三 🌏한자(사자성어) 💡불교 분야 342개
-
삼삼매 해탈
(三三昧解脫)
:
삼 해탈문의 하나. 모든 법(法)은 공(空)으로서 차별상(差別相)이 없다고 보고, 자재경(自在境)에 들어가는 선정(禪定)을 이른다.
🌏 三: 석 삼 三: 석 삼 昧: 어두울 매 解: 풀 해 脫: 벗을 탈 -
삼유
(三有)
:
1
삼계(三界)에서 제각기 생존하는 모습. 욕계의 생존인 욕유(欲有), 색계의 생존인 색유(色有), 무색계의 생존인 무색유(無色有)이다.
2
본유(本有), 당유(當有), 사유(死有)의 세 가지를 통틀어 이르는 말.
3
생유(生有), 중유(中有), 사유(死有)의 세 가지를 통틀어 이르는 말.
🌏 三: 석 삼 有: 있을 유 -
오십삼불
(五十三佛)
:
1
아미타불의 스승인 세자재대왕 이전에 있었던 정광여래에서 처세여래에 이르기까지의 쉰셋의 부처.
2
금강산 유점사에 있는 쉰세 개의 불상. 인도의 문수 대사가 순금으로 만들어 보낸 것이라고 한다.
🌏 五: 다섯 오 十: 열 십 三: 석 삼 佛: 부처 불 -
삼사계
(三事戒)
:
몸, 입, 뜻의 세 가지에 대하여 지켜야 할 계율.
🌏 三: 석 삼 事: 일 사 戒: 경계할 계 -
일행삼례
(一行三禮)
:
불경을 베껴 쓸 때에, 한 줄마다 세 번씩 절하는 일.
🌏 一: 하나 일 行: 다닐 행 三: 석 삼 禮: 예도 례 -
나무삼
(南無三)
:
불(佛), 법(法), 승(僧)의 삼보에 돌아가 의지함.
🌏 南: 無: 없을 무 三: 석 삼 -
삼십삼신
(三十三身)
:
관세음보살이 중생을 제도하기 위하여 바꾸어 나타내는 서른세 가지의 몸.
🌏 三: 석 삼 十: 열 십 三: 석 삼 身: 몸 신 -
삼매경
(三昧境)
:
잡념을 떠나서 오직 하나의 대상에만 정신을 집중하는 경지. 이 경지에서 바른 지혜를 얻고 대상을 올바르게 파악하게 된다.
🌏 三: 석 삼 昧: 어두울 매 境: 지경 경 -
삼마야
(三摩耶)
:
1
밀교에서, 본원(本願) 또는 평등을 이르는 말.
2
어느 한때라는 뜻으로, 경전의 첫머리에 쓰는 말.
🌏 三: 석 삼 摩: 갈 마 耶: 어조사 야 -
삼십삼 관음
(三十三觀音)
:
불화(佛畫)에 나타난 서른세 가지 모습의 관세음보살.
🌏 三: 석 삼 十: 열 십 三: 석 삼 觀: 볼 관 音: 소리 음 -
일삼매
(一三昧)
:
한 가지 일에 마음으로 불도를 닦는 일.
🌏 一: 하나 일 三: 석 삼 昧: 어두울 매 -
삼면 대흑
(三面大黑)
:
세 개의 얼굴을 가진 대흑천(大黑天).
🌏 三: 석 삼 面: 낯 면 大: 큰 대 黑: 검을 흑 -
삼직
(三職)
:
절의 주지를 돕는 세 직무. 교무(敎務), 총무, 재무이다.
🌏 三: 석 삼 職: 벼슬 직 -
삼가섭
(三迦葉)
:
우루빈라가섭(優樓頻螺迦葉), 나제가섭(那提迦葉), 가야가섭(伽耶迦葉)의 삼 형제. 본래 외도(外道)의 무리였으나, 성도(成道)한 석가모니의 가르침을 받고 그 제자가 되었다.
🌏 三: 석 삼 迦: 부처 이름 가 葉: 고을 이름 섭 -
삼귀의
(三歸依)
:
불(佛), 법(法), 승(僧)의 삼보(三寶)에 돌아가 의지함. ‘귀의불’, ‘귀의법’, ‘귀의승’을 이른다. (귀의불: 삼귀의(三歸依)의 하나. 부처에 돌아가 의지하는 일을 이른다., 귀의할 부처.)
🌏 三: 석 삼 歸: 돌아올 귀 依: 의지할 의 -
삼계유심
(三界唯心)
:
삼계의 삼라만상은 모두 자기 마음에 반영된 현상이므로 마음밖에 따로 삼계가 없다는 말.
🌏 三: 석 삼 界: 경계 계 唯: 오직 유 心: 마음 심 -
삼무
(三無)
:
1
무성(無聲)의 음악과, 무체(無體)의 예(禮)와, 무복(無服)의 상(喪)을 통틀어 이르는 말. 곧 형체는 없고 그 정신만 있음을 이른다.
2
무기(無記), 무리(無利), 무익(無益)을 통틀어 이르는 말.
🌏 三: 석 삼 無: 없을 무 -
삼악
(三惡)
:
악인이 죽어서 가는 세 가지의 괴로운 세계. 지옥도, 축생도, 아귀도이다.
🌏 三: 석 삼 惡: 악할 악 -
삼혜
(三慧)
:
부처의 가르침을 깨달아 아는 세 가지 지혜. 문혜, 사혜, 수혜를 이른다.
🌏 三: 석 삼 慧: 슬기로울 혜 -
삼현
(三賢)
:
1
대승 불교에서, 십주, 십행, 십회향의 수행 지위에 있는 보살을 통틀어 이르는 말.
2
소승 불교의 수행론에서, 진리를 발견하기 위한 준비 단계인 세 가지 기초 수행. 오정심관(五停心觀), 별상염주(別相念住), 총상염주(總相念住)이다.
🌏 三: 석 삼 賢: 어질 현 -
대삼재
(大三災)
:
화재, 수재, 풍재의 세 가지 재앙.
🌏 大: 큰 대 三: 석 삼 災: 재앙 재 -
삼업
(三業)
:
몸, 입, 뜻으로 짓는 세 가지 업. 신업(身業), 구업(口業), 의업(意業)이다.
🌏 三: 석 삼 業: 업 업 -
법화 삼매
(法華三昧)
:
법화경을 꾸준히 읽어서 그 묘한 이치를 깨닫는 일.
🌏 法: 법도 법 華: 빛날 화 三: 석 삼 昧: 어두울 매 -
삼론
(三論)
:
삼론종의 주요 경전 세 가지. ≪중관론≫, ≪십이문론≫, ≪백론≫을 이른다.
🌏 三: 석 삼 論: 논의할 론 -
입정 삼매
(入定三昧)
:
마음을 한곳에 정해서 삼업(三業)을 그치고 삼매경에 잠김.
🌏 入: 들 입 定: 정할 정 三: 석 삼 昧: 어두울 매 -
삼재
(三災)
:
1
화재, 수재, 풍재의 세 가지 재앙.
2
사람에게 닥치는 세 가지 재해. 도병(刀兵), 기근(饑饉), 질역(疾疫)이 있으며 십이지(十二支)에 따라 든다.
🌏 三: 석 삼 災: 재앙 재 -
삼악각
(三惡覺)
:
남에게 번뇌를 끼치는 세 가지 허물. 욕각, 진각, 해각이다.
🌏 三: 석 삼 惡: 악할 악 覺: 깨달을 각 -
삼단
(三檀)
:
세 가지의 보시. 재시(財施), 법시(法施), 무외시(無畏施)이다.
🌏 三: 석 삼 檀: 박달나무 단 -
삼대겁
(三大劫)
:
과거의 장엄겁, 현재의 현겁, 미래의 성수겁의 세 겁을 이르는 말.
🌏 三: 석 삼 大: 큰 대 劫: 겁탈할 겁 -
삼먁삼보리
(三藐三菩提)
:
부처가 깨달은 지혜.
🌏 三: 석 삼 藐: 三: 석 삼 菩: 보리 보 提: -
석가 삼존
(釋迦三尊)
:
가운데의 석가모니불과 그 왼쪽의 문수보살, 오른쪽의 보현보살을 통틀어 이르는 말.
🌏 釋: 풀 석 迦: 부처 이름 가 三: 석 삼 尊: 높을 존 -
반주삼매
(般舟三昧)
:
7일 또는 90일 기간을 정하고 몸, 입, 뜻의 세 가지 업으로 마음을 가다듬어 바르고 온전하게 하는 일. 이것을 닦으면 눈앞에서 모든 부처를 만나고 교화를 받는다고 한다.
🌏 般: 옮길 반 舟: 배 주 三: 석 삼 昧: 어두울 매 -
진호국가 삼부경
(鎭護國家三部經)
:
나라를 지키는 세 경전. 법화경, 인왕반야경, 금광명경이다.
🌏 鎭: 누를 진 護: 보호할 호 國: 나라 국 家: 집 가 三: 석 삼 部: 나눌 부 經: 경서 경 -
삼밀행법
(三密行法)
:
삼밀의 법을 닦는 일.
🌏 三: 석 삼 密: 빽빽할 밀 行: 다닐 행 法: 법도 법 -
삼도내
(三途내)
:
사람이 죽어서 저승으로 가는 도중에 있는 큰 내. 극악(極惡)하지도 극선(極善)하지도 않은 사람이 건너게 되는데, 생전에 지은 업에 따라 세 가지 다른 여울이 정해진다.
🌏 三: 석 삼 途: 길 도 -
아유삼불
(阿惟三佛)
:
부처의 바르고 완전한 깨달음.
🌏 阿: 언덕 아 惟: 생각할 유 三: 석 삼 佛: 부처 불 -
득삼법인원
(得三法忍願)
:
시방(十方)의 보살들이 아미타불의 명호(名號)를 들으면 삼종(三種)의 법인(法忍)을 얻을 수 있게 하려는 서원(誓願). 아미타불의 48원(願) 가운데 마지막 원이다.
🌏 得: 얻을 득 三: 석 삼 法: 법도 법 忍: 참을 인 願: 바랄 원 -
여환 삼매
(如幻三昧)
:
요술사가 요술을 부리는 것처럼 작용이 자재한 삼매.
🌏 如: 같을 여 幻: 변할 환 三: 석 삼 昧: 어두울 매 -
삼악추
(三惡趣)
:
악인이 죽어서 가는 세 가지의 괴로운 세계. 지옥도, 축생도, 아귀도이다.
🌏 三: 석 삼 惡: 악할 악 趣: 빨리갈 추 향할 추 주대에왕의말을관장하던벼슬 추 야경을돌다 추 -
삼업계
(三業戒)
:
몸, 입, 뜻의 세 가지에 대하여 지켜야 할 계율.
🌏 三: 석 삼 業: 업 업 戒: 경계할 계 -
삼보 사찰
(三寶寺刹)
:
불보(佛寶) 사찰인 통도사, 법보 사찰인 해인사, 승보 사찰인 송광사를 통틀어 이르는 말.
🌏 三: 석 삼 寶: 보배 보 寺: 절 사 刹: 절 찰 -
삼종색
(三種色)
:
물질적 존재를 세 가지의 범주로 나눈 것. 오근, 오경, 무표색이다.
🌏 三: 석 삼 種: 씨 종 色: 빛 색 -
미타 삼존
(彌陀三尊)
:
중앙에 있는 아미타불과 그를 좌우에서 모시는 대세지보살과 관세음보살을 통틀어 이르는 말.
🌏 彌: 두루 미 陀: 비탈질 타 三: 석 삼 尊: 높을 존 -
삼시법
(三時法)
:
석가모니가 열반한 뒤에 불교가 전개되는 상황을 기준으로 하여 나눈 세 시기. 정법시, 상법시, 말법시이다.
🌏 三: 석 삼 時: 때 시 法: 법도 법 -
삼법인
(三法印)
:
소승 불교에서, 중요시하는 불교의 세 가지 근본 교의(敎義). 무상인, 무아인, 열반인을 이른다.
🌏 三: 석 삼 法: 법도 법 印: 도장 인 -
삼계팔고
(三界八苦)
:
중생이 생사 왕래한다는 삼계에서 가장 힘이 드는 여덟 가지의 고통.
🌏 三: 석 삼 界: 경계 계 八: 여덟 팔 苦: 괴로울 고 -
삼재월
(三齋月)
:
초하루에서 보름까지 팔계(八戒)를 지키며 심신을 깨끗이 하고 선행을 하는, 음력 정월ㆍ오월ㆍ구월의 석 달.
🌏 三: 석 삼 齋: 재계할 재 月: 달 월 -
삼종
(三宗)
:
존재의 실상에 대해 설명하는 세 가지의 교의(敎義). 법상종, 법성종, 파상종이다.
🌏 三: 석 삼 宗: 마루 종 -
삼취 정계
(三聚淨戒)
:
대승보살계의 세 가지 기본적인 개념. 섭률의계, 섭선법계, 섭중생계이다.
🌏 三: 석 삼 聚: 모일 취 淨: 깨끗할 정 戒: 경계할 계 -
일자삼례
(一字三禮)
:
불경을 베끼어 쓸 때에, 한 글자를 쓸 때마다 세 번씩 절하는 일.
🌏 一: 하나 일 字: 글자 자 三: 석 삼 禮: 예도 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