山 🌏한자(사자성어) 💡식물 분야 262개
- 지리산숲고사리 (智異山숲고사리) : 면마과의 여러해살이풀. 잎자루에 비늘이 많고 잎몸은 세 번 깃 모양으로 갈라진다. 우리나라의 지리산에서 자란다.
- 운산오이풀 (雲山오이풀) : 장미과의 여러해살이풀. 잎은 우상 복엽이고 작은 잎은 긴 타원형이다. 가을에 흰빛에 분홍색을 띤 꽃이삭이 가지 위에 피고 오이 냄새가 난다. 우리나라 각지에 분포한다.
- 산유자목 (山柚子木) : 산유자나뭇과의 상록 소교목. 높이는 2~3미터이며,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 또는 긴 타원형에 톱니가 있다. 8월에 누런색의 암수딴그루의 꽃이 총상(總狀) 화서로 피고 열매는 장과(漿果)로 가을에 검게 익는다. 바닷가의 들에 나는데 한국, 일본, 대만 등지에 분포한다.
- 홍산무엽란 (紅山無葉蘭) : 난초과의 하나. 높이는 15~45cm이며 잎은 없고 잎집 모양의 것이 막성으로 되어 있다. 5~6월에 노란색의 잔꽃이 수상(穗狀) 화서로 핀다. 평안북도 대흥산에 분포한다.
- 갑산포아풀 (甲山poa풀) : 볏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35~80cm이며, 잎은 편평하고 표면이 거칠다. 꽃은 10~20cm의 원추(圓錐) 화서로 핀다. 갑산과 금강산 이북에 분포한다.
- 겹산철쭉 (겹山철쭉) : 진달랫과의 낙엽 활엽 관목. 산철쭉과 비슷하나 겹꽃이 핀다. 산지(山地)에 드물게 나고 인가 부근에 심는데 한국의 경기ㆍ평안ㆍ황해 지역과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 산란 (山蘭) :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높이가 70~90cm이고 온몸에 털이 있으며, 큰 잎이 마주난다. 여름부터 가을에 걸쳐 흰색이나 자주색의 두상화가 산방(繖房) 화서로 피고 열매는 삭과(蒴果)를 맺으며 어린잎은 식용한다. 산과 들에 나는데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 목상산 (木常山) : 장미과의 낙엽 활엽 교목. 높이는 1.5~2미터이며 잎은 어긋나고 타원형으로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으며, 줄기는 밤색으로 능선이 있고 윤기가 난다. 4~5월에 흰 꽃이 산형(繖形) 화서로 피고 열매는 골돌과이다. 뿌리와 줄기는 약용하고 어린잎은 식용한다. 한국, 중국, 대만 등지에 분포한다.
- 산타래사초 (山타래莎草) : 사초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 잎, 꽃이 타래사초와 비슷하나 훨씬 작다. 건조한 풀밭에 자라는데 백두산에 분포한다.
- 산단풍 (山丹楓) : 단풍나뭇과의 낙엽 교목. 높이는 5~10미터이며, 대체로 당단풍과 비슷하나 잎과 열매가 조금 더 크다. 경기, 평북, 함북의 일부 지역에 분포한다.
- 흰산쑥 (흰山쑥) : 국화과의 낙엽 활엽 관목. 높이는 70cm 정도이며, 잎이 짧고 앞뒤에 털이 많으며 원줄기가 흰 털로 덮여 있다. 7~8월에 잔꽃이 두상(頭狀) 화서로 가지 끝에 모여 피고 열매는 수과(瘦果)로 10월에 익는다. 줄기와 잎은 약용한다. 우리나라 북부 지방에 분포한다.
- 산비장이 (山비장이) :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30~140cm이며, 잎은 어긋나고 깃 모양으로 완전히 갈라진다. 7~10월에 연한 붉은 자주색 꽃이 가지 끝에 하나씩 달린다. 어린잎은 식용한다. 산지(山地)에 나는데 한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 산짚신나물 (山짚신나물) : 장미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1미터 정도이며, 잎은 어긋나고 겹잎이다. 7~8월에 노란 꽃이 줄기와 가지 끝에 총상(總狀) 화서로 피고 열매는 수과(瘦果)이며 어린잎은 식용한다. 산이나 들에 나는데 한국 각지와 일본에 분포한다.
- 산동쥐똥나무 (山東쥐똥나무) : 물푸레나뭇과의 낙엽 관목. 높이는 3미터 정도이며, 잎은 마주나고 잔털이 있다. 6월에 하얀 꽃이 원추(圓錐) 화서로 피고 열매는 삭과(蒴果)로 9~10월에 검게 익는다. 한국의 남부 지방과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 큰산좁쌀풀 (큰山좁쌀풀) : 현삼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20cm 정도이며 좁쌀풀보다 포(苞)가 매우 크다. 꽃은 7~8월에 피고 열매는 삭과(蒴果)를 맺는다.
- 산새콩 (山새콩) : 콩과의 여러해살이풀. 잎은 3~5쌍의 잔잎으로 되어 있으며, 잔잎은 달걀 모양 또는 긴 타원형으로 끝이 뾰족하다. 위쪽 잎겨드랑이에 갯완두와 비슷한 꽃이 핀다. 강원도 이북에 분포한다.
- 산새풀 (山새풀) : 볏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80~150cm이며, 잎은 길이가 20~35cm로 편평하다. 8월에 붉은 자줏빛 갈색 꽃이 핀다. 산지(山地)에 나는데 강원도 이북에 분포한다.
- 산괴불나무 (山괴불나무) : 인동과의 낙엽 활엽 관목. 각시괴불나무와 비슷하나 꽃자루의 길이가 1.5~3cm인 점이 다르다. 잎은 달걀 모양의 피침형이고 줄기의 속은 갈색이며 비어 있다. 5~6월에 누런색 또는 흰색 꽃이 피며, 열매는 장과(漿果)로 가을에 붉게 익으며 식용한다. 한국, 일본, 중국, 아무르, 몽골 등지에 분포한다.
- 산산호 (山珊瑚) : 난초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높이가 50~100cm이며, 잎은 없으나 비늘잎은 어긋난다. 6~7월에 황갈색 꽃이 총상(總狀) 화서로 가지 끝에 피고, 열매는 붉은색으로 종자에 날개가 있으며 약용한다. 썩은 균사에 기생하는 식물로 엽록소가 없다. 한국의 제주,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 산유자나뭇과 (山柚子나뭇科) : 쌍떡잎식물 갈래꽃류의 한 과. 이나무, 산유자나무가 있다.
- 남산제비꽃 (南山제비꽃) : 제비꽃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가 없으며, 잎은 3~5개로 갈라진다. 4~6월에 흰 꽃이 꽃줄기 끝에 하나씩 피고 열매는 삭과(蒴果)를 맺는다. 산지(山地)에 자라는데 한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 산리 (山梨) : 1 장미과의 낙엽 활엽 소교목. 잎은 달걀 모양으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봄에 흰 꽃이 산방(繖房) 화서로 피고, 열매는 이과(梨果)로 가을에 누렇게 익는다. 목재로 많이 쓰고 열매는 식용한다.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2 장미과의 낙엽 활엽 교목. 높이는 10미터 정도이며, 잎은 어긋나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4~5월에 흰 꽃이 방상(房狀) 화서로 피고 열매는 가을에 노란색으로 익는데 식용하고 나무는 도구재로 쓴다. 한국, 일본, 우수리강 등지에 분포한다.
- 산귀래 (山歸來) : 쐐기풀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10~20cm이며,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이다. 4~5월에 연두색 꽃이 잎겨드랑이에서 피고 열매는 수과(痩果)이며 타원형이다.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 털산고사리 (털山고사리) : 처녀고사릿과의 여러해살이풀. 가는잎처녀고사리에 비하여 뒷면 아래쪽에 하얀 털이 빽빽이 나 있다. 한국의 함경,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 산칠 (山漆) : 산에서 자라는 옻나무.
- 금강산뚝사초 (金剛山뚝莎草) : 사초과의 산뚝사초. 열매를 싸는 잎의 겉쪽이 거칠다.
- 산난초 (山蘭草) : 붓꽃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10~15cm이며, 잎은 칼집 모양이다. 봄에 자주색 또는 흰색 꽃이 꽃줄기 끝에 피고 열매는 삭과(蒴果)로 작은 공 모양이다. 우리나라 각지에 분포한다.
- 갑산제비꽃 (甲山제비꽃) : 제비꽃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6cm 정도이고 줄기가 없으며, 잎은 뿌리에서 뭉쳐난다. 5월에 잎 사이에서 여러 갈래의 가는 꽃줄기가 나와 그 끝에 연한 보라색 꽃이 피고 열매는 삭과를 맺는다. 산지에서 자라는데 경기, 함남의 갑산ㆍ북청 등지에 분포한다.
- 야산고사리 (野山고사리) : 면마과의 여러해살이풀. 옆으로 뻗는 뿌리줄기에서 잎이 드문드문 나오며 잎자루가 매우 길고 잎은 깃 모양으로 깊이 갈라진다. 어린잎은 식용하고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 산할미꽃 (山할미꽃) : 미나리아재빗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15~22cm이며, 잎은 뿌리에서 뭉쳐나며 3~5개의 작은 잎으로 갈린다. 6~7월에 검붉은 색의 꽃이 피고 열매는 긴 달걀 모양의 수과(瘦果)를 맺는다. 우리나라 특산종으로 높은 산의 양지에 나는데 함경북도의 관모봉에 분포한다.
- 산국수나무 (山국수나무) : 장미과의 낙엽 관목. 잎은 어긋나고 손바닥 모양이며, 3~5갈래로 갈라진다. 꽃은 여름에 산방(繖房) 화서로 피고 열매는 둥글고 가을에 익는다. 관상용으로 재배한다. 산기슭에 나는데 한국의 북부 지방, 만주, 아무르 등지에 분포한다.
- 과산룡 (過山龍) : 꼭두서닛과의 여러해살이 덩굴풀. 줄기는 높이가 1미터 정도이며, 모가 지고 속이 비어 있다. 잎은 4개씩 돌려나며 콩팥 모양 또는 긴 달걀 모양이다. 7~8월에 노란 꽃이 많이 피고 둥근 모양의 장과(漿果)는 검게 익는다. 어린잎은 식용하고 뿌리는 물감의 원료나 진통제로 쓴다. 산과 들에 자라고 한국, 일본, 대만 등지에 분포한다.
- 산사나무 (山査나무) : 장미과의 낙엽 활엽 교목. 높이는 6미터 정도이며, 잎은 어긋나고 깃 모양으로 얕게 갈라진다. 초여름에 흰 꽃이 산방(繖房) 화서로 피고 가을에 ‘산사자’라는 붉은 열매가 열리는데 약용 또는 식용한다. 한국, 중국, 시베리아 등지에 분포한다. (산사자: 산사나무의 열매. 둥글고 작은 사과 모양이며, 9~10월에 붉은색으로 익는데 겉면에는 흰 점들이 있다. 열매에는 아미그달린, 시트르산, 타타르산을 비롯한 유기산, 플라보노이드, 비타민 시(C) 따위가 들어 있다. 한약 재료로 쓴다.)
- 산향모 (山香茅) : 볏과의 여러해살이풀. 향모와 비슷하나 잎이 뭉쳐나고 6월에 꽃이 핀다. 백두산에 분포한다.
- 산뽕나무 (山뽕나무) : 뽕나뭇과의 낙엽 활엽 교목. 높이는 7~8미터이며,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 또는 둥근 달걀 모양이다. 암수딴그루로 단성화가 봄에 핀다. 열매는 둥근 모양으로 여름에 자줏빛 검은색으로 익는다. 잎은 양잠 사료, 열매는 식용 또는 약용하고 나무껍질은 제지용으로 쓴다.
- 산밤나무 (山밤나무) : 1 참나뭇과의 낙엽 활엽 교목. 잎은 긴 타원형의 피침 모양이며, 잔톱니가 있다. 5~6월에 꽃이 긴 수상(穗狀) 화서로 피고 열매는 견과(堅果)로 9~10월에 익는다. 나무는 토목 재료나 땔감으로 쓴다. 산지(山地)에 나는데 한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2 산에서 저절로 자란 밤나무.
- 민산초나무 (민山椒나무) : 운향과의 낙엽 교목. 산초나무와 비슷하나 가지에 가시가 없다.
- 산자고 (山茨菰/山慈姑) :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30cm 정도이며, 잎은 선 모양이다. 4~5월에 자주색 줄이 있는 흰색의 꽃이 꽃줄기 끝에 달리고 열매는 삭과(蒴果)로 세모꼴이다. 전남, 전북, 제주 등지에 분포한다.
- 지리산싸리 (智異山싸리) : 콩과의 낙엽 관목. 가지가 많고 가늘며, 잎은 삼출엽이다. 조록싸리와 싸리의 잡종으로 자주색 꽃이 핀다. 우리나라의 지리산에서 자란다.
- 산현채 (山莧菜) : 비름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50~100cm이며, 줄기는 가지가 많고 마디가 두드러진다. 잎은 마주나고 타원형이다. 8~9월에 연한 녹색 꽃이 수상(穗狀) 화서로 피고 열매는 포과(胞果)로 겉에 가시가 있어서 사람의 옷에 잘 붙는다. 뿌리는 임질약, 강장제, 이뇨제, 해열제 따위로 쓰고, 줄기와 잎은 독사에 물렸을 때 해독약으로 쓴다. 한국, 일본, 중국, 대만, 히말라야 등지에 분포한다.
- 산객 (山客) : 진달랫과의 낙엽 활엽 관목. 높이는 2~5미터이며 잎은 어긋나고 거꾸로 된 달걀 모양이다. 5월에 분홍색 꽃이 산형(繖形) 화서로 피고 열매는 삭과(蒴果)로 10월에 익는다. 관상용이고 한국, 일본, 만주 등지에 분포한다.
- 산사초 (山莎草) : 사초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20~60cm이며, 7월에 4~8개의 작은 꽃이삭이 달걀 모양으로 핀다. 북반구의 고산 지대에 분포한다.
- 산단 (山丹) :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30~80cm이며, 잎은 어긋나고 선 모양이다. 6~7월에 1~5개의 짙은 붉은색 꽃이 포 위에 피고 열매는 삭과(蒴果)를 맺는다. 비늘줄기는 식용 또는 약용한다. 한국, 일본, 중국, 동시베리아 등지에 분포한다.
- 무산사초 (茂山莎草) : 사초과의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는 짧은데 여러 개로 갈라지며, 잎은 긴 피침 모양이고 잎집이 있다. 여름에 수상(穗狀) 화서로 누런 붉은색의 꽃이 피고 열매는 수과(瘦果)를 맺는다. 그늘진 풀밭에서 자라는데 함북 지방에 분포한다.
- 산정 (山精) : 1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50cm 정도이며,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의 타원형이다. 7~10월에 연한 자주색을 띤 흰색 두상화(頭狀花)가 줄기 끝에 핀다. 어린잎은 식용하고 뿌리는 약용한다. 산과 들, 언덕에서 나는데 한국, 일본, 만주 등지에 분포한다. 2 당삽주의 뿌리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 소화 불량, 설사, 수종(水腫) 따위에 쓴다.
- 고산대 (高山帶) : 수직 분포에 따른 식물대의 하나. 삼림 한계 이상에서 빙설대 하한(下限)의 설선(雪線)까지의 지대를 이른다. 우리나라에서는 해발 2,000미터 안팎의 지역으로 고산 관목림, 고산 초원 따위가 발달하였다.
- 영산홍 (映山紅) : 진달랫과의 상록 관목. 높이는 1미터 정도이며 잎은 가지 끝에 뭉쳐나고 피침 모양으로 끝이 둔하다. 5~7월에 붉은빛을 띤 자주색 꽃이 가지 끝에 핀다. 일본이 원산지이며 관상용으로 재배한다.
- 산딸기나무 (山딸기나무) : 장미과의 낙엽 관목. 높이는 1~2미터이고 줄기에 드문드문 가시가 있다. 잎은 어긋나고 가장자리가 3~5개로 갈라진다. 꽃은 6월에 산방(繖房) 화서로 무리 지어 하얗게 피고, 열매는 7월에 검붉은 색으로 둥그렇게 익는다. 열매는 날것으로 먹는데 갈증 해소와 지사 효과가 있다.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 산박하 (山薄荷) :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1미터 정도이며, 잎은 마주나고 달걀 모양이다. 6~8월에 자주색 꽃이 취산(聚繖) 화서로 피고 열매는 네 갈래로 나뉘는 수과(瘦果)를 맺는다. 어린잎은 식용한다. 산과 들에 나는데 한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 가야산은분취 (伽倻山銀粉취) :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꽃이삭에 흰 털이 있으며 깊은 산에서 자란다.
▹ 품사로 구분한 통계
▹ 글자수로 구분한 통계
💡한자 山 (뫼 산)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1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3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012개입니다.
- 1 글자 2개 : 산
- 2 글자 527개 : 산다, 산체, 산서, 천산, 서산, 백산, 경산, 산마, 인산, 산합 3 글자 1,012개 4 글자 896개 5 글자 342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