兵 🌏한자(사자성어) 💡4 글자 213개
-
판병마사
(判兵馬事)
:
고려 시대에 둔, 도병마사의 으뜸 벼슬. 시중(侍中), 평장사, 참지정사, 정당문학이 겸하였다.
🌏 判: 판가름할 판 兵: 군사 병 馬: 말 마 事: 일 사 -
안병하다
(按兵하다)
:
진군하던 군대를 한곳에 멈추어 두다.
🌏 按: 누를 안 兵: 군사 병 -
헌병 학교
(憲兵學校)
:
헌병을 교육하고 훈련하는 학교.
🌏 憲: 법 헌 兵: 군사 병 學: 배울 학 校: 학교 교 -
폭격 병기
(爆擊兵器)
:
폭격기에 장비하여 폭격에 쓰는 병기. 폭탄, 투하 장치, 폭격 조준기 따위가 있다.
🌏 爆: 터질 폭 擊: 부딪칠 격 兵: 군사 병 器: 그릇 기 -
막막강병
(莫莫強兵)
:
아주 강한 군사.
🌏 莫: 없을 막 莫: 없을 막 強: 강할 강 兵: 군사 병 -
병역 거부
(兵役拒否)
:
종교적 신조나 반전사상적 입장에서 병역 의무를 거부하는 일.
🌏 兵: 군사 병 役: 부릴 역 拒: 막을 거 否: 아닐 부 -
판병부사
(判兵部事)
:
고려 시대에 둔, 상서병부의 으뜸 벼슬. 재신(宰臣)이 겸하였다.
🌏 判: 판가름할 판 兵: 군사 병 部: 나눌 부 事: 일 사 -
한인 아병
(漢人牙兵)
:
조선 효종 때에, 청나라를 피하여 조선에 귀화한 명나라 사람. 한강에서 고기잡이를 하여 생선을 나라에 진상하는 일을 맡아 하였다.
🌏 漢: 한나라 한 人: 사람 인 牙: 어금니 아 兵: 군사 병 -
원자 병기
(原子兵器)
:
원자 폭탄이나 수소 폭탄 따위의 핵반응으로 생기는 힘을 이용한 무기.
🌏 原: 근원 원 子: 아들 자 兵: 군사 병 器: 그릇 기 -
전몰장병
(戰歿將兵)
:
적과 싸우다 죽은 장병.
🌏 戰: 싸울 전 歿: 죽을 몰 將: 장수 장 兵: 군사 병 -
병정양족
(兵精糧足)
:
‘병정양족하다’의 어근. (병정양족하다: 병사는 정예하고 군량은 넉넉하다.)
🌏 兵: 군사 병 精: 찧을 정 糧: 양식 양 足: 발 족 -
헌병 참모
(憲兵參謀)
:
예전에, 헌병 참모부의 최고 지휘관.
🌏 憲: 법 헌 兵: 군사 병 參: 참여할 참 들쭉날쭉하다 참 謀: 꾀할 모 -
유도 병기
(誘導兵器)
:
무선, 레이다, 적외선 따위의 유도에 따라 목표물에 닿도록 만든 무기.
🌏 誘: 꾈 유 導: 이끌 도 兵: 군사 병 器: 그릇 기 -
기병하다
(起兵하다)
:
군사를 일으키다.
🌏 起: 일어날 기 兵: 군사 병 -
병마우후
(兵馬虞候)
:
조선 시대에 둔 정ㆍ종삼품 무관 벼슬. 세조 12년(1466)에 병마도절제사도진무를 고친 것이다.
🌏 兵: 군사 병 馬: 말 마 虞: 생각할 우 候: 기후 후 -
병조 판서
(兵曹判書)
:
조선 시대에 둔, 병조의 으뜸 벼슬. 품계는 정이품으로, 군사와 국방에 관한 일을 총괄하였다.
🌏 兵: 군사 병 曹: 무리 조 判: 판가름할 판 書: 글 서 -
이학 병기
(理學兵器)
:
전기, 광선 따위를 응용한 과학 병기.
🌏 理: 다스릴 이 學: 배울 학 兵: 군사 병 器: 그릇 기 -
병관좌평
(兵官佐平)
:
백제 때의 육좌평 가운데 지방의 병마(兵馬)를 맡아보던 으뜸 벼슬.
🌏 兵: 군사 병 官: 벼슬 관 佐: 도울 좌 平: 평평할 평 -
견갑이병
(堅甲利兵)
:
튼튼한 갑옷과 날카로운 무기를 갖춘 군사.
🌏 堅: 굳을 견 甲: 갑옷 갑 利: 이로울 이 兵: 군사 병 -
연병하다
(練兵하다/鍊兵하다)
:
군인으로서 전투에 필요한 여러 가지 동작이나 작업 따위를 훈련하다.
🌏 練: 익힐 련 익힐 연 兵: 군사 병 鍊: 불릴 련 불릴 연 兵: 군사 병 -
병역 제도
(兵役制度)
:
병력(兵力)을 채우는 데에 관한 제도. 강제병 제도와 자유병 또는 지원병 제도로 나누며, 강제병 제도는 다시 징병제와 민병제로 나누고, 자유병 제도는 의용병제와 용병제로 나눈다.
🌏 兵: 군사 병 役: 부릴 역 制: 억제할 제 度: 법도 도 -
도병마사
(都兵馬使)
:
고려 시대에, 국가의 군사 기밀과 국방상 중요한 일을 합의하던 중앙 회의 기구. 현종 때 설치하여 충렬왕 5년(1279)에 도평의사사로 고쳤다.
🌏 都: 도읍 도 兵: 군사 병 馬: 말 마 使: 부릴 사 -
전자 병기
(電子兵器)
:
전자를 이용하여 만든 군용 병기. 레이다, 청음기, 통신 장비 따위가 있다.
🌏 電: 번개 전 子: 아들 자 兵: 군사 병 器: 그릇 기 -
인병하다
(引兵하다)
:
군대를 철수하다.
🌏 引: 끌 인 兵: 군사 병 -
병참감실
(兵站監室)
:
예전에, 육군 본부에서 병참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특별 참모 부서.
🌏 兵: 군사 병 站: 우두커니 설 참 監: 볼 감 室: 집 실 -
해병 학교
(海兵學校)
:
예전에, 해병대의 장교 또는 그 후보자에게 해병대에 관한 전술을 가르치던 학교. 고도의 전술을 연구하기도 하였다.
🌏 海: 바다 해 兵: 군사 병 學: 배울 학 校: 학교 교 -
합병하다
(合兵하다)
:
둘 이상의 부대를 합쳐서 한 부대로 편성하다.
🌏 合: 합할 합 兵: 군사 병 -
조병하다
(調兵하다)
:
군대를 점검하여 훈련하거나 파견하다.
🌏 調: 고를 조 兵: 군사 병 -
가스 병기
(gas兵器)
:
독가스를 채운 폭탄이나 가스 방사기 따위의 무기.
🌏 兵: 군사 병 器: 그릇 기 -
병마평사
(兵馬評事)
:
조선 시대에, 병영의 사무와 그에 속한 군사를 감독하던 정육품 무관 벼슬. 세조 12년(1466)에 병마도사를 고친 것이다.
🌏 兵: 군사 병 馬: 말 마 評: 품평 평 事: 일 사 -
세병하다
(洗兵하다)
:
전쟁을 끝내다. 병기를 씻어서 거두어들인다는 뜻에서 나온 말이다.
🌏 洗: 씻을 세 兵: 군사 병 -
동병하다
(動兵하다)
:
군사를 일으키다.
🌏 動: 움직일 동 兵: 군사 병 -
지상 포병
(地上砲兵)
:
포, 박격포, 로켓포 따위의 무기로 무장한 육군의 포병 부대. 또는 그렇게 무장한 군인.
🌏 地: 땅 지 上: 위 상 砲: 돌쇠뇌 포 兵: 군사 병 -
주병하다
(駐兵하다)
:
군대가 일정한 지역에 주둔하다.
🌏 駐: 머무를 주 兵: 군사 병 -
병가자류
(兵家者流)
:
병학(兵學)에 정통한 사람.
🌏 兵: 군사 병 家: 집 가 者: 놈 자 流: 흐를 류 -
투병하다
(投兵하다)
:
병기(兵器)를 던지다.
🌏 投: 던질 투 兵: 군사 병 -
천병만마
(千兵萬馬)
:
천 명의 군사와 만 마리의 군마라는 뜻으로, 아주 많은 수의 군사와 군마를 이르는 말.
🌏 千: 일천 천 兵: 군사 병 萬: 일만 만 馬: 말 마 -
병장도설
(兵將圖說)
:
조선 성종 23년(1492)에 유자광 등이 왕명에 따라 편찬한 병서. 문종 때에 편찬된 ≪진법≫을 개정하여 간행하였다. 1책의 목판본.
🌏 兵: 군사 병 將: 장수 장 圖: 그림 도 說: 말씀 설 -
우주 병기
(宇宙兵器)
:
대기권 밖의 우주 공간에서 사용되는 무기를 통틀어 이르는 말. 전략 공격 위성, 정찰 위성, 경계 위성 따위가 있다.
🌏 宇: 집 우 宙: 집 주 兵: 군사 병 器: 그릇 기 -
병참 학교
(兵站學校)
:
육군의 병참에 관한 학술 및 기술 교육을 실시하는 학교.
🌏 兵: 군사 병 站: 우두커니 설 참 學: 배울 학 校: 학교 교 -
전파 병기
(電波兵器)
:
전파를 이용하는 통신기, 레이다, 암시(暗視) 망원경 따위의 병기.
🌏 電: 번개 전 波: 물결 파 兵: 군사 병 器: 그릇 기 -
광학 병기
(光學兵器)
:
빛의 성질을 응용하여 만든 병기. 망원경이나 작전용 사진기 따위가 있으며, 주로 적의 동향이나 정세를 파악하는 데에 쓰인다.
🌏 光: 빛 광 學: 배울 학 兵: 군사 병 器: 그릇 기 -
팔년병화
(八年兵火)
:
싸움이 오랫동안 계속되어도 승부가 나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중국에서, 항우와 유방의 싸움이 8년이나 걸린 데서 유래한다.
🌏 八: 여덟 팔 年: 해 년 兵: 군사 병 火: 불 화 -
후비 병역
(後備兵役)
:
예전에, 예비역을 마치고 복무하던 병역.
🌏 後: 뒤 후 備: 갖출 비 兵: 군사 병 役: 부릴 역 -
박격포병
(迫擊砲兵)
:
박격포 쏘는 임무를 맡은 포병.
🌏 迫: 닥칠 박 擊: 부딪칠 격 砲: 돌쇠뇌 포 兵: 군사 병 -
병영 국가
(兵營國家)
:
모든 면에서 군사적 관점이 우선인 국가. 현대에는 군국주의와 관료 통제가 결합하여 만들어진 국가의 형태를 이른다.
🌏 兵: 군사 병 營: 경영할 영 國: 나라 국 家: 집 가 -
촌병척철
(寸兵尺鐵)
:
약간의 무기.
🌏 寸: 마디 촌 兵: 군사 병 尺: 자 척 鐵: 쇠 철 -
치중병대
(輜重兵隊)
:
조선 후기에, 군수품을 실어 나르던 군대.
🌏 輜: 짐수레 치 重: 무거울 중 중요할 중 점잖을 중 삼갈 중 어려울 중 거듭 중 아낄 중 숭상할 중 兵: 군사 병 隊: 떼 대 -
근수병정
(跟隨兵丁)
:
벼슬아치가 외출할 때에 호위하던 병정.
🌏 跟: 발꿈치 근 隨: 따를 수 兵: 군사 병 丁: 고무래 정 -
병가상사
(兵家常事)
:
1
군사 전문가도 전쟁에서 이기고 지는 일은 흔히 있는 일임을 이르는 말.
2
실패하는 일은 흔히 있으므로 낙심할 것이 없다는 말.
🌏 兵: 군사 병 家: 집 가 常: 항상 상 事: 일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