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 🌾끝 단어 1,097개
- 노트르담악파 (Notre Dame樂派) : 12세기에서 13세기에 걸쳐 파리의 노트르담 대성당을 중심으로 활약했던 초기 폴리포니악파.
- 자기파 (磁氣波) : 자기장에 급격한 변화가 일어났을 때 자기화가 어느 한 부분에서 물질 전체로 퍼지는 현상.
- 문혁파 (文革派) : 중국의 문화 혁명 시기에 지도적인 활약을 한 세력. 특히 장칭(江靑), 왕훙원(王洪文), 야오원위안(姚文元), 장춘차오(張春橋)의 사인방을 이르는 말이다.
- 노장학파 (老莊學派) : 노자와 장자의 학문을 따르고 받드는 학파.
- 백과사전파 (百科事典派) : 18세기 프랑스 계몽 시대에, ≪백과전서≫의 집필과 간행에 참가하였던 계몽사상가들을 통틀어 이르는 말. 가톨릭교회와 절대 왕정에 반대하는 개혁을 지향하였으며, 이성적ㆍ합리주의적 태도로써 근대적인 지식과 사고 방법을 전파하여 프랑스 대혁명의 사상적 배경이 되었다. 디드로, 달랑베르, 볼테르, 케네, 마르몽텔(Marmontel, J.) 등이 대표적 인물이다.
- 대파 (代播) : 오랜 가뭄이나 홍수 따위로 인하여 씨 뿌릴 시기를 놓쳐 심으려고 한 곡식을 심지 못하고 대신 다른 곡식의 씨앗을 뿌리는 일.
- 수론파 (數論派) : 인도의 육파(六派) 철학의 하나. 창시자는 카필라이고, 4세기 무렵에 쓰인 ≪삼키아 카리카≫를 대표적 경전으로 삼는다. 물질과 정신의 이원론(二元論)을 주장하여, 물질의 근본 원인인 자성(自性)이 정신의 본체인 신아(神我)의 작용을 받아 만유(萬有)를 생성하는데, 현실의 일체를 고(苦)라고 보았다. 요가의 수행을 통하여 신아를 자성과 분리함으로써 괴로움의 해탈에 이른다고 하였다.
- 소파 (小波) : ‘방정환’의 호. (방정환: 아동 문학가(1899~1931). 호는 소파(小波). 우리나라 최초의 아동 문화 운동 단체인 ‘색동회’ 등을 조직하여 소년 운동을 주창하고, 어린이날을 제정하였으며, 잡지 ≪어린이≫를 창간하였다. 저서에 ≪소파 전집≫이 있다. (색동회: 아동 문학과 아동 운동을 위하여 1922년 일본 도쿄에서 방정환, 마해송, 윤극영, 손진태, 조재호 등이 창립한 단체. 1923년에 기관지인 ≪어린이≫를 간행하여 새로운 사조에 입각한 많은 동화ㆍ동요를 발표하였다.))
- 토닉솔파 (tonic sol-fa) : 계이름에 의하여 소리의 높이나 선율(旋律)을 나타내는 방법. 주로 선율을 읽거나 기억하는 연습에 쓴다.
- 오파 (吳派) : 중국 명나라 때, 중국 회화의 주류를 이루었던 화파. 옛 오나라 지방인 쑤저우(蘇州)에서 활동하였던 남종 문인화 계열의 작가들을 이른다.
- 전자기파 (電磁氣波) : 공간에서 전기장과 자기장이 주기적으로 변화하면서 전달되는 파동. 1864년에 맥스웰이 이론적으로 발견하였다. 파장이 긴 것부터 마이크로파, 가시광선, 엑스선, 감마선이라고 이른다.
- 건직파 (乾直播) : 건답에 그대로 볍씨를 뿌리어 밭곡식처럼 가꾸다가 물을 대어 주는 농사법.
- 저교회파 (低敎會派) : 성직의 특권, 교회의 정치 조직, 성찬설(聖餐說), 세례 따위를 비교적 가볍게 보는 영국 교회의 한 파. 신앙 자체를 중요시하는데, 최근에는 특히 복음주의의 입장에 있는 사람들을 이른다.
- 논파 (論罷) : 논하여 없앰. 또는 논하여 물리침.
- 탈의파 (奪衣婆) : 저승으로 가는 도중의 삼도내에 있다는 귀신 할미. 저승으로 가는 사람의 옷을 벗기어서 현의옹(懸衣翁)과 함께 의령수(衣領樹)에 걸어 놓고 그 나뭇가지가 내려오는 모양을 보고, 죄의 경중(輕重)을 단다고 한다.
- 인구학파 (人口學派) : 사회 현상이 주로 인구 변동에 좌우된다고 생각하는 학파. 생산 기술의 발달, 분업, 계층 분화, 사회의 발전 단계 따위를 인구량 및 인구 밀도의 증감으로 설명한다.
- 형사 인류학파 (刑事人類學派) : 범죄의 원인을 주로 인류학적 관점에서 찾으려는 학파. 범죄인은 해부학적, 인류학적으로 일정한 변질 징후를 가지고 있다는 학설을 이어받았다.
- 비선형파 (非線形波) : 파동 함수의 하나. 비선형의 항(項)을 포함하는 파동 방정식으로 기술된다. 사인 함수에서 나타나는 보통 함수와는 다른 양상을 보인다.
- 전파 (全波) : 단파, 중파, 장파의 전파(電波)들을 통틀어 이르는 말.
- 행성파 (行星波) : 행성 대기 가운데에서 공통으로 관측되는, 띠 모양의 바람과 같은 대규모적인 풍계(風系). 중위도에서 주로 대류권 상층에 일어나는 편서풍대의 파장이 긴 파동 같은 것이다.
- 불안정파 (不安定波) : 주위에서 에너지를 빼앗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진폭과 전체 에너지가 변하는 파동.
- 소원파 (素元波) : 파동이 전하여질 때, 하위헌스의 원리에 의하여 그 파면상의 각 점이 파원이 되어 각 점에서 파동이 나온다고 여겨지는 많은 파동.
- 권쇄파 (捲碎波) : 파도의 봉우리가 갑자기 높아져서 공기를 감싸 안으면서 큰 파도와 함께 무너져 내리는 해안파.
- 구형파 (矩形波) : 시간과 진폭을 두 축으로 하는 좌표 평면에 네모꼴로 나타나는 파동.
- 남파 (南派) : 임무를 주어 남쪽으로 보내는 일. 특히 북측에서 남측으로 간첩 따위를 보내는 일을 이른다.
- 지진파 (地震波) : 지진이나 인공적 폭발 때문에 생기는 탄성파. 진원지에서 퍼지는 것으로 피파(P波)와 에스파(S波)가 있으며, 진앙에서 지표를 따라 전하여지는 표면파가 있는데 각각 전파 속도가 다르다.
- 장파 (長派) : 맏아들의 갈래.
- 복고학파 (復古學派) : 16세기에 프랑스를 중심으로 발생한, 로마법을 연구하는 학파. 휴머니즘 일반 사조의 영향을 받아 일어났으며, 로마법 대전(大全) 가운데 여러 법문을 고전 언어학과 역사학의 힘을 빌려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로마법의 고전 시대의 순수한 모습을 발견하려고 노력함으로써 로마법의 순역사적ㆍ비판적 연구에 있어서 근대의 선구가 되었다.
- 행성 전파 (行星電波) : 행성에서 복사(輻射)되는 전파. 1955년에 미국의 카네기 연구소에서 목성이 일으키는 전파를 관측한 이래 금성, 화성, 토성 따위의 행성에서도 전파가 방출된다는 사실이 발견되었다.
- 은파 (銀波) : 달빛에 비쳐 은백색으로 보이는 물결을 아름답게 이르는 말.
- 청록파 (靑鹿派) : 박목월, 박두진, 조지훈을 함께 이르는 말. 1940년 전후에 ≪문장≫을 통하여 문단에 등장한 세 사람이 1946년에 공동 시집인 ≪청록집≫을 간행한 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주로 동양적 자연관과 관조적 세계관을 표현하였다.
- 연파 (煙波) : 1 연기가 자욱하게 끼어서 물결처럼 보이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연기나 안개가 자욱하게 낀 수면.
- 생명파 (生命派) : 서정주, 오장환, 김동리, 유치환을 통틀어 이르는 말. 1936년에 ≪시인 부락≫과 ≪생리(生理)≫를 통하여 생명 현상에 관한 시적 관심을 표현한 공통점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 폐단다파 (吠檀多派) : ‘베단타학파’의 음역어. (베단타학파: 인도 육파(六派)의 하나. 시조는 바다라야나로 우파니샤드를 중시하며 범아일여(梵我一如)의 사상을 견지한다.)
- 칠종십이파 (七宗十二派) : 고려 중기 이후에 나뉜 불교의 분파를 통틀어 이르는 말. 자은종, 화엄종, 도문종, 열반종, 소승종, 중도종, 신인종, 남산종, 총지종, 조계종, 천태법사종, 천태소자종이다.
- 만경파 (萬頃波) : 만 이랑의 푸른 물결이라는 뜻으로, 한없이 넓고 넓은 바다를 이르는 말.
- 실상산파 (實相山派) : 통일 신라 시대의 선종 구산문 가운데 하나. 신라 흥덕왕 때 홍척 국사가 지금의 전라북도 남원시 산내면 입석리에 실상사를 세우고 개산(開山)하였다. 구산 가운데 가장 먼저 세워졌다.
- 사장파 (詞章派) : 조선 시대에, 문장과 시부(詩賦)를 중요시하던 학파. 조선 전기에 조광조를 영수로 하여 도학을 중요시하는 사림파에 맞서 한문학의 중요성을 내세운 일파로, 대표적인 인물로 김일손ㆍ남효온ㆍ남곤ㆍ조위 등이 있다.
- 베단타학파 (Vedanta學派) : 인도 육파(六派)의 하나. 시조는 바다라야나로 우파니샤드를 중시하며 범아일여(梵我一如)의 사상을 견지한다.
- 맹파 (盟罷) : ‘동맹파업’을 줄여 이르는 말. (동맹 파업: 노동 조건의 유지 및 개선을 위하여, 또는 어떤 정치적 목적을 달성하고자 노동자들이 집단적으로 한꺼번에 작업을 중지하는 일.)
- 불공자파 (不攻自破) : 치지 아니하여도 제 스스로 깨어짐.
- 형파 (荊笆) : 싸리의 가지를 묶어 만든 비. 주로 마당비로 사용한다.
- 감각파 (感覺派) : 1 사물이 감각 기관에 작용하여 의식에 반영됨을 중요시하는 유파. 2 감각이 뛰어난 사람을 이르는 말.
- 실학파 (實學派) : 조선 후기에, 이용후생을 실천하고 실사구시를 연구하던 학파.
- 침묵파 (沈默派) : 침묵하기를 좋아하는 부류라는 뜻으로, 말하기 싫어하는 과묵한 성격을 가진 사람을 이르는 말.
- 공리파 (功利派) : 19세기 전반에, 영국의 벤담과 밀 등이 중심이 되어 주장한 공리주의 학설을 옹호하는 학파.
- 소수파 (少數派) : 어떤 모임이나 단체에서 의견이 나뉠 때 보다 적은 수를 차지하는 파.
- 온도파 (溫度波) : 온도 변화가 매질을 통하여 전파되는 파동.
- 정립파 (停立波) : 파형(波形)이 매질을 통하여 더 진행하지 못하고 일정한 곳에 머물러 진동하는 파동. 진행파와 반사 파동이 서로 겹쳐 간섭하게 되는 경우에 일어난다. 양 끝을 고정한 활시위의 진동 따위이다.
- 바리새파 (Pharisai派) : 기원전 2세기에 일어난 유대 민족의 한 종파. 율법의 준수와 종교적인 순수함을 강조하였다. 형식주의와 위선에 빠져 예수를 공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