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 🌾끝 단어 738개
- 설하 (泄下) : 1 변에 포함된 수분의 양이 많아져서 변이 액상(液狀)으로 된 경우. 또는 그 변. 소화 불량이나 세균 감염으로 인해 장에서 물과 염분 따위가 충분히 흡수되지 않을 때나 소장이나 대장으로부터의 분비액이 늘어나거나 장관(腸管)의 꿈틀 운동이 활발해졌을 때 일어난다. 2 사기(邪氣)를 아래로 빼내는 치료 방법.
- 양기하 (梁基瑕) : 독립운동가(1878~1932). 호는 하산(荷山). 공주군수를 지내다가 국권을 강탈당하자 만주로 망명하여 항일 무장 투쟁을 지휘하였다.
- 불분상하 (不分上下) : 위아래를 구분하지 못함.
- 막가내하 (莫可奈何) : 달리 어찌할 수 없음.
- 형이하 (形而下) : 형체를 갖추어 나타나 있는 물질의 영역.
- 일하 (一夏) : 승려들이 음력 4월 15일부터 7월 15일까지 일정한 곳에 머물며 수도(修道)하는 일.
- 신하 (臣下) : 임금을 섬기어 벼슬하는 사람.
- 산하 (傘下) : 어떤 조직체나 세력의 관할 아래.
- 교룡하 (蛟龍瘕) : 미나리에 붙은 도롱뇽의 알을 먹어서 얼굴이 누레지거나 푸르러지며 배가 부어오르는 병.
- 증기압 강하 (蒸氣壓降下) : 어떤 액체에 휘발성이 없는 물질이 녹아 있을 때, 그 용액의 증기 압력이 순수한 용매의 증기 압력에 비해 감소하는 것.
- 삼분천하 (三分天下) : 한 나라를 세 사람의 군주나 영걸(英傑)이 나누어 차지함.
- 공간 전하 (空間電荷) : 일정한 공간에 분포하고 있는 전기를 띤 입자 또는 전하. 특히 전자관이나 방전관 속의 전자군 또는 이온군의 전하를 이른다.
- 권재족하 (權在足下) : 권한은 오로지 상대편에게 있다는 뜻으로, 남의 도움을 청할 때에 쓰는 말.
- 장하 (長夏) : 1 해가 긴 여름. 2 음력 6월을 달리 이르는 말.
- 유중불하 (留中不下) : 임금이 상소(上疏)를 관계 기관에 회부하지 아니하던 일. 상소 내용이 마음에 맞지 않을 때 비답(祕答)을 내리지 않기 위하여, 상소한 글을 묵살하였다.
- 내륙하 (內陸河) : 바다에까지 이르지 못하고 내륙 유역을 흐르는 하천. 건조 지역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물이 흐르는 도중에 증발하여 무수천(無水川)이 되거나 지하로 스며들어 무미천(無尾川)이 된다. 우랄강, 타림강 따위가 있다.
- 포의불하 (胞衣不下) : 아이를 낳은 뒤에 비교적 오랜 시간이 지나도 태반이 나오지 아니함.
- 폄하 (貶下) : 1 가치를 깎아내림. 2 치적이 좋지 못한 수령을 하등으로 깎아내리던 일.
- 불평형 부하 (不平衡負荷) : 교류 회로망에서 각각의 상(相)의 부하 저항이 다른 부하. 삼상 교류 회로에 이 부하가 걸리면 중성점 전압이 나타나 부정적 영향을 주며, 상 간의 과다한 전기 에너지 공급을 막기 위하여서는 선로 보강이 필요하다.
- 공하 (恐嚇) : 힘으로 으르고 협박함.
- 함하 (頷下) : 남이 먹다 남긴 음식.
- 달하 (達下) : 왕세자의 재가(裁可).
- 청하 (淸夏) : 맑고 산뜻한 초여름.
- 삼일천하 (三日天下) : 1 개화당이 갑신정변으로 3일 동안 정권을 잡은 일. 2 정권을 잡았다가 짧은 기간 내에 밀려나게 됨을 이르는 말. 3 어떤 지위에 발탁ㆍ기용되었다가 며칠 못 가서 떨어지는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편모슬하 (偏母膝下) : 홀로 남은 어머니를 모시고 있는 처지.
- 유즙불하 (乳汁不下) : ‘젖분비저하’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 (젖분비 저하: 젖의 분비량이 적은 상태. 보통 신생아가 젖을 빠는 힘이 약하거나 산모가 정신적으로 불안정할 때 나타나며, 초산부보다 경산부(經産婦)에게 많이 나타난다.)
- 연하 (燕賀) : 제비가 사람이 집을 짓는 것을 축하하며 기뻐한다는 뜻으로, 남이 집을 지은 것을 축하하는 말.
- 인하 (引下) : 1 물건 따위를 끌어 내림. 2 가격 따위를 낮춤.
- 장하 (杖下) : 예전에, 곤장으로 매를 맞는 그 자리.
- 장하 (裝荷) : 전화의 통화 상태를 좋게 하기 위하여 인공적으로 선로에 부가한 유도량을 증가시켜 선로 손실을 경감하는 것.
- 천하 (天河) : ‘은하’를 강(江)에 비유하여 일상적으로 이르는 말. (은하: 천구(天球) 위에 구름 띠 모양으로 길게 분포되어 있는 수많은 천체의 무리.)
- 읍하 (邑下) : 조선 시대에, 관찰 관아가 아닌 지방 관아가 있던 마을.
- 내하 (來夏) : 다가오는 여름.
- 급강하 (急降下) : 1 기온이나 가격, 비율 따위가 갑자기 내려감. 2 비행기 따위가 아래를 향하여 갑자기 빠른 속도로 내려감.
- 도하 (Doha) : 카타르반도(Qatar半島)의 동쪽 연안에 있는 항구 도시. 금융 기관, 발전소, 공항 따위와 바닷물로 음료를 만드는 시설이 있다. 카타르의 수도이다.
- 와하하 : 거리낌 없이 크고 떠들썩하게 웃는 소리. 또는 그 모양.
- 화하 (華夏) : ‘화샤’를 우리 한자음으로 읽은 이름. (화샤: ‘중국’의 다른 이름. (중국: 아시아 동부에 있는 나라. 황허강(黃河江)을 중심으로 고대 문명이 일어난 곳으로, 전설적인 삼황오제 시대를 시작으로 하나라ㆍ은나라ㆍ주나라ㆍ춘추 전국 시대ㆍ진(秦)나라ㆍ한나라ㆍ삼국 시대ㆍ진(晉)나라ㆍ남북조 시대ㆍ수나라ㆍ당나라ㆍ오대(五代)ㆍ송나라ㆍ원나라ㆍ명나라ㆍ청나라를 거쳐 1912년에 중화민국이 성립되었다. 그 뒤 1949년에 중국 공산당이 대륙을 장악하여 중국 본토에 중화 인민 공화국을 세우고, 국민 정부는 타이완으로 옮겼다. 광대한 영토에 농산물, 지하자원 따위의 각종 자원이 풍부하다., 아시아 동북부에 있는 인민 공화국. 1949년에 마오쩌둥(毛澤東)이 이끄는 중국 공산당이 국민당을 몰아내고 중국 본토에 세운 국가이다. 매우 광대한 영토로, 신장(新疆)ㆍ내몽골 따위의 변방은 건조ㆍ사막 지대이고, 동부의 화베이(華北) 지방은 대륙성 기후 지역이며, 화중(華中)ㆍ화난(華南) 지방은 아열대 기후로 농업이 발달하였다. 근래에는 공업화가 진전되면서 급속한 경제 성장을 보이고 있다. 수도는 베이징, 면적은 959만 6961㎢.))
- 하 : 입을 크게 벌리고 입김을 한 번 내어 부는 소리. 또는 그 모양.
- 중하 (重荷) : 1 어렵고 무거운 부담. 2 무거운 짐.
- 염하 (炎夏) : 더운 여름. 또는 여름의 더위.
- 이하 (圯下) : 흙다리 밑.
- 요스테달 빙하 (Jostedal氷河) : 노르웨이 남부에 있는 큰 빙원. 불규칙한 형태로 펼쳐져 있으며 아이슬란드를 제외하고는 유럽에서 가장 큰 빙원이다. 길이는 약 75km, 총면적은 약 1040~1300㎢.
- 열하 (熱河) : → 러허. (러허: ‘청더’의 옛 이름.)
- 승상기하 (承上起下) : 앞의 문장을 받아서 뒤의 문장을 지어 나감.
- 엄시하 (嚴侍下) : 어머니는 돌아가시고 아버지만 살아 계신 사람. 또는 그런 처지.
- 칼레도니아 운하 (Caledonian運河) : 영국 스코틀랜드 북부의 칼레도니아 지협(地峽)을 뚫고 나가 대서양과 북해를 이어 주는 운하. 호수를 이용하여 형성된 수문식 운하이다. 길이는 97km.
- 대하 (臺下) : 대의 아래.
- 바하 : → 바흐. (바흐: 독일의 작곡가(1685~1750). 많은 종교곡, 기악곡 소나타, 협주곡, 관현악 모음곡 따위를 썼고, 대위법 음악을 완성하여 바로크 음악의 정상에 올랐다. 작품으로 <마태 수난곡>,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부활제> 따위가 있다.)
- 타하 (駝荷) : 낙타에 실은 짐.
- 사천하 (四天下) : 수미산을 중심으로 한 사방의 세계. 남쪽의 섬부주(贍部洲), 동쪽의 승신주(勝神洲), 서쪽의 우화주(牛貨洲), 북쪽의 구로주(俱盧洲)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