大 🌏한자(사자성어) 💡불교 분야 296개
-
대범천왕
(大梵天王)
:
대범천에 있으면서 사바세계를 다스리는 천왕.
🌏 大: 큰 대 梵: 범어 범 天: 하늘 천 王: 임금 왕 -
대지도론
(大智度論)
:
나가르주나가 산스크리트 원전의 ≪대품반야경≫에 대하여 주석한 책. 대승 불교의 백과사전적 저작이다.
🌏 大: 큰 대 智: 지혜 지 度: 법도 도 論: 논의할 론 -
대승
(大乘)
:
1
중생을 제도하여 부처의 경지에 이르게 하는 것을 이상으로 하는 불교. 그 교리, 이상, 목적이 모두 크고 깊으며 그것을 받아들이는 중생의 능력도 큰 그릇이라 하여 이렇게 이른다. 소승을 비판하면서 일어난 유파로 한국, 중국, 일본의 불교가 이에 속한다.
2
대승의 교리를 기본 이념으로 하는 불교. 삼론(三論), 법상(法相), 화엄(華嚴), 천태(天台), 진언(眞言), 율(律), 선종(禪宗) 따위가 있다.
🌏 大: 큰 대 乘: 탈 승 -
대원 본존
(大願本尊)
:
‘지장보살’을 달리 이르는 말. 육도(六道) 중생을 모두 제도한 다음에야 부처가 되겠다고 하는 큰 서원을 세운 데서 유래한다. (지장보살: 무불 세계에서 육도 중생(六道衆生)을 교화하는 대비보살. 천관(天冠)을 쓰고 가사(袈裟)를 입었으며, 왼손에는 연꽃을, 오른손에는 보주(寶珠)를 들고 있는 모습이다.)
🌏 大: 큰 대 願: 바랄 원 本: 근본 본 尊: 높을 존 -
사대 기념일
(四大紀念日)
:
불교의 네 가지 큰 기념일. 석가모니의 탄생을 기리는 음력 4월 8일의 부처님 오신 날, 2월 8일의 출가(出家) 기념일, 12월 8일의 성도절(成道節), 2월 15일의 열반절(涅槃節)이다.
🌏 四: 넉 사 大: 큰 대 紀: 벼리 기 念: 생각할 념 日: 날 일 -
삼면 대흑
(三面大黑)
:
세 개의 얼굴을 가진 대흑천(大黑天).
🌏 三: 석 삼 面: 낯 면 大: 큰 대 黑: 검을 흑 -
남전대장경
(南傳大藏經)
:
팔리어로 쓰인 불경을 통틀어 이르는 말. 스리랑카, 타이 등지의 남부 불교권에서 쓰고 있다.
🌏 南: 남녘 남 傳: 전할 전 大: 큰 대 藏: 감출 장 經: 경서 경 -
대본산
(大本山)
:
총본사 아래에 있거나 독립적으로 같은 종지(宗旨)의 작은 말사를 통할하는 큰 절.
🌏 大: 큰 대 本: 근본 본 山: 뫼 산 -
대비하다
(大悲하다)
:
중생의 괴로움을 구제하려는 자비심이 크다.
🌏 大: 큰 대 悲: 슬플 비 -
오대당
(五大堂)
:
오대존 명왕을 모신 집.
🌏 五: 다섯 오 大: 큰 대 堂: 집 당 -
대범왕
(大梵王)
:
대범천에 있으면서 사바세계를 다스리는 천왕.
🌏 大: 큰 대 梵: 범어 범 王: 임금 왕 -
대소승
(大小乘)
:
대승(大乘)과 소승(小乘)을 아울러 이르는 말.
🌏 大: 큰 대 小: 작을 소 乘: 탈 승 -
대선
(大禪)
:
선종의 초급 법계(法階). 사교(四敎)를 수업한 승려로서 선원 안거(禪院安居) 오하(五夏) 이상을 닦은 사람에게 준다.
🌏 大: 큰 대 禪: 고요할 선 -
일대사
(一大事)
:
1
중대한 일. 또는 아주 큰 일.
2
사람이 죽는 일과 아이를 낳는 일을 이르는 말.
3
실상의 묘한 이치인 법화의 묘법.
🌏 一: 하나 일 大: 큰 대 事: 일 사 -
대운경
(大雲經)
:
689년에 중국 당나라의 설회의(薛懷義), 법랑(法朗) 등이 측천무후가 천명을 받아 통치한다는 내용으로 지었다는 위경(僞經). 이 경(經)을 주상(奏上)받은 측천무후는 국호를 주(周)로 고치고 이 경을 중국 각지에 보내어, 여러 주에 대운사를 짓게 하였다.
🌏 大: 큰 대 雲: 구름 운 經: 경서 경 -
대왕생
(大往生)
:
조금도 괴로움이 없는 왕생. 평안하게 죽는 일을 이른다.
🌏 大: 큰 대 往: 갈 왕 生: 날 생 -
대자비
(大慈悲)
:
넓고 커서 끝이 없는 부처와 보살의 자비. 특히 관세음보살이 중생을 사랑하고 불쌍히 여기는 마음을 이른다.
🌏 大: 큰 대 慈: 사랑할 자 悲: 슬플 비 -
대야
(大夜)
:
다비의 전날 밤. 또는 기일(忌日), 법회의 전날 밤.
🌏 大: 큰 대 夜: 밤 야 -
대비다문천
(大悲多聞天)
:
사왕천(四王天)의 하나. 다문천왕이 다스린다고 하는 수미산 중턱 북쪽의 하늘 나라이다.
🌏 大: 큰 대 悲: 슬플 비 多: 많을 다 聞: 들을 문 天: 하늘 천 -
대웅보전
(大雄寶殿)
:
부처를 모셔 두는 건물.
🌏 大: 큰 대 雄: 수컷 웅 寶: 보배 보 殿: 큰 집 전 -
대자하다
(大慈하다)
:
1
큰 자비(慈悲)가 있다.
2
중생을 사랑하는 부처의 큰 자비가 있다.
🌏 大: 큰 대 慈: 사랑할 자 -
대삼재
(大三災)
:
화재, 수재, 풍재의 세 가지 재앙.
🌏 大: 큰 대 三: 석 삼 災: 재앙 재 -
대가섭
(大迦葉)
:
석가모니의 10대 제자의 한 사람(?~?). 욕심이 적고 엄격한 계율로 두타(頭陀)를 행하였고 교단의 우두머리로 존경을 받았다.
🌏 大: 큰 대 迦: 부처 이름 가 葉: 고을 이름 섭 -
삼대겁
(三大劫)
:
과거의 장엄겁, 현재의 현겁, 미래의 성수겁의 세 겁을 이르는 말.
🌏 三: 석 삼 大: 큰 대 劫: 겁탈할 겁 -
팔대 용신
(八大龍神)
:
불법을 지키는 선신(善神)으로 존경받는 여덟 용왕. 난타(難陀), 발난타(跋難陀), 사갈라(娑羯羅), 화수길(和修吉), 덕차가(德叉迦), 아누달용왕(阿耨達龍王), 마나산(摩那散), 우발라(優鉢羅)이다.
🌏 八: 여덟 팔 大: 큰 대 龍: 용 용 神: 귀신 신 -
팔대 보살
(八大菩薩)
:
정법(正法)을 지키고 중생을 옹호하는 여덟 보살. 경(經)에 따라 다르다. 약사경에서는 문수사리보살, 관세음보살, 득대세지보살, 무진의보살, 보단화보살, 약왕보살, 약상보살, 미륵보살을 이르며, 팔대 보살 만다라경에서는 관세음보살, 미륵보살, 허공장보살, 보현보살, 금강수보살, 문수보살, 제개장보살, 지장보살을 이른다.
🌏 八: 여덟 팔 大: 큰 대 菩: 보리 보 薩: 보살 살 -
팔대 야차
(八大夜叉)
:
다문천왕이 통솔하는 여덟 야차. 보현(普賢), 만현(滿賢), 산지(散支), 중덕(衆德), 응념(應念), 대만(大滿), 무비력(無比力), 밀엄(密嚴)을 이른다.
🌏 八: 여덟 팔 大: 큰 대 夜: 밤 야 叉: 깍지낄 차 -
대오하다
(大悟하다)
:
1
번뇌에서 벗어나 진리를 깨닫다.
2
크게 깨닫다.
🌏 大: 큰 대 悟: 깨달을 오 -
대천세계
(大千世界)
:
중천세계를 천 배 합한 세계.
🌏 大: 큰 대 千: 일천 천 世: 세대 세 界: 경계 계 -
대승기
(大乘機)
:
대승의 가르침을 깨달을 만한 중생의 능력.
🌏 大: 큰 대 乘: 탈 승 機: 틀 기 -
팔만대장경
(八萬大藏經)
:
1
‘대장경’을 달리 이르는 말. 팔만사천법문이 있다는 뜻이다. (대장경: 불경을 집대성한 경전. 석가모니의 설교를 기록한 경장(經藏), 모든 계율을 모은 율장(律藏), 불제자들의 논설을 모은 논장(論藏)을 모두 망라하였다.)
2
고려 고종 23년(1236)부터 38년(1251)에 걸쳐 완성한 대장경. 부처의 힘으로 외적을 물리치기 위하여 만들었는데, 경판(經板)의 수가 8만 1258판에 이르며 현재 합천 해인사에 보관하고 있다.
🌏 八: 여덟 팔 萬: 일만 만 大: 큰 대 藏: 감출 장 經: 경서 경 -
대위덕명왕
(大威德明王)
:
팔대 명왕의 하나. 서쪽을 지키며 모든 악귀를 굴복하게 하여 중생에게 평안을 주는 명왕으로, 얼굴이 셋 또는 여섯이고 팔과 다리가 각각 여섯으로 성난 모양을 하고 있다. 문수보살의 화신으로 칼, 활, 창, 곤봉, 밧줄, 화살을 쥐고 있으며 온몸이 불꽃에 싸여 있다. 오대존 명왕의 하나이기도 하다.
🌏 大: 큰 대 威: 위엄 위 德: 덕 덕 明: 밝을 명 王: 임금 왕 -
천이백 대중
(千二百大衆)
:
석가모니의 제자 1,250인을 100단위까지 잘라서 이르는 말.
🌏 千: 일천 천 二: 두 이 百: 일백 백 大: 큰 대 衆: 무리 중 -
대사문
(大沙門)
:
1
‘비구’를 높여 이르는 말. (비구: 출가하여 구족계를 받은 남자 승려.)
2
석가모니를 신성하게 이르는 말.
🌏 大: 큰 대 沙: 모래 사 門: 문 문 -
대자대비
(大慈大悲)
:
넓고 커서 끝이 없는 부처와 보살의 자비. 특히 관세음보살이 중생을 사랑하고 불쌍히 여기는 마음을 이른다.
🌏 大: 큰 대 慈: 사랑할 자 大: 큰 대 悲: 슬플 비 -
대일당
(大日堂)
:
대일여래를 모신 당.
🌏 大: 큰 대 日: 날 일 堂: 집 당 -
대백의법
(大白衣法)
:
밀교에서, 백의관음을 본존으로 하여 기도하는 수행 방법. 천재(天災), 괴변(怪變)이나 일식, 월식이 있을 때 행하면 효험이 있다고 한다.
🌏 大: 큰 대 白: 흰 백 衣: 옷 의 法: 법도 법 -
대범고대
(大梵高臺)
:
대범천왕이 있는 높은 대.
🌏 大: 큰 대 梵: 범어 범 高: 높을 고 臺: 돈대 대 -
식대
(識大)
:
육대의 하나. 대상을 다르게 앎을 그 본질로 하고 경계에 대하여 인식함을 그 작용으로 한다.
🌏 識: 알 식 大: 큰 대 -
대흥선사
(大興善寺)
:
중국 장안(長安)에 있던 절. 수(隋)나라의 문제(文帝)가 창건하였으며, 수ㆍ당 시대를 통틀어 장안에서 가장 컸던 절이다.
🌏 大: 큰 대 興: 일어날 흥 善: 착할 선 寺: 절 사 -
대찰
(大刹)
:
규모가 크거나 이름난 절.
🌏 大: 큰 대 刹: 절 찰 -
대아
(大我)
:
1
인도 철학에서, 우주의 유일 절대의 본체를 이르는 말. 형이상학에서 그 본체를 개인의 아(我)에 귀결하여 이르는 것이다.
2
우주의 본체로서 참된 나. 사견이나 집착을 떠난 자유자재의 경지를 이른다.
🌏 大: 큰 대 我: 나 아 -
대장엄경론
(大莊嚴經論)
:
고대 인도의 고승 아슈바고샤가 지은 책. 인도 유식(唯識)의 중심 논서(論書)의 하나로 부처의 본생(本生) 및 여러 가지 인연, 비유, 설화 따위의 90종이 실려 있다. 13권.
🌏 大: 큰 대 莊: 씩씩할 장 嚴: 엄할 엄 經: 경서 경 論: 논의할 론 -
사대호원
(四大護院)
:
만다라를 수호하는 네 문의 금강신. 태장계 만다라의 13원 가운데 하나이다.
🌏 四: 넉 사 大: 큰 대 護: 보호할 호 院: 집 원 -
대지미진
(大地微塵)
:
대지를 가루처럼 부수어 얻어지는 무수한 먼지의 낱개들이란 뜻으로,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은 수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大: 큰 대 地: 땅 지 微: 작을 미 塵: 티끌 진 -
대승 오부
(大乘五部)
:
대승경의 다섯 가지 부류. 화엄부, 대집부, 반야부, 법화부, 열반부를 이른다.
🌏 大: 큰 대 乘: 탈 승 五: 다섯 오 部: 나눌 부 -
대흑천
(大黑天)
:
삼전신의 하나. 삼보(三寶)를 지켜 먹을 것을 넉넉하게 하는 신을 이른다. 검은 두건을 쓰고 망치를 들었으며, 쌀자루를 둘러메고 쌀가마니 위에 서 있는 모습이다.
🌏 大: 큰 대 黑: 검을 흑 天: 하늘 천 -
대중공양하다
(大衆供養하다)
:
신자(信者)가 여러 승려에게 음식을 차려 대접하다.
🌏 大: 큰 대 衆: 무리 중 供: 이바지할 공 養: 기를 양 -
관정대법왕자
(灌頂大法王子)
:
관정 의식을 치르고 부처의 제자가 된 왕자를 높여 이르는 말.
🌏 灌: 물댈 관 頂: 정수리 정 大: 큰 대 法: 법도 법 王: 임금 왕 子: 아들 자 -
대사조
(大師祖)
:
노스님의 스승. 증조항(曾祖行)이 되는 승려이다.
🌏 大: 큰 대 師: 스승 사 祖: 할아비 조
▹ 품사로 구분한 통계
▹ 글자수로 구분한 통계
💡한자 大 (큰 대)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5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4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361개입니다.
- 1 글자 4개 : 대
- 2 글자 764개 : 대풍, 대고, 대변, 대주, 대한, 대하, 대맥, 대모, 일대, 대선 3 글자 1,066개 4 글자 1,361개 5 글자 417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