植 🌏한자(사자성어) 💡식물 분야 267개
植:
심을 식
둘 치
총획:12
부수:木
국어사전에서 🌏한자 "植 (심을 식, 둘 치)" 단어이고, '식물' 관련 단어는 267개 입니다.
💡통계
품사
글자수
한자
끝 글자
시작 글자
- 식물 생리학 (植物生理學) : 식물의 생리적 현상을 연구하는 학문. 식물학의 한 분야이다. 식물의 기관이 일으키는 작용을 분석하여 그 현상과 원인을 연구한다.
- 개미식물 (개미植物) : 개미와 공생하는 식물. 개미는 식물체의 일부에 꿀, 단백질, 지방 따위를 저장하고 그 식물의 해충을 막는다. 열대 지방에 많으며 개미아카시아, 개미집의나무, 개미집방울 따위가 있다.
- 여러해살이 식물 (여러해살이植物) : 만 1년 이상 생존하는 식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 건생 식물 (乾生植物) : 바위나 모래밭같이 물기가 적고 마른 곳에서 잘 자라는 식물. 공기가 건조한 곳이나 온도가 낮은 곳, 토양의 염류 농도가 높은 곳 따위의 수분 흡수가 곤란한 곳에서 생육할 수 있다. 지의류, 이끼식물, 석골풀, 선인장 따위가 있다.
- 장란기 식물 (藏卵器植物) : 자성(雌性)의 생식 기관으로 장란기가 생기는 식물. 양치식물과 선태식물 따위가 있다.
- 은화식물 (隱花植物) : 꽃을 피우지 않는 식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식물의 이대(二大) 분류의 하나로 조류(藻類), 선태식물, 양치식물 따위가 있다.
- 다육 식물 (多肉植物) : 잎이나 줄기 속에 많은 수분을 가지고 있는 식물. 체표(體表)에는 각피가 발달한 것이 많으며, 건조한 지방이나 소금기가 많은 지방에 자란다. 꿩의비름, 선인장 따위가 있다.
- 음지 식물 (陰地植物) : 그늘진 곳에서 잘 자라는 식물. 메밀ㆍ잣나무ㆍ밤나무ㆍ너도밤나무ㆍ전나무 따위의 어린나무, 삼림 속의 초본류, 양치류, 선태류 따위가 있다.
- 야생 식물 (野生植物) : 산이나 들에서 저절로 나서 자라는 식물.
- 일년생 식물 (一年生植物) : 일 년 동안 생존하는 식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 열대성 식물 (熱帶性植物) : 열대 지방에서 자라는 식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잎끝이 뾰족하고 줄기에 직접 꽃이 피며, 뿌리의 기부가 지주같이 발달한 것이 특징이다. 거대한 상록 활엽수가 많으며 야자나무, 바나나, 파파야 따위가 있다.
- 만성 식물 (蔓性植物) : 줄기가 길쭉하여 곧게 서지 않고 다른 물건을 감거나 거기에 붙어서 자라는 식물. 고구마, 완두, 오이, 나팔꽃, 담쟁이덩굴 따위가 있다.
- 식물 병리학 (植物病理學) : 식물의 병과 재해, 예방 따위를 연구하는 학문. 식물학의 한 분야이다.
- 녹색식물 (綠色植物) : 엽록소를 가지고 있으며 광합성에 의하여 녹말을 만들 수 있는 식물. 대부분의 식물이 이에 속한다.
- 암생 식물 (巖生植物) : 바위에 붙어서 사는 식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지의류, 부처손 따위가 있다.
- 염성 식물 (鹽性植物) : 염분이 많은 토양에서 자라는 식물. 세포 속에 염분이 많이 들어 있으며 물을 잘 흡수한다. 퉁퉁마디, 갯질경이 따위가 있다.
- 호석회 식물 (好石灰植物) : 석회 성분이 많은 땅에서 잘 자라는 식물.
- 이년생 식물 (二年生植物) : 두 해를 사는 식물.
- 한대성 식물 (寒帶性植物) : 한대 지방에서 자라는 식물. 침엽수가 많다. 가장 따뜻한 달의 평균 기온 10℃의 지대가 산림의 한계이며, 그 이하에서는 저목림과 툰드라로 되어 있어 선태류, 지의류 따위가 있다.
- 양성 식물 (陽性植物) : 햇빛이 쬐는 곳에서 잘 자라는 식물. 대부분의 일년초와 농작물 따위가 이에 속한다.
- 먹이 식물 (먹이植物) : 사람이 음식으로 먹을 수 있는 식물.
- 발광 식물 (發光植物) : 빛을 낼 수 있는 식물. 세균, 담자균류, 편모류의 세 문(門)에 속하며, 동물에 비하면 그 종류가 적다. 동물의 공생이나 기생으로 빛을 내거나 빛의 반사로 빛을 내는 것이 있다.
- 숙주 식물 (宿主植物) : 기생 식물의 숙주가 되는 식물.
- 비황 식물 (備荒植物) : 흉년 따위로 기근이 심할 때 농작물 대신 먹을 수 있는 야생 식물. 피, 아카시아, 쑥 따위가 있다.
- 식물 유전학 (植物遺傳學) : 식물의 유전 현상을 연구하는 학문. 식물학의 한 분야이다.
- 한해살이 식물 (한해살이植物) : 일 년 동안 생존하는 식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 식물 계절학 (植物季節學) : 자연조건과의 연관 속에서 철에 따라 식물에서 일어나는 일련의 현상들을 연구하는 학문. 식물학의 한 분야이다.
- 태생 식물 (胎生植物) : 태생하는 식물. 열매가 익은 후에도 한동안 모체 내에 머물러 거기서 종자가 발아하고 뿌리가 나서 떨어져 번식한다. 맹그로브류(mangrove類)에서 볼 수 있다.
- 식물 채집 (植物採集) : 식물 표본을 만들거나 식물의 조사ㆍ연구ㆍ학습을 위하여 식물을 찾아 모으는 일.
- 단일 식물 (短日植物) : 꽃눈을 형성하기 위하여 일조 시간이 일정 기간 이하가 되어야 하는 식물. 국화, 나팔꽃, 담배, 메밀, 코스모스 따위이다.
- 음성 식물 (陰性植物) : 그늘진 곳에서 잘 자라는 식물. 메밀ㆍ잣나무ㆍ밤나무ㆍ너도밤나무ㆍ전나무 따위의 어린나무, 삼림 속의 초본류, 양치류, 선태류 따위가 있다.
- 식물 발생학 (植物發生學) : 식물의 발생에 대하여 개체 또는 전체적으로 연구하는 학문. 식물학의 한 분야이다.
- 식물 영양 (植物營養) : 식물이 자라는 데 필요한 영양.
- 저온 식물 (低溫植物) : 낮은 온도에서 자라는 식물. 대체로 키가 작고 마디 사이가 짧으며, 싹은 털이 많은 비늘잎으로 덮여 있고 식물체의 겉껍질이 두껍다.
- 경엽 식물 (莖葉植物) : 뿌리, 줄기, 잎의 구별이 뚜렷한 식물. 관다발을 가지고 있는 양치식물, 종자식물 따위이다.
- 염기성 식물 (鹽基性植物) : 염기성 토양에 적응하여 잘 자라는 식물. 시금치ㆍ콩 따위가 있으며, 해안에서 생육하는 염생 식물인 해홍나물, 퉁퉁마디도 이에 속한다.
- 온대 식물 (溫帶植物) : 온대 지방에 주로 자라는 식물. 기후대를 적도대ㆍ열대ㆍ온대ㆍ한대로 구분한 넓은 의미의 온대와, 아열대ㆍ난대ㆍ온대ㆍ아한대로 구분할 때의 좁은 의미의 온대가 있다. 상록 활엽수와 낙엽 활엽수가 많고 그 밖에 다른 여러 침엽수가 섞여 자란다. 온대의 가장 특징적인 낙엽 활엽수는 잎이 일반적으로 얇고 유연하여 겨울이 되기 전에 떨어진다. 삼나무속, 떡갈나무속, 너도밤나무속 따위의 수목이나 국화과, 초롱꽃과 따위의 여러 종이 있다.
- 식물병학 (植物病學) : 식물의 병에 대하여 연구하는 학문. 식물학의 한 분야이다. 병의 원인에 따라서 식물 바이러스병학ㆍ세균병학ㆍ균류병학 따위로 나누고, 식물의 대상에 따라서 수병학ㆍ식용 작물병학ㆍ과수병학 따위로 나누며, 병의 원인과 치료에 따라서 식물 병리학ㆍ식물 치병학으로 나눈다.
- 식용 식물 (食用植物) : 사람이 음식으로 먹을 수 있는 식물.
- 장일 식물 (長日植物) : 일조 시간이 12시간 이상이면 꽃봉오리를 맺는 식물. 보리, 시금치, 완두 따위가 있다.
- 동아 식물구계 (東亞植物區系) : 북대 식물구계의 하나. 한국, 일본, 중국 등을 포함하는 지역을 이른다. 이 구계의 고유종으로는 동백나무, 팔손이나무, 은행나무, 계수나무 따위가 있다.
- 식충 식물 (食蟲植物) : 잎으로 벌레를 잡아 소화ㆍ흡수하여 양분을 취하는 식물. 끈끈이귀개, 통발 따위가 있다.
- 비료 식물 (肥料植物) : 거름으로 쓰기 위하여 특별히 가꾸는 식물. 완두, 자운영, 콩, 토끼풀 따위가 있다.
- 바위 식물 (바위植物) : 바위에 붙어서 사는 식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지의류, 부처손 따위가 있다.
- 경제 식물 (經濟植物) : 경제 발전과 실생활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이용되는, 경제적 가치가 있는 식물. 종이 원료인 미루나무ㆍ황철나무ㆍ삼나무와 기름 원료로 쓰는 산초나무ㆍ호두나무, 여러 식품 원료인 돌배ㆍ들쭉ㆍ대추 따위가 있다.
- 포자식물 (胞子植物) : 꽃이 피지 않고 홀씨에 의하여 번식하는 식물. 양치류, 선태류, 조류, 균류 따위가 있다.
- 선태식물 (蘚苔植物) : 양치식물과 나란히 있는 식물계의 한 문(門). 체제는 양치식물보다 원시적이고 홀씨가 달리는 기관은 삭(蒴)과 그 자루이며 뚜렷한 세대 교번을 한다. 전 세계에 약 2만 5000종이 알려져 있다.
- 저수 식물 (貯水植物) : 줄기와 잎이 살지고 그 안에 많은 수분을 가지고 있어 건조에 잘 견디는 식물. 선인장 따위가 있다.
- 해안 식물대 (海岸植物帶) : 식물의 수직 분포의 하나. 대개 바닷바람이나 바닷물에 강한 식물이 자라는데, 우리나라에서는 해안에서 높이 약 50미터까지의 지대로, 갯완두나 갯메꽃 따위의 해안 식물이 자란다.
- 내음성 식물 (耐陰性植物) : 음지에서도 광합성을 하여 잘 견디는 식물. 분비나무, 잣나무, 가문비나무 따위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