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다 🌾끝 단어 48,666개
- 후줄근하다 : 1 옷이나 종이 따위가 약간 젖거나 풀기가 빠져 아주 보기 흉하게 축 늘어져 있다. 2 몹시 지치고 고단하여 몸이 축 늘어질 정도로 아주 힘이 없다.
- 께질께질하다 : 1 ‘께지럭께지럭하다’의 준말. (께지럭께지럭하다: 달갑지 않은 음식을 억지로 자꾸 굼뜨게 먹다.) 2 ‘께지럭께지럭하다’의 준말. (께지럭께지럭하다: 달갑지 않은 듯이 자꾸 굼뜨고 게으르게 행동하다.)
- 기색하다 (枳塞하다) : 벼슬길이 막히다.
- 저금하다 (貯金하다) : 1 돈을 모아 두다. 2 금융 기관에 돈을 맡기다.
- 파삭하다 : 1 메말라 바스러지기 쉽게 보송보송하다. 2 보송보송한 물건이 가볍게 바스러지거나 깨지는 소리가 나다. 또는 그런 소리를 내다. ‘바삭하다’보다 거센 느낌을 준다. (바삭하다: 보송보송한 물건이 가볍게 바스러지거나 깨지는 소리가 나다. 또는 그런 소리를 내다.) 3 가랑잎이나 마른 검불 따위의 잘 마른 물건을 가볍게 밟는 소리가 나다. 또는 그런 소리를 내다. ‘바삭하다’보다 거센 느낌을 준다. (바삭하다: 가랑잎이나 마른 검불 따위의 잘 마른 물건을 가볍게 밟는 소리가 나다. 또는 그런 소리를 내다.) ... (총 4개의 의미)
- 결음하다 (訣飮하다) : 이별의 술을 마시다.
- 측루하다 (側陋하다) : 1 신분이 낮고 비천하다. 2 궁벽하고 좁다.
- 출사하다 (出仕하다) : 벼슬을 하여 관청에 출근하다.
- 개표하다 (改票하다) : 차표 또는 입장권 따위를 들어가는 입구에서 검사하다.
- 잔걱정하다 : 자질구레한 걱정을 하다.
- 기우뚱하다 : 1 물체가 한쪽으로 약간 기울어져 있다. 2 물체가 한쪽으로 약간 기울어지다. 또는 그렇게 하다.
- 성사하다 (成事하다) : 일이 이루어지다. 또는 일을 이루다.
- 후송하다 (後送하다) : 1 적군과 맞대고 있는 지역에서 부상자, 전리품, 포로 따위를 후방으로 보내다. 2 뒤에 보내다.
- 잡혈하다 (雜血하다) : 서로 인종이 다른 혈통이 섞이다.
- 기서하다 (起誓하다) : 맹세를 다지다.
- 생끗뱅끗하다 : 눈과 입을 살며시 움직이며 소리 없이 가볍고 귀엽게 웃다. ‘생긋뱅긋하다’보다 조금 센 느낌을 준다. (생긋뱅긋하다: 눈과 입을 살며시 움직이며 소리 없이 가볍고 귀엽게 웃다.)
- 만지작만지작하다 : 자꾸 가볍게 주무르듯이 만지다.
- 푸득하다 : 1 ‘푸드득하다’의 준말. (푸드득하다: 힘들여 무른 똥을 누는 소리가 나다. 또는 그런 소리를 내다. ‘부드득하다’보다 거센 느낌을 준다. (부드득하다: 힘들여 무른 똥을 누는 소리가 나다. 또는 그런 소리를 내다.)) 2 ‘푸드득하다’의 준말. (푸드득하다: 든든하고 질기거나 번드러운 물건을 되게 문지르거나 마주 가는 소리가 나다. 또는 그런 소리를 내다. ‘부드득하다’보다 거센 느낌을 준다. (부드득하다: 든든하고 질기거나 번드러운 물건을 되게 문지르거나 마주 가는 소리가 나다. 또는 그런 소리를 내다.))
- 권청하다 (勸請하다) : 1 신령이 내림(來臨)하기를 빌다. 2 신령의 영을 청하여 맞이하다. 3 지극한 정성으로 부처님께 설법해 주기를 청하다. ... (총 5개의 의미)
- 근신하다 (謹愼하다) : 1 말이나 행동을 삼가고 조심하다. 2 벌로 일정 기간 동안 출근이나 등교, 집무 따위의 활동을 하지 아니하고 말이나 행동을 삼가다.
- 포망하다 (暴亡하다) : 갑자기 망하다.
- 뿌그르르하다 : 1 많은 양의 액체가 넓은 범위에서 잇따라 갑자기 빠르게 끓어오르다. 또는 그런 소리가 나다. ‘부그르르하다’보다 센 느낌을 준다. (부그르르하다: 많은 양의 액체가 넓은 범위에서 잇따라 갑자기 빠르게 끓어오르다. 또는 그런 소리가 나다.) 2 큰 거품이 잇따라 갑자기 빠르게 일어나다. 또는 그런 소리가 나다. ‘부그르르하다’보다 센 느낌을 준다. (부그르르하다: 큰 거품이 잇따라 갑자기 빠르게 일어나다. 또는 그런 소리가 나다.)
- 근대화하다 (近代化하다) : 근대적인 상태가 되다. 또는 그렇게 하다.
- 버썩버썩하다 : 1 부숭부숭한 물건이 잇따라 가볍게 부스러지거나 깨지는 소리가 나다. 또는 그런 소리를 내다. ‘버석버석하다’보다 조금 센 느낌을 준다. (버석버석하다: 부숭부숭한 물건이 잇따라 가볍게 부스러지거나 깨지는 소리가 나다. 또는 그런 소리를 내다.) 2 부스러지기 쉬울 정도로 물기가 너무 없이 부숭부숭하다. ‘버석버석하다’보다 조금 센 느낌을 준다. (버석버석하다: 부스러지기 쉬울 정도로 물기가 너무 없이 부숭부숭하다.) 3 가랑잎이나 마른 검불 따위의 잘 마른 물건을 잇따라 밟는 소리가 나다. 또는 그런 소리를 내다. ‘버석버석하다’보다 조금 센 느낌을 준다. (버석버석하다: 가랑잎이나 마른 검불 따위의 잘 마른 물건을 잇따라 밟는 소리가 나다. 또는 그런 소리를 내다.)
- 유명을 달리하다 : ‘죽다’를 완곡하게 이르는 말. (죽다: 생명이 없어지거나 끊어지다., 불 따위가 타거나 비치지 아니한 상태에 있다., 본래 가지고 있던 색깔이나 특징 따위가 변하여 드러나지 아니하다., 성질이나 기운 따위가 꺾이다., 마음이나 의식 속에 남아 있지 못하고 잊히다., 움직이던 물체가 멈추어 제 기능을 하지 못하다., 경기나 놀이 따위에서, 상대편에게 잡혀 제 기능을 하지 못하다., 글이나 말 또는 어떤 현상의 효력 따위가 현실과 동떨어져 생동성을 잃다., 상대편에게 으름장을 놓거나 상대편을 위협하는 말., 있는 힘을 다한다는 뜻을 이르는 말., (은어로) 감옥에 가다., 앞말이 뜻하는 상태나 느낌의 정도가 매우 심함을 나타내는 말.)
- 옥성하다 (玉成하다) : 훌륭한 인물이 되다. 갈고 닦아 옥을 이룬다는 뜻에서 나온 말이다.
- 쩌르렁쩌르렁하다 : 1 넓고 얇은 쇠붙이 따위가 자꾸 서로 부딪쳐 울리는 소리가 나다. 또는 그런 소리를 내다. ‘저르렁저르렁하다’보다 센 느낌을 준다. (저르렁저르렁하다: 넓고 얇은 쇠붙이 따위가 자꾸 서로 부딪쳐 울리는 소리가 나다. 또는 그런 소리를 내다.) 2 목소리가 멀리까지 크고 높게 자꾸 울리는 소리가 나다. 또는 그런 소리를 내다. ‘저르렁저르렁하다’보다 센 느낌을 준다. (저르렁저르렁하다: 목소리가 멀리까지 크고 높게 자꾸 울리는 소리가 나다. 또는 그런 소리를 내다.)
- 천미하다 (賤微하다) : 신분이나 지위 따위가 하찮고 천하다.
- 접하다 (接하다) : 1 귀신을 받아들여 신통력을 가지다. 2 이어서 닿다. 3 가까이 대하다. ... (총 5개의 의미)
- 사정하다 (司正하다) : 그릇된 일을 다스려 바로잡다.
- 화성하다 (化成하다) : 1 길러서 자라게 하다. 2 덕화(德化)하여 선하게 하다. 3 제조 공정의 일부로서 전기 특성이 경년(經年) 변화를 일으키지 아니하도록, 전해 콘덴서ㆍ전해 정류기ㆍ반도체 장치에 전압을 가하다. ... (총 5개의 의미)
- 꼴칵꼴칵하다 : 적은 양의 액체나 음식물 따위가 목구멍이나 좁은 구멍으로 한꺼번에 자꾸 넘어가는 소리를 내다. ‘꼴깍꼴깍하다’보다 거센 느낌을 준다. (꼴깍꼴깍하다: 적은 양의 액체나 음식물 따위가 목구멍이나 좁은 구멍으로 한꺼번에 자꾸 넘어가는 소리를 내다.)
- 적조하다 (積阻하다) : 서로 연락이 끊겨 오랫동안 소식이 막히다.
- 왈가불가하다 (曰可不可하다) : 어떤 일에 대하여 옳거니 옳지 아니하거니 하고 말하다.
- 난감하다 (難堪하다) : 1 이렇게 하기도 저렇게 하기도 어려워 처지가 매우 딱하다. 2 맞부딪쳐 견디어 내거나 해결하기가 어렵다.
- 띠글띠글하다 : 1 가늘거나 작은 물건들 가운데서 몇 개가 드러나게 굵거나 크다. ‘디글디글하다’보다 센 느낌을 준다. (디글디글하다: 가늘거나 작은 물건들 가운데서 몇 개가 드러나게 굵거나 크다.) 2 밥알이 설익었거나 너무 되거나 말라서 꾸들꾸들하다. ‘디글디글하다’보다 센 느낌을 준다. (디글디글하다: 밥알이 설익었거나 너무 되거나 말라서 꾸들꾸들하다.)
- 걸대하다 (傑大하다) : 체격 따위가 두드러지게 크다.
- 견학하다 (見學하다) : 실지로 보고 그 일에 관한 구체적인 지식을 넓히다.
- 채산하다 (採算하다) : 1 수입과 지출을 맞추어 계산하다. 2 원가에 비용, 이윤 따위를 더하여 파는 값을 정하다.
- 익명하다 (匿名하다) : 이름을 숨기다.
- 교시하다 (交市하다) : 주로 나라와 나라 사이에서 물건을 사고팔고 하여 서로 바꾸다.
- 특정하다 (特定하다) : 1 특별히 정하여져 있다. 2 구체적으로 명확히 지정하다.
- 적요하다 (摘要하다) : 요점을 뽑아 적다.
- 빨끈빨끈하다 : 1 뒤집어엎을 듯이 시끌시끌해지다. ‘발끈발끈하다’보다 센 느낌을 준다. (발끈발끈하다: 뒤집어엎을 듯이 시끌시끌해지다.) 2 사소한 일에 걸핏하면 왈칵 자꾸 성을 내다. ‘발끈발끈하다’보다 센 느낌을 준다. (발끈발끈하다: 사소한 일에 걸핏하면 왈칵 자꾸 성을 내다.)
- 기부하다 (寄附하다) : 자선 사업이나 공공사업을 돕기 위하여 돈이나 물건 따위를 대가 없이 내놓다.
- 약치료하다 (藥治療하다) : 약으로 병을 고치다.
- 열약하다 (劣弱하다) : 열등하고 약하다.
- 복연하다 (復緣하다) : 인연을 끊고 있다가 다시 원래의 관계로 돌아가다.
- 참뉵하다 (慙恧하다) : 매우 부끄러워하다.
- 절커덕하다 : 1 크고 단단한 물체가 맞부딪치는 소리가 나다. 또는 그런 소리를 내다. ‘절거덕하다’보다 조금 거센 느낌을 준다. (절거덕하다: 크고 단단한 물체가 맞부딪치는 소리가 나다. 또는 그런 소리를 내다.) 2 큰 자물쇠 따위가 잠기거나 열리는 소리가 나다. 또는 그런 소리를 내다. ‘절거덕하다’보다 조금 거센 느낌을 준다. (절거덕하다: 큰 자물쇠 따위가 잠기거나 열리는 소리가 나다. 또는 그런 소리를 내다.) 3 서로 닿으면 걸리어 붙는 단단한 물건끼리 맞부딪치는 소리가 나다. 또는 그런 소리를 내다. ‘절거덕하다’보다 조금 거센 느낌을 준다. (절거덕하다: 서로 닿으면 걸리어 붙는 단단한 물건끼리 맞부딪치는 소리가 나다. 또는 그런 소리를 내다.) ... (총 4개의 의미)
▹ 품사로 구분한 통계
💡하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8개의 품사 중에서 동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37,855개입니다.
- 동사 37,855개 : 게기하다, 터렁터렁하다, 말놀이하다, 털렁털렁하다, 기록하다, 선행하다, 화합하다, 추증하다, 해안하다, 탄망하다
- 형용사 10,492개 : 그렁그렁하다, 주르르하다, 순수하다, 그러하다, 퇴연하다, 곱슬곱슬하다, 패륜하다, 도도록하다, 공연하다, 잘쏙하다 구 292개 없음 9개 보조 형용사 8개
▹ 글자수로 구분한 통계
💡하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22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4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35,359개입니다.
- 2 글자 2개 : 하다
- 3 글자 517개 : 비하다, 연하다, 양하다, 열하다, 상하다, 풍하다, 뺜하다, 감하다, 뚱하다, 약하다 4 글자 35,359개 5 글자 4,240개 6 글자 7,442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