作 🌏한자(사자성어) 💡농업 분야 200개
-
기호 작물
(嗜好作物)
:
술, 담배, 커피 따위의 기호품을 얻기 위하여 가꾸는 작물.
🌏 嗜: 즐길 기 好: 좋을 호 作: 지을 작 物: 만물 물 -
단작
(單作)
:
1
같은 땅에서 1년에 농작물을 한 번 심어 거둠. 또는 그런 방식.
2
한 농경지에 한 종류의 농작물만을 심어 가꾸는 일.
🌏 單: 홑 단 作: 지을 작 -
편모작
(片毛作)
:
같은 땅에서 1년에 농작물을 한 번 심어 거둠. 또는 그런 방식.
🌏 片: 조각 편 毛: 털 모 作: 지을 작 -
농작물 건조제
(農作物乾燥劑)
:
일찍 수확하기 위하여 농작물을 빨리 건조시키는 약제. 성숙기에 이른 농작물의 잎이나 줄기에 처리한다.
🌏 農: 농사 농 作: 지을 작 物: 만물 물 乾: 하늘 건 마를 건 燥: 마를 조 劑: 약지을 제 -
전대작
(轉貸作)
:
소작인이 자기가 소작 부치던 땅을 다시 다른 사람에게 소작을 주는 일.
🌏 轉: 구를 전 貸: 빌릴 대 作: 지을 작 -
적기 적작
(適期適作)
:
농업 생산에서 가장 높은 수확을 얻을 수 있도록 농작물의 특성과 자연적 조건 및 적당한 시기를 고려하여 알맞은 작물을 심어 가꾸는 일.
🌏 適: 갈 적 期: 기약할 기 適: 갈 적 作: 지을 작 -
대작물
(代作物)
:
1
대신하여 만든 물건이나 지은 작품.
2
대용갈이를 한 곡식.
🌏 代: 대신할 대 作: 지을 작 物: 만물 물 -
복작식
(複作式)
:
같은 시기에 한 토지에 두 가지 이상의 곡식이나 채소를 심는 방식.
🌏 複: 겹옷 복 作: 지을 작 式: 법 식 -
이모작형
(二毛作型)
:
같은 땅에서 1년에 두 번 곡물을 재배하여 수확하는 토지 이용 유형.
🌏 二: 두 이 毛: 털 모 作: 지을 작 型: 거푸집 형 -
윤작법
(輪作法)
:
돌려짓기를 하는 방법.
🌏 輪: 바퀴 윤 作: 지을 작 法: 법도 법 -
연기 소작
(年期小作)
:
지주가 일정 기한을 정하여 소작인에게 땅을 빌려주고 경작을 시키는 소작.
🌏 年: 해 연 期: 기약할 기 小: 작을 소 作: 지을 작 -
진타작
(진打作)
:
베어 말릴 사이 없이 물벼 그대로 이삭을 떨어서 낟알을 거둠. 또는 그 타작 방법.
🌏 打: 칠 타 作: 지을 작 -
도작
(稻作)
:
벼를 심어 가꾸고 거두는 일.
🌏 稻: 벼 도 作: 지을 작 -
사료 작물
(飼料作物)
:
사료로 쓰기 위하여 재배하는 작물.
🌏 飼: 먹일 사 料: 되질할 료 作: 지을 작 物: 만물 물 -
비료 작물
(肥料作物)
:
녹비로 쓰기 위하여 가꾸는 작물. 연맥, 자운영 따위가 있다.
🌏 肥: 살찔 비 料: 되질할 료 作: 지을 작 物: 만물 물 -
상품 작물
(商品作物)
:
시장에 내다 팔기 위하여 재배하는 농작물.
🌏 商: 장사 상 品: 물건 품 作: 지을 작 物: 만물 물 -
환금 작물
(換金作物)
:
시장에 내다 팔기 위하여 재배하는 농작물.
🌏 換: 바꿀 환 金: 쇠 금 作: 지을 작 物: 만물 물 -
내한성 작물
(耐寒性作物)
:
추위에 잘 견디는 작물. 보리, 밀, 시금치 따위가 있다.
🌏 耐: 견딜 내 寒: 찰 한 性: 성품 성 作: 지을 작 物: 만물 물 -
사면경작
(斜面耕作)
:
몹시 비탈진 땅을 이용하여 농사를 짓는 일.
🌏 斜: 비낄 사 面: 낯 면 耕: 밭갈 경 作: 지을 작 -
전작지
(田作地)
:
밭농사를 짓는 땅.
🌏 田: 밭 전 作: 지을 작 地: 땅 지 -
타작하다
(打作하다)
:
1
곡식의 이삭을 떨어서 낟알을 거두다.
2
지주가 소작인에게 소작료를 수확량의 절반으로 매기다.
🌏 打: 칠 타 作: 지을 작 -
공동 경작지
(共同耕作地)
:
공동으로 소유하고 농사짓는 땅.
🌏 共: 함께 공 同: 같을 동 耕: 밭갈 경 作: 지을 작 地: 땅 지 -
혼작식
(混作式)
:
생육 기간이 거의 같은 두 종류 이상의 작물을 동시에 한곳에서 심어 가꾸는 농사 방식.
🌏 混: 섞을 혼 作: 지을 작 式: 법 식 -
작물 재배학
(作物栽培學)
:
농작물의 재배 원리 및 재배 기술을 연구하는 학문. 농학의 한 분야이다.
🌏 作: 지을 작 物: 만물 물 栽: 심을 재 培: 북돋울 배 學: 배울 학 -
물타작
(물打作)
:
베어 말릴 사이 없이 물벼 그대로 이삭을 떨어서 낟알을 거둠. 또는 그 타작 방법.
🌏 打: 칠 타 作: 지을 작 -
혼작하다
(混作하다)
:
한곳에 두 가지 이상의 작물을 심다.
🌏 混: 섞을 혼 作: 지을 작 -
간년작
(間年作)
:
한 해씩 걸러서 농사를 지음.
🌏 間: 사이 간 年: 해 년 作: 지을 작 -
간혼작
(間混作)
:
간작(間作)과 혼작(混作)을 아울러 이르는 말.
🌏 間: 사이 간 混: 섞을 혼 作: 지을 작 -
단작 농업
(單作農業)
:
한 종류의 농작물만을 재배하는 농업 경영 방법.
🌏 單: 홑 단 作: 지을 작 農: 농사 농 業: 업 업 -
전작물
(前作物)
:
그루갈이를 할 때에 먼저 재배하는 농작물.
🌏 前: 앞 전 作: 지을 작 物: 만물 물 -
분작
(分作)
:
한 뙈기의 논밭을 서로 나누어서 농사를 지음.
🌏 分: 나눌 분 作: 지을 작 -
경작 면적
(耕作面積)
:
실제로 농사짓는 땅의 넓이.
🌏 耕: 밭갈 경 作: 지을 작 面: 낯 면 積: 쌓을 적 -
내건성 작물
(耐乾性作物)
:
가물에도 잘 견디는 특성을 지닌 작물.
🌏 耐: 견딜 내 乾: 하늘 건 마를 건 性: 성품 성 作: 지을 작 物: 만물 물 -
잠작
(蠶作)
:
누에를 치는 일.
🌏 蠶: 누에 잠 作: 지을 작 -
공동 경작
(共同耕作)
:
둘 이상의 농가(農家)나 마을 전체가 논이나 밭을 공동으로 소유하고 함께 농사짓는 일.
🌏 共: 함께 공 同: 같을 동 耕: 밭갈 경 作: 지을 작 -
공동 소작
(共同小作)
:
두 사람 이상이 함께 땅을 빌리어 농사짓는 일.
🌏 共: 함께 공 同: 같을 동 小: 작을 소 作: 지을 작 -
작답
(作畓)
:
땅을 일구어 논을 만드는 일.
🌏 作: 지을 작 畓: 논 답 -
마른타작하다
(마른打作하다)
:
벤 벼를 바싹 말린 후에 하는 타작을 하다.
🌏 打: 칠 타 作: 지을 작 -
구황 작물
(救荒作物)
:
흉년 따위로 기근이 심할 때 주식물 대신 먹을 수 있는 농작물. 가뭄이나 장마에 영향을 받지 않고, 걸지 않은 땅에서도 가꿀 수 있는 작물로서, 이에는 감자, 메밀 따위가 있다.
🌏 救: 구원할 구 荒: 거칠 황 作: 지을 작 物: 만물 물 -
작물 한계
(作物限界)
:
지형이나 기후 조건 따위에 의하여 제한ㆍ지배되는 작물 재배의 한계.
🌏 作: 지을 작 物: 만물 물 限: 한계 한 界: 경계 계 -
주년작
(週年作)
:
같은 농작물을 같은 땅에서 한 해에 몇 번이고 계속 심어서 수확하는 농사법.
🌏 週: 돌 주 年: 해 년 作: 지을 작 -
경작 제도
(耕作制度)
:
농작물의 선택, 씨 뿌리는 순서, 농사짓는 면적의 비례 따위를 정하는 제도. 원제(園制), 수원제(樹園制), 대전제(代田制), 일모제, 이모제 따위가 있다.
🌏 耕: 밭갈 경 作: 지을 작 制: 억제할 제 度: 법도 도 -
한지성 작물
(寒地性作物)
:
추운 지방에서 짓는 농업에 적합한 농작물. 보리, 밀, 귀리, 옥수수, 조 따위가 있다.
🌏 寒: 찰 한 地: 땅 지 性: 성품 성 作: 지을 작 物: 만물 물 -
하계 작물
(夏季作物)
:
여름에 수확하는 농작물. 밀, 보리, 감자 따위가 있다.
🌏 夏: 여름 하 季: 계절 계 作: 지을 작 物: 만물 물 -
작답하다
(作畓하다)
:
땅을 일구어 논을 만들다.
🌏 作: 지을 작 畓: 논 답 -
혼작
(混作)
:
한곳에 두 가지 이상의 작물을 심는 일.
🌏 混: 섞을 혼 作: 지을 작 -
간혼작하다
(間混作하다)
:
1
간작(間作)하거나 혼작(混作)하다.
2
간작과 혼작을 같이 하다.
🌏 間: 사이 간 混: 섞을 혼 作: 지을 작 -
광작하다
(廣作하다)
:
1
농사를 많이 짓다.
2
조선 후기에, 벼농사에서 이앙법의 보급으로 노동력이 절약되어 농지를 확대하여 농사를 짓다.
🌏 廣: 넓을 광 作: 지을 작 -
마른타작
(마른打作)
:
벤 벼를 바싹 말린 후에 하는 타작.
🌏 打: 칠 타 作: 지을 작 -
청부 경작
(請負耕作)
:
모심기에서 추수까지의 벼농사를 계약에 의하여 청부하는 형태.
🌏 請: 청할 청 負: 짐질 부 耕: 밭갈 경 作: 지을 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