣은 강철. 다른 합금강에 비하여 열처리 방법이 약간 다르나 강하고 불에 달구어도 물러지지 않는 성질이 있다. 총신(銃身)이나 기계 부품 따위를 만드는 데 쓰거나 몰리브데넘을 3~4% 함유하는 강철은 영구 자석을 만드는 데 쓴다.
🌏 水: 물 수 鉛: 납 연 鋼: 강철 강 -
수소화 정제
(水素化精製)
:
탄화수소에 섞여 있는 황이나 질소, 산소 따위를 없애고 불포화 탄화수소를 포화 탄화수소로 만드는 정제 방법. 휘발유나 등유, 윤활유 따위의 정제, 리포밍, 분해에 쓴다.
🌏 水: 물 수 素: 흴 소 化: 될 화 精: 찧을 정 製: 지을 제 -
황색 산화 제이수은
(黃色酸化第二水銀)
:
적색 산화 수은과 황색 산화 수은을 통틀어 이르는 말. 적색 산화 수은은 수은을 공기 속에서 장시간 끓는점 가까운 온도로 가열하여 만들고, 황색 산화 수은은 승홍수 용액에 가성 알칼리를 작용시켜 만든다. 물에 녹기 어렵고, 독성이 있으며, 가열하면 산소와 수은으로 분해된다. 의약품이나 분석 시약으로 쓴다. 화학식은 HgO.
🌏 黃: 누를 황 色: 빛 색 酸: 초 산 化: 될 화 第: 차례 제 二: 두 이 水: 물 수 銀: 은 은 -
무수 과망간산
(無水過Mangan酸)
:
‘무수과망가니즈산’의 전 용어. (무수 과망가니즈산: ‘칠산화망가니즈’를 달리 이르는 말. 과망가니즈산의 무수물이라는 뜻으로, 과망가니즈산에서 물 분자를 뺀 산화 망가니즈를 이른다. (칠산화 망가니즈: 과망가니즈산 칼륨의 가루를 진한 황산에 넣어 만든 물질. 과망가니즈산보다는 강한 산화제로, 가연성 물질에 닿으면 발화한다. 화학식은 Mn2O7.))
🌏 無: 없을 무 水: 물 수 過: 지날 과 酸: 초 산 -
수소 처리법
(水素處理法)
:
석유를 수소와 혼합하고, 고온ㆍ고압에서 촉매를 사용하여 반응하게 한 후 석유에서 황ㆍ질소ㆍ산소 화합물 따위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방법.
🌏 水: 물 수 素: 흴 소 處: 곳 처 理: 다스릴 리 法: 법도 법 -
무수 아비산
(無水亞砒酸)
:
비소의 삼이산화물. 흰색 가루의 양성(兩性) 산화물로, 산이나 알칼리에 녹고 독성이 강하며, 목탄과 함께 가열하면 비소가 유리된다. 공기 속에서 황비산광을 태워서 만든다. 방부제, 쥐약, 안료의 원료, 광학 유리 제조의 청정제 따위로 쓴다. 화학식은 As2O3.
🌏 無: 없을 무 水: 물 수 亞: 버금 아 砒: 비상 비 酸: 초 산 -
수화 이성
(水化異性)
:
물 분자를 함유하는 착염(錯鹽)으로서, 동일한 분자식을 가지면서 그 물 분자의 결합 위치에 따라 성질을 달리하는 현상.
🌏 水: 물 수 化: 될 화 異: 다를 이 性: 성품 성 -
적옥화 수은
(赤沃化水銀)
:
이가(二價) 수은의 아이오딘화물. 검은빛을 띤 붉은색의 작은 결정으로 된 가루로, 알코올에 잘 녹고, 매독과 성병 따위에 약으로 쓰인다. 화학식은 HgI2.
🌏 赤: 붉을 적 沃: 기름질 옥 化: 될 화 水: 물 수 銀: 은 은 -
중수소
(重水素)
:
질량수가 2인 수소의 동위 원소. 수소를 포함하고 있는 화학 반응과 생화학 반응을 조사하는 동위 원소 추적자로 널리 쓰며 수소 폭탄이나 원자로에도 이용한다.
🌏 重: 무거울 중 중요할 중 점잖을 중 삼갈 중 어려울 중 거듭 중 아낄 중 숭상할 중 水: 물 수 素: 흴 소 -
삼수산화 금
(三水酸化金)
:
한 원자의 금에 세 개의 하이드록시기가 결합한 화합물. 염화 금의 수용액에 수산화 칼슘이나 수산화 바륨 따위를 작용시켜 만든 노란색 가루로, 물에는 잘 녹지 않으나 강한 산에 녹아 염을 만든다. 화학식은 Au(OH)3.
🌏 三: 석 삼 水: 물 수 酸: 초 산 化: 될 화 金: 쇠 금 -
분자 내 무수물
(分子內無水物)
:
이가(二價) 유기산의 한 분자에 들어 있는 두 개의 카복시기에서 물이 떨어져 나오면서 생긴 산무수물. 분자 내 축합에 의해 생긴다.
🌏 分: 나눌 분 子: 아들 자 內: 안 내 無: 없을 무 水: 물 수 物: 만물 물 -
비화 수소
(砒化水素)
:
비소와 수소의 화합물. 악취와 독성이 있는 무색 기체로, 태우면 청백색의 불꽃을 내고, 환원성이 있다. 비소 화합물에 발생기의 수소를 작용시키거나 비소화 아연을 묽은 황산으로 분해하여 만든다. 독가스로 쓴다. 화학식은 AsH3.
🌏 砒: 비상 비 化: 될 화 水: 물 수 素: 흴 소 -
유화 수은
(硫化水銀)
:
황과 수은의 화합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 硫: 유황 유 化: 될 화 水: 물 수 銀: 은 은 -
시멘트 수화물
(cement水化物)
:
시멘트에 물을 작용시켰을 때에 생기는 수화물.
🌏 水: 물 수 化: 될 화 物: 만물 물 -
방향족 탄화수소
(芳香族炭化水素)
:
벤젠, 나프탈렌, 안트라센 따위의 방향족의 탄화수소를 이르는 말.
🌏 芳: 꽃다울 방 香: 향기 향 族: 겨레 족 炭: 숯 탄 化: 될 화 水: 물 수 素: 흴 소 -
수소 정제법
(水素精製法)
:
석유를 수소와 혼합하고, 고온ㆍ고압에서 촉매를 사용하여 반응하게 한 후 석유에서 황ㆍ질소ㆍ산소 화합물 따위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방법.
🌏 水: 물 수 素: 흴 소 精: 찧을 정 製: 지을 제 法: 법도 법 -
무수 아황산
(無水亞黃酸)
:
사가(四價) 황의 산화물. 황이나 황화합물을 태울 때 생기는 독성이 있는 무색의 기체로, 자극적인 냄새가 나며, 산성비의 원인이 되는 공해 물질이다. 환원 작용이 강하여 표백제로 쓴다. 화학식은 SO2.
🌏 無: 없을 무 水: 물 수 亞: 버금 아 黃: 누를 황 酸: 초 산 -
할로젠화 탄화수소
(halogen化炭化水素)
:
탄화수소의 수소 원자를 할로젠족 원소로 치환된 화합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아이오도폼, 염화 비닐 따위가 있다.
🌏 化: 될 화 炭: 숯 탄 化: 될 화 水: 물 수 素: 흴 소 -
수소 흡장 합금
(水素吸藏合金)
:
고압이나 저온에서 발열하며 수소를 흡수하여 금속 수소화물이 되고, 감압이나 가열로 흡열하며 수소를 방출하는 성질의 합금. 수소의 저장과 수송, 히트 펌프 따위에 대한 응용이 연구되고 있다.
🌏 水: 물 수 素: 흴 소 吸: 숨 들이쉴 흡 藏: 감출 장 合: 합할 합 金: 쇠 금 -
수은화
(水銀化)
:
유기 화합물에 수은을 도입하는 반응.
🌏 水: 물 수 銀: 은 은 化: 될 화 -
연수
(軟水)
:
칼슘 및 마그네슘과 같은 미네랄 이온이 들어 있지 않은 물.
🌏 軟: 부드러울 연 水: 물 수 -
친수성
(親水性)
:
물과 친화성이 있는 성질.
🌏 親: 친할 친 水: 물 수 性: 성품 성 -
청강수
(靑剛水)
:
‘염산’을 달리 이르는 말. (염산: 염화 수소의 수용액. 순수한 것은 무색이고 강한 산성을 띠는데, 물감ㆍ간장ㆍ합성수지ㆍ조미료ㆍ약품 따위를 만드는 데 쓰인다. 화학식은 HCl.)
🌏 靑: 푸를 청 剛: 굳셀 강 水: 물 수 -
적색 산화 수은
(赤色酸化水銀)
:
적색 산화 수은과 황색 산화 수은을 통틀어 이르는 말. 적색 산화 수은은 수은을 공기 속에서 장시간 끓는점 가까운 온도로 가열하여 만들고, 황색 산화 수은은 승홍수 용액에 가성 알칼리를 작용시켜 만든다. 물에 녹기 어렵고, 독성이 있으며, 가열하면 산소와 수은으로 분해된다. 의약품이나 분석 시약으로 쓴다. 화학식은 HgO.
🌏 赤: 붉을 적 色: 빛 색 酸: 초 산 化: 될 화 水: 물 수 銀: 은 은 -
알코올 탈수소 효소
(alcohol脫水素酵素)
:
알코올로부터 수소를 제거하여 알데하이드 또는 케톤을 생성시키는 반응 혹은 그 역반응을 촉매하는 효소.
🌏 脫: 벗을 탈 기뻐할 태 水: 물 수 素: 흴 소 酵: 술밑 효 발효할 효 지게미 효 술밑 교 발효할 교 지게미 교 素: 흴 소 -
무수 프탈산
(無水phthalic酸)
:
프탈산에서 물 한 분자를 제거한 구조를 갖는 화합물. 무색의 바늘 모양 결정으로, 물이나 알코올에 녹으며, 승화성(昇華性)을 지닌다. 공업적으로는 나프탈렌을 산화시켜 만들며, 가소제ㆍ염료ㆍ알키드 수지의 원료로 쓰인다. 화학식은 C8H4O3.
🌏 無: 없을 무 水: 물 수 酸: 초 산 -
포수테르핀
(抱水terpin)
:
테레빈유에 알코올과 질산을 넣어 만든 무색 결정. 맛이 약간 쓰며, 거담제, 이뇨제 따위로 쓰인다. 화학식은 C10H20O2ㆍH2O.
🌏 抱: 안을 포 水: 물 수 -
탄화수소
(炭化水素)
:
탄소와 수소만으로 이루어진 화합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 炭: 숯 탄 化: 될 화 水: 물 수 素: 흴 소 -
탄수소 분석계
(炭水素分析計)
:
유기 화합물 속의 탄소와 수소를 정량 분석 하는 데에 쓰는 장치.
🌏 炭: 숯 탄 水: 물 수 素: 흴 소 分: 나눌 분 析: 가를 석 計: 꾀할 계 -
수산화 칼슘
(水酸化calcium)
:
산화 칼슘에 물을 가하여 얻는 흰색의 염기성 가루. 물에 약간 녹아서 석회수가 생기며 소독제, 산성 토양의 중화제, 표백분의 원료, 회반죽, 모르타르의 재료 따위로 쓰인다. 화학식 Ca(OH)2.
🌏 水: 물 수 酸: 초 산 化: 될 화 -
열수 합성
(熱水合成)
:
광물 합성법의 하나. 밑바탕이 되는 물질을 물과 함께 밀봉하여 2,000℃ 또는 2,000기압쯤 되게 가열하면 결정핵(結晶核) 위에서 결정이 성장하는 성질을 이용한다. 수정, 에메랄드, 루비 따위를 합성하는 데 쓴다.
🌏 熱: 더울 열 水: 물 수 合: 합할 합 成: 이룰 성 -
수화셀룰로오스
(水化cellulose)
:
셀룰로스와 물의 반응으로 생기는 젤라틴 형태의 물질. 셀룰로스를 가루로 만들어 물과 섞는 방법이나 고농도의 염 용액(鹽溶液)ㆍ산ㆍ알칼리로 셀룰로스를 처리하는 방법 따위로 얻을 수 있으며, 레이온 따위와 같은 인조 섬유ㆍ마르셀 가공면(marcel加工綿)ㆍ종이ㆍ벌커나이즈드 파이버 따위의 제조에 쓴다.
🌏 水: 물 수 化: 될 화 -
사이안화 수소산
(cyan化水素酸)
:
사이안화 수소의 수용액. 탄산보다 약한 일염기산이다. 화학식은 HCN.
🌏 化: 될 화 水: 물 수 素: 흴 소 酸: 초 산
▹ 품사로 구분한 통계
▹ 글자수로 구분한 통계
💡한자 水 (물 수)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3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3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058개입니다.
- 1 글자 3개 : 수
- 2 글자 589개 : 수화, 수옥, 내수, 수파, 수돈, 정수, 수두, 인수, 순수, 청수 3 글자 1,058개 4 글자 962개 5 글자 413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