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 🌾끝 단어 1,999개
-
수상식
(授賞式)
:
상을 주는 의식.
🌏 授: 줄 수 賞: 상줄 상 式: 법 식 -
구덩식
(구덩式)
:
위에서 밑으로 주검을 넣도록 되어 있는 무덤 양식.
🌏 式: 법 식 -
무액면 주식
(無額面株式)
:
주권에 액면액(額面額)의 기재가 없이 회사 총자산에 대한 비율만 표시한 주식. 액면 주식보다 신주(新株) 발행이 쉬운데, 미국과 캐나다에서 많이 쓰고 있다.
🌏 無: 없을 무 額: 이마 액 面: 낯 면 株: 그루 주 式: 법 식 -
종무소식
(終無消息)
:
끝내 아무 소식이 없음.
🌏 終: 마칠 종 無: 없을 무 消: 꺼질 소 息: 숨쉴 식 -
각막 이식
(角膜移植)
:
각막이 흐려져서 시력에 장애가 있을 때 다른 사람의 깨끗한 각막으로 바꾸어 넣는 일.
🌏 角: 뿔 각 膜: 꺼풀 막 移: 옮길 이 植: 심을 식 -
자모정식
(子母定式)
:
변리(邊利)가 원금을 넘지 아니하도록 이자율을 정하는 방식.
🌏 子: 아들 자 母: 어머니 모 定: 정할 정 式: 법 식 -
자성 생산 단위 생식
(雌性生産單位生殖)
:
단성 생식의 결과 암컷만 생기는 일. 진드기의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 雌: 암컷 자 性: 성품 성 生: 날 생 産: 낳을 산 單: 홑 단 位: 자리 위 生: 날 생 殖: 번성할 식 -
금제 수식부 이식
(金製垂飾附耳飾)
:
1971년 충청남도 공주시에 있는 무령왕릉에서 나온 백제의 귀고리. 왕비의 귀고리 두 쌍으로, 굵은 고리를 중심으로 작은 장식들을 연결하여 만들었다. 한 쌍은 복잡한 형식의 길고 짧은 두 줄의 수식이 달려 있고 다른 한 쌍은 한 줄로만 되어 있다. 국보 정식 명칭은 ‘무령왕비 금귀걸이’이다. 국보 제157호.
🌏 金: 쇠 금 製: 지을 제 垂: 드리울 수 飾: 꾸밀 식 附: 붙을 부 耳: 귀 이 飾: 꾸밀 식 -
소휴식
(小休息)
:
잠깐 동안의 휴식.
🌏 小: 작을 소 休: 쉴 휴 息: 숨쉴 식 -
유식
(有識)
:
학문이 있어 견식이 높음. 또는 그런 지식.
🌏 有: 있을 유 識: 알 식 -
다곽식
(多槨式)
:
한 무덤 안에 둘 이상의 널을 갖춘 양식.
🌏 多: 많을 다 槨: 덧관 곽 式: 법 식 -
끼식
(끼食)
:
→ 끼니. (끼니: 아침, 점심, 저녁과 같이 날마다 일정한 시간에 먹는 밥. 또는 그렇게 먹는 일., 밥을 먹는 횟수를 세는 단위.)
🌏 食: 먹을 식 -
수류 침식
(水流浸蝕)
:
수로(水路)에 노출된 물질이 물의 흐름으로 제거되는 과정.
🌏 水: 물 수 流: 흐를 류 浸: 적실 침 蝕: 갉아먹을 식 -
입식
(笠飾)
:
군복의 하나인 융복(戎服)의 갓에 갖추던 치장.
🌏 笠: 삿갓 입 飾: 꾸밀 식 -
금식
(金飾)
:
황금으로 꾸밈. 또는 그런 장식.
🌏 金: 쇠 금 飾: 꾸밀 식 -
나선식
(螺旋式)
:
소라의 껍데기처럼 빙빙 비틀려 돌아간 모양으로 된 형식.
🌏 螺: 소라 나 旋: 돌 선 式: 법 식 -
복식
(複式)
:
1
경마, 경륜, 조정 따위에서 일 등과 이 등을 동시에 알아맞히는 방식. 일 등과 이 등의 순서는 상관없다.
2
두 겹 또는 그 이상으로 된 복잡한 방식.
3
탁구ㆍ테니스 따위에서, 서로 두 사람씩 짝을 지어서 하는 시합.
🌏 複: 겹옷 복 式: 법 식 -
일대식
(日帶蝕)
:
태양이 달에 가려진 채로 뜨거나 질 때의 일식(日蝕).
🌏 日: 날 일 帶: 띠 대 蝕: 갉아먹을 식 -
결혼식
(結婚式)
:
부부 관계를 맺는 서약을 하는 의식.
🌏 結: 맺을 결 婚: 혼인할 혼 式: 법 식 -
분무식
(噴霧式)
:
물이나 약품 따위를 안개처럼 뿜어내는 방식.
🌏 噴: 뿜을 분 霧: 안개 무 式: 법 식 - 꿩 구워 먹은 소식 : 소식이 전혀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미식
(迷息)
:
못난 자식이라는 뜻으로, ‘가아’를 달리 이르는 말. (가아: 남에게 자기의 아들을 낮추어 이르는 말.)
🌏 迷: 미혹할 미 息: 숨쉴 식 -
습식
(濕式)
:
용액이나 용제 따위의 액체를 써서 하는 방식.
🌏 濕: 축축할 습 式: 법 식 -
다환식
(多環式)
:
여러 개의 고리로 된 방식.
🌏 多: 많을 다 環: 고리 환 式: 법 식 -
상호 통신 방식
(相互通信方式)
:
1
같은 구내에서 직접 통화가 되는 전화 방식.
2
일정한 범위의 구역 안에서 교환기 없이 개인이 쌍방향 통신 장치를 가지고 통신하는 방식.
🌏 相: 서로 상 互: 서로 호 通: 통할 통 信: 믿을 신 方: 모 방 式: 법 식 -
안같기식
(안같기式)
:
두 수 또는 두 식을 부등호로 연결한 식.
🌏 式: 법 식 -
녹패식
(祿牌式)
:
조선 시대에 쓰던, 녹봉 사령서(辭令書)의 양식. 처음에는 매년 정월 초하루에 발급하였고, 정조 이후에는 1ㆍ4ㆍ7ㆍ10월의 초하루에 발급하였다.
🌏 祿: 복 녹 牌: 패 패 式: 법 식 -
입식
(立式)
:
부엌 따위에서 서서 일하게 된 방식. 또는 그런 구조.
🌏 立: 설 입 式: 법 식 -
금제 경식
(金製頸飾)
:
1
경주시 황남동 미추왕릉 지구에 있는 황남 대총에서 발견된 신라의 목걸이. 금실을 꼬아서 만든 금사슬 4줄과 속이 빈 금구슬 3개를 교대로 연결하고, 늘어지는 곳에는 금으로 만든 굽은 옥을 달았다. 경주 지역 신라의 무덤에서 발견되는 대부분의 목걸이가 푸른빛의 옥을 사용한 데 반하여 전체를 금으로 만든 특이한 목걸이이다. 국보 정식 명칭은 ‘황남 대총 남분 금목걸이’이다. 국보 제194호.
2
1971년 충청남도 공주시에 있는 무령왕릉에서 나온 백제의 목걸이. 왕비의 목걸이 한 쌍으로, 아홉 마디로 된 것과 일곱 마디로 된 것 두 종류이다. 두 목걸이 모두 한끝에 목에 걸기 위한 고리가 끼워져 있을 뿐 간단한 구조를 하고 현대적이고 세련되어 보인다. 국보 정식 명칭은 ‘무령왕비 금목걸이’이다. 국보 제158호.
3
경주 노서동 215호 고분에서 발견된 신라의 목걸이. 금소환(金小環) 여러 개를 연결하여 속이 빈 구형(球形)을 만들고 심엽형(心葉形) 금판을 금줄로 연결하여 장식한 것을 44개 연결하고 끝에 비취 곡옥(曲玉) 1개를 달았다. 보물 정식 명칭은 ‘경주 노서동 금목걸이’이다. 보물 제456호.
🌏 金: 쇠 금 製: 지을 제 頸: 목 경 飾: 꾸밀 식 -
대가식
(大駕式)
:
조선 시대에, 임금이 대가를 타는 거둥 때의 의장과 절차. 주로 사직이나 종묘에 제향을 지내러 갈 때 썼다.
🌏 大: 큰 대 駕: 탈것 가 式: 법 식 -
왜식
(倭式)
:
‘일본풍’을 낮잡아 이르는 말. (일본풍: 일본 특유의 색채나 양식. 또는 그런 것을 본받은 모양.)
🌏 倭: 왜국 왜 式: 법 식 -
개량식
(改良食)
:
개량한 음식.
🌏 改: 고칠 개 良: 어질 량 食: 먹을 식 -
극방정식
(極方程式)
:
극좌표를 써서 직선, 곡선, 곡면 따위를 나타낸 방정식. 예를 들면, 평면 위의 직선의 극방정식은 rcos(θ-ω)=ρ이다.
🌏 極: 지극할 극 方: 모 방 程: 단위 정 式: 법 식 -
설식
(雪蝕)
:
잔설이나 적설층의 이동에 의하여 생기는 침식 작용. 주로 권곡이나 곡빙하 밑에서 일어난다.
🌏 雪: 눈 설 蝕: 갉아먹을 식 -
유리 분수식
(有理分數式)
:
분모에 문자를 포함하는 유리식.
🌏 有: 있을 유 理: 다스릴 리 分: 나눌 분 數: 셀 수 式: 법 식 -
종식
(終熄)
:
한때 매우 성하던 현상이나 일이 끝나거나 없어짐.
🌏 終: 마칠 종 熄: 꺼질 식 -
범식
(範式)
:
1
예절이나 기물(器物)의 본보기로 삼을 만한 양식.
2
계산의 법칙 따위를 문자와 기호로 나타낸 식.
🌏 範: 법 범 式: 법 식 -
출범식
(出帆式)
:
1
배가 항구를 떠나면서 하는 의식.
2
어떤 단체가 새로이 조직되어 일을 시작하면서 그것을 선포하는 의식.
🌏 出: 날 출 帆: 돛 범 式: 법 식 -
제식
(祭式)
:
제사를 지내는 의례(儀禮).
🌏 祭: 제사 제 式: 법 식 -
일자무식
(一字無識)
:
1
글자를 한 자도 모를 정도로 무식함. 또는 그런 사람.
2
어떤 분야에 대하여 아는 바가 하나도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一: 하나 일 字: 글자 자 無: 없을 무 識: 알 식 -
삼포식
(三圃式)
:
농지를 셋으로 나누어 그 가운데 하나를 해마다 번갈아 가며 휴경지로 하여 지력(地力)을 회복하는 경작 방식.
🌏 三: 석 삼 圃: 채마밭 포 式: 법 식 -
독식
(獨食)
:
1
혼자서 먹음.
2
성과나 이익 따위를 혼자서 다 차지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獨: 홀로 독 食: 먹을 식 -
상반 방정식
(相反方程式)
:
어떤 대수 방정식의 근의 역수를 근으로 가지는 대수 방정식을 원래의 방정식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예를 들면 의 근은 x=2, 1이고, 그 역수인 1/2, 1을 근으로 하는 상반 방정식은 이다.
🌏 相: 서로 상 反: 돌이킬 반 方: 모 방 程: 단위 정 式: 법 식 -
전산 사식
(電算寫植)
:
컴퓨터를 이용한 조판. 문자나 그림 데이터를 입력하여 글자 수, 행간, 레이아웃 따위의 처리나 인화지 출력을 프로그램에 따라 자동적으로 행한다.
🌏 電: 번개 전 算: 계산 산 寫: 베낄 사 植: 심을 식 -
조례식
(朝禮式)
:
예전에, 아침 모임에 하는 의식을 이르던 말.
🌏 朝: 아침 조 禮: 예도 례 式: 법 식 -
간식
(艱食)
:
매우 검소한 음식.
🌏 艱: 어려울 간 食: 먹을 식 -
추식
(秋植)
:
가을에 작물을 심는 일.
🌏 秋: 가을 추 植: 심을 식 -
골 이식
(骨移植)
:
뼈의 결손 보전이나 보강을 목적으로 뼈를 이식하는 일. 뼈가 외상이나 종양에 의하여 파괴된 경우에 행하며, 이식하는 뼈는 환자 자신의 엉덩뼈, 갈비뼈, 머리뼈 바깥층 등을 사용한다.
🌏 骨: 뼈 골 移: 옮길 이 植: 심을 식 -
고정식
(固定式)
:
한곳에 고정시켜 움직이지 아니하게 하는 방식.
🌏 固: 굳을 고 定: 정할 정 式: 법 식 -
산식
(産殖)
:
붇고 늘어서 많이 퍼짐.
🌏 産: 낳을 산 殖: 번성할 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