學 🌏한자(사자성어) 💡철학 분야 303개
-
귀납 논리학
(歸納論理學)
:
귀납적 추리로 성립되는 논증을 다루는 논리학. 귀납적 추리에 의하여 주어진 가설이 관찰 명제에 의하여 어느 정도의 확률로 확증되었나를 밝히는 학문이다.
🌏 歸: 돌아올 귀 納: 들일 납 論: 논의할 논 理: 다스릴 리 學: 배울 학 -
순수 철학
(純粹哲學)
:
실재에 관한 궁극적인 문제를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철학.
🌏 純: 순수할 순 粹: 순수할 수 哲: 밝을 철 學: 배울 학 -
오성 철학
(悟性哲學)
:
반성에 의한 통일을 최고의 것으로 보는 철학. 헤겔의 용어로, 반성은 외적인 연관을 나타내는 의미로 사용한다.
🌏 悟: 깨달을 오 性: 성품 성 哲: 밝을 철 學: 배울 학 -
북학
(北學)
:
1
중국 남북조 시대에, 북조에서 행해진 학풍. 후한의 고문학적(古文學的) 경학(經學)을 중히 여겨 번잡한 실증(實證)을 좋아하였다.
2
조선 영조ㆍ정조 때에, 실학자들이 청나라의 앞선 문물제도 및 생활 양식을 받아들일 것을 내세운 학풍.
🌏 北: 북녘 북 學: 배울 학 -
법률 철학
(法律哲學)
:
법의 본질ㆍ이념ㆍ가치 따위를 밝혀서 법학의 방법을 확립하려는 특수 철학의 하나.
🌏 法: 법도 법 律: 법 률 哲: 밝을 철 學: 배울 학 -
형상학
(形相學)
:
사실에 따르면서 본질을 구명하는 학문. 대상의 본질을 다루는 것을 존재학, 의식의 본질을 다루는 것을 현상학이라 한다.
🌏 形: 형상 형 相: 서로 상 學: 배울 학 -
육파 철학
(六派哲學)
:
굽타 왕조(Gupta王朝) 때 인도에서 확립된 정통 브라만 사상에 속하는 여섯 가지의 철학 체계. 삼키아학파, 미맘사학파, 베단타학파, 니야야학파, 요가학파, 바이세시카학파를 이르는데, 이들은 모두 베다 성전(Veda聖典)의 권위를 그 철학적 근거로 원용하고 있다.
🌏 六: 여섯 육 派: 물갈래 파 哲: 밝을 철 學: 배울 학 -
기호학파
(畿湖學派)
:
조선 시대에, 선조 이후 율곡 이이를 조종(祖宗)으로 하는 주기적(主氣的) 경향의 성리학의 학파. 조헌ㆍ김상헌ㆍ김장생ㆍ송시열ㆍ권상하ㆍ김창집 등 기호 지방에 살던 서인(西人)들로 이루어졌으며, 이황의 영남학파와 쌍벽을 이루었다.
🌏 畿: 경기 기 湖: 호수 호 學: 배울 학 派: 물갈래 파 -
비교 철학
(比較哲學)
:
여러 철학 체계, 특히 동양과 서양의 철학을 비교ㆍ연구하여, 그 차이가 생긴 까닭을 검토하고 인류 공통의 과제를 찾으려는 철학.
🌏 比: 견줄 비 較: 견줄 교 哲: 밝을 철 學: 배울 학 -
존재학
(存在學)
:
존재 또는 존재의 근본적ㆍ보편적인 모든 규정을 연구하는 학문.
🌏 存: 있을 존 在: 있을 재 學: 배울 학 -
베단타학파
(Vedanta學派)
:
인도 육파(六派)의 하나. 시조는 바다라야나로 우파니샤드를 중시하며 범아일여(梵我一如)의 사상을 견지한다.
🌏 學: 배울 학 派: 물갈래 파 -
칸트 철학
(Kant哲學)
:
독일의 철학자 칸트가 선험적 관념론을 주장하여, 이론ㆍ실천ㆍ예술ㆍ종교 따위의 여러 철학을 비판적 방법으로 연구하고 완성한 철학.
🌏 哲: 밝을 철 學: 배울 학 -
생활 철학
(生活哲學)
:
실제 생활에서 우러나온 산 철학. 현실적인 생활면에 중점을 두고, 실제 생활에 대한 예지(叡智)와 체험을 중요시한다.
🌏 生: 날 생 活: 살 활 哲: 밝을 철 學: 배울 학 -
경험 철학
(經驗哲學)
:
모든 지식의 근원은 경험에 있고, 경험의 내용이 그대로 지식의 내용이 된다고 보는 철학. 베이컨, 로크가 대표자로, 영국 철학의 일반적 특색이다.
🌏 經: 경서 경 驗: 시험 험 哲: 밝을 철 學: 배울 학 -
중국 철학
(中國哲學)
:
중국에서 일어나 발달한 철학. 중요한 것은 춘추 전국 시대에 나타난 제자백가의 사상으로, 그 가운데 체계를 갖추고 후세에 계승된 것은 유교 사상과 도가(道家) 사상인데, 전자는 송나라ㆍ명나라 때에 와서 성리학과 양명학으로 전개되었고, 후자는 민간 신앙이나 예술 이론, 농민들의 생활 습관에 깊이 영향을 끼쳤다.
🌏 中: 가운데 중 國: 나라 국 哲: 밝을 철 學: 배울 학 -
신지학
(神智學)
:
우주와 자연의 불가사의한 비밀, 특히 인생의 근원이나 목적에 관한 여러 가지 의문을 신(神)에게 맡기지 않고 깊이 파고들어 가, 학문적 지식이 아닌 직관에 의하여 신과 신비적 합일을 이루고 그 본질을 인식하려고 하는 종교적 학문. 플로티노스나 석가모니의 사상 따위가 이에 속한다.
🌏 神: 귀신 신 智: 지혜 지 學: 배울 학 -
사유 논리학
(思惟論理學)
:
인식의 목적에 유용한 사유의 작용과 형식을 고찰하는 논리학. 일반적으로 사유 심리학에 대하여 사유의 논리적 고찰을 이른다. 호네커(Honecker, M.)는 대상과 사유 내용, 사유 작용을 구별하고, 그것에 따라 대상 논리학ㆍ의미 논리학ㆍ사유 논리학으로 나누었다.
🌏 思: 생각 사 惟: 생각할 유 論: 논의할 논 理: 다스릴 리 學: 배울 학 -
정주학
(程朱學)
:
중국 송나라 때의 정호(程顥), 정이(程頥)와 주희 계통의 성리학을 이르는 말. 송나라 때에 일어난 신유학(新儒學)이다.
🌏 程: 단위 정 朱: 붉을 주 學: 배울 학 -
과학 논리학
(科學論理學)
:
과학적 명제나 진술에 대한 논리적 분석을 위주로 하는 학문. 빈학파(Wien學派) 또는 논리 실증주의 과학론의 사상을 가리킨다.
🌏 科: 품등 과 學: 배울 학 論: 논의할 논 理: 다스릴 리 學: 배울 학 -
사변적 미학
(思辨的美學)
:
현상의 배후에 있는 실재의 세계를 근거로 하여 미(美) 또는 예술의 본질을 설명하려는 학문.
🌏 思: 생각 사 辨: 분별할 변 的: 과녁 적 美: 아름다울 미 學: 배울 학 -
생철학
(生哲學)
:
삶의 체험에서 모든 것을 파악하려고 한 철학. 19세기 중반부터 20세기 초에 걸쳐 유럽에서 일어났는데, 독일 관념론의 합리주의나 과학주의적인 기계론에 반대하고 의지나 직관을 중요하게 여겼다. 쇼펜하우어, 키르케고르, 니체 등이 주장하였다.
🌏 生: 날 생 哲: 밝을 철 學: 배울 학 -
순수 논리학
(純粹論理學)
:
논리학의 심리주의적ㆍ경험론적 해석을 배척하며, 논리를 주관의 사유 작용으로부터 분리하여 순수한 논리적인 것 그 자체를 연구하는 객관적 논리학. 독일의 철학자 후설이 주장한 것으로, 칸트의 관점에서는 오성(悟性)과 이성의 기준이 되는 선천적 원리에 대한 논리학을 순수 논리학이라 불러 응용 논리학과 구별한다.
🌏 純: 순수할 순 粹: 순수할 수 論: 논의할 논 理: 다스릴 리 學: 배울 학 -
당위학
(當爲學)
:
윤리학, 논리학, 미학과 같이 규범의 법칙을 연구하는 학문.
🌏 當: 마땅할 당 爲: 할 위 만들 위 베풀 위 간주할 위 될 위 속일 위 다스릴 위 둘 위 가릴 위 펼 위 學: 배울 학 -
법철학
(法哲學)
:
법의 본질ㆍ이념ㆍ가치 따위를 밝혀서 법학의 방법을 확립하려는 특수 철학의 하나.
🌏 法: 법도 법 哲: 밝을 철 學: 배울 학 -
대상 논리학
(對象論理學)
:
대상을 중요시하는 논리학. 사유 작용을 기초로 하는 논리학에 상대하여 대상 그 자체를 다루는 논리가 진실한 논리라고 주장하는 논리학이다.
🌏 對: 대답할 대 象: 코끼리 상 상아 상 상징 상 형상 상 징조 상 용모 상 상상 상 법제 상 역법 상 본받을 상 論: 논의할 논 理: 다스릴 리 學: 배울 학 -
적극 철학
(積極哲學)
:
존재의 근거를 현실적으로 파악하고, 그 근원에 잠긴 비합리성의 원리를 인정하는 철학. 셸링의 후기 철학을 특징짓는 용어이다.
🌏 積: 쌓을 적 極: 지극할 극 哲: 밝을 철 學: 배울 학 -
염락관민지학
(濂洛關閩之學)
:
중국 송나라 때에, 주돈이ㆍ정호ㆍ정이ㆍ장재ㆍ주희 등이 주장한 성리학. 그들의 출신 지명을 따서 붙인 이름이다.
🌏 濂: 엷을 염 洛: 물 이름 락 關: 빗장 관 閩: 땅 이름 민 之: 갈 지 學: 배울 학 -
역사 과학
(歷史科學)
:
1
인간에 관한 사물과 현상을 반복이 불가능하고 일회적이며 개성적인 것으로 보고 연구ㆍ기술하는 과학을 통틀어 이르는 말. 빈델반트가 학문 방법상 자연 과학에 대립시켜 이른 말로 대상 범위는 사회학과 같다.
2
과거에 있었던 인간 생활의 여러 사실과 사상(事象)을 대상으로 하는 과학을 통틀어 이르는 말.
3
마르크스주의에서, 유물 사관을 이론적 기초로 삼는 역사학.
🌏 歷: 지낼 역 史: 역사 사 科: 품등 과 學: 배울 학 -
형이하학적
(形而下學的)
:
1
형이하학에 관련되거나 바탕을 둔 것.
2
형이하학에 관련되거나 바탕을 둔.
🌏 形: 형상 형 而: 말이을 이 下: 아래 하 學: 배울 학 的: 과녁 적 -
법칙학
(法則學)
:
법칙의 정립을 목적으로 하는 과학. 빈델반트(Windelband, W.)가 학문 방법상 물리학, 화학, 생리학 따위의 자연 과학을 역사 과학에 상대하여 이른 말이다.
🌏 法: 법도 법 則: 법 칙 學: 배울 학 -
사학파
(私學派)
:
조선 시대에, 경학(經學)을 중시하여 유학의 기본적인 정치 철학을 추구하던, 성리학의 유파.
🌏 私: 사사로울 사 學: 배울 학 派: 물갈래 파 -
키니크학파
(Cynique學派)
:
소크라테스의 제자인 안티스테네스를 시조로 하는 고대 그리스 철학의 한 학파. 행복은 외적인 조건에 좌우되는 것이 아니라고 보고, 되도록 자신의 본성에 따라 자연스럽게 생활을 영위하는 것을 이상으로 삼았기 때문에 일체의 사회적 습관을 무시하고 문화적 생활을 경멸하였다.
🌏 學: 배울 학 派: 물갈래 파 -
계몽 철학
(啓蒙哲學)
:
16~18세기에 유럽 전역에 일어난 혁신적 사상. 교회의 권위에 바탕을 둔 구시대의 정신적 권위와 사상적 특권과 제도에 반대하여 인간적이고 합리적인 사유(思惟)를 제창하고, 이성의 계몽을 통하여 인간 생활의 진보와 개선을 꾀하려 하였다.
🌏 啓: 열 계 蒙: 어릴 몽 哲: 밝을 철 學: 배울 학 -
자연 과학적 유물론
(自然科學的唯物論)
:
과학의 성과에 기초하여 세계를 인간의 의식과는 독립해 있는 객관적 실재로 인정하는 유물론적 견해.
🌏 自: 스스로 자 然: 그럴 연 科: 품등 과 學: 배울 학 的: 과녁 적 唯: 오직 유 物: 만물 물 論: 논의할 론 -
과학적 유물론
(科學的唯物論)
:
과학의 성과에 기초하여 세계를 인간의 의식과는 독립해 있는 객관적 실재로 인정하는 유물론적 견해.
🌏 科: 품등 과 學: 배울 학 的: 과녁 적 唯: 오직 유 物: 만물 물 論: 논의할 론 -
분석 철학
(分析哲學)
:
과학과 일상적 언어의 여러 개념이나 명제를 분석하고, 그 의미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 철학을 통틀어 이르는 말. 현대 영미(英美) 철학의 주류를 이루는 것으로, 주로 기호나 언어의 분석을 통하여 인식의 참과 거짓 또는 그 의미를 비판하려는 학문이다.
🌏 分: 나눌 분 析: 가를 석 哲: 밝을 철 學: 배울 학 -
영국 철학
(英國哲學)
:
영국에서 발달한 철학. 경험론적, 자유주의적, 자연주의적 경향을 그 특색으로 한다.
🌏 英: 꽃부리 영 國: 나라 국 哲: 밝을 철 學: 배울 학 -
규범 과학
(規範科學)
:
윤리학, 논리학, 미학과 같이 규범의 법칙을 연구하는 학문.
🌏 規: 법 규 範: 법 범 科: 품등 과 學: 배울 학 -
근본학
(根本學)
:
의식 내용 일반을 연구하는 학문. 렘케(Rehmke, J.)가 자기 철학을 이른 말이다.
🌏 根: 뿌리 근 本: 근본 본 學: 배울 학 -
존재 철학
(存在哲學)
:
존재 또는 존재의 근본적ㆍ보편적인 모든 규정을 연구하는 학문.
🌏 存: 있을 존 在: 있을 재 哲: 밝을 철 學: 배울 학 -
낙민학
(洛閩學)
:
‘정주학’을 달리 이르는 말. 그 중심인물인 정호(程顥)ㆍ정이(程頥)는 뤄양(洛陽) 사람이고 주자(朱子)는 민중(閩中) 사람인 데서 유래한다. 성명(性命), 이기(理氣)의 이원설을 주도하며, 주자가 완성시켰다. (정주학: 중국 송나라 때의 정호(程顥), 정이(程頥)와 주희 계통의 성리학을 이르는 말. 송나라 때에 일어난 신유학(新儒學)이다.)
🌏 洛: 물 이름 낙 閩: 땅 이름 민 學: 배울 학 -
이성적 신학
(理性的神學)
:
신의 계시에 의하지 않고 이성에 의하여 신의 존재를 증명하려는 신학.
🌏 理: 다스릴 이 性: 성품 성 的: 과녁 적 神: 귀신 신 學: 배울 학 -
에피쿠로스학파
(Epicouros學派)
:
에피쿠로스의 학설을 신봉하는 철학의 한 학파. 스토아학파와 견줄 수 있는 헬레니즘 시대의 양대 학파의 하나로, 간소한 생활 속에서 정신적인 쾌락을 추구하였다.
🌏 學: 배울 학 派: 물갈래 파 -
유대 철학
(Judea哲學)
:
중세기에 아라비아 철학과 교섭하면서 유대인 사이에 일어난 종교 철학.
🌏 哲: 밝을 철 學: 배울 학 -
우주 철학
(宇宙哲學)
:
우주 전체의 공간적 구조나 그 시간적 변화에 관한 자연 철학.
🌏 宇: 집 우 宙: 집 주 哲: 밝을 철 學: 배울 학 -
서남학파
(西南學派)
:
문화 과학과 역사 과학의 가치론을 연구하는 학파. 신칸트학파의 하나로 빈델반트, 리케르트 등이 대표자이다.
🌏 西: 서녘 서 南: 남녘 남 學: 배울 학 派: 물갈래 파 -
무형학
(無形學)
:
사물의 본질, 존재의 근본 원리를 사유나 직관에 의하여 탐구하는 학문. 명칭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작물의 제목에서 유래한다.
🌏 無: 없을 무 形: 형상 형 學: 배울 학 -
심미학
(審美學)
:
자연이나 인생 및 예술 따위에 담긴 미의 본질과 구조를 해명하는 학문.
🌏 審: 살필 심 美: 아름다울 미 學: 배울 학 -
이론 철학
(理論哲學)
:
이론적 문제를 논의의 대상으로 삼는 학문. 철학의 한 분야이다. 존재론, 논리학, 인식론 따위가 있다.
🌏 理: 다스릴 이 論: 논의할 론 哲: 밝을 철 學: 배울 학 -
호학
(湖學)
:
조선 영조 때의 성리학의 한 파로, 한원진을 중심으로 하여 이루어진 학문. 인물 이성론(人物異性論)을 주장하였다.
🌏 湖: 호수 호 學: 배울 학
▹ 품사로 구분한 통계
▹ 글자수로 구분한 통계
💡한자 學 (배울 학)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2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4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503개입니다.
- 1 글자 2개 : 학
- 2 글자 347개 : 태학, 소학, 학업, 월학, 학보, 학과, 정학, 유학, 구학, 노학 3 글자 902개 4 글자 1,503개 5 글자 1,015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