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끝 단어 1,989개
-
세계 도시
(世界都市)
:
중추 관리 기능을 네트워크에 의하여 여러 도시로 분산한 다핵적인 광역 도시. 과밀과 그에 따르는 환경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 世: 세대 세 界: 경계 계 都: 도읍 도 市: 시장 시 -
환시
(環視)
:
1
많은 사람이 둘러서서 봄.
2
사방을 둘러봄.
🌏 環: 고리 환 視: 볼 시 - 안시 (Anxi[安西]) : 중국 간쑤성(甘肅省) 서북부에 있는 현(縣). 일찍이 서방과의 무역으로 번영하였다. 곡물, 가축 따위를 생산하고 감초 따위의 약초도 재배한다.
-
도구시
(道具視)
:
어떤 사물이나 사람을 도구로 취급함.
🌏 道: 길 도 具: 갖출 구 視: 볼 시 -
축시
(丑時)
:
1
십이시(十二時)의 둘째 시. 오전 한 시부터 세 시까지이다.
2
이십사시(二十四時)의 셋째 시. 오전 한 시 반부터 두 시 반까지이다.
🌏 丑: 소 축 時: 때 시 -
도시
(盜視)
:
1
몰래 엿봄.
2
금지하는 것을 몰래 훔쳐봄.
🌏 盜: 도둑 도 視: 볼 시 -
조시
(條施)
:
거름을 줄이 지게 줌.
🌏 條: 가지 조 施: 베풀 시 - 갈고리낚시 : 겹낚시의 하나. 보통, 갈고리 세 개를 묶어서 만드는데 미늘이 없고 미끼를 꿰지 않는다.
-
부산광역시
(釜山廣域市)
:
‘부산’을 광역시로 이르는 이름. (부산: 경상남도 동남부에 있는 광역시. 서울에 다음가는 대도시이며 우리나라 최대의 해양 물류 도시이다. 동남 경제권의 중심 도시로 철강ㆍ자동차ㆍ조선 따위의 중공업이 발달하였다. 명승고적으로 금정산성, 해운대, 오륙도, 재한 유엔 기념 공원, 태종대, 충렬사 따위가 있다. 면적은 769.89㎢.)
🌏 釜: 가마 부 山: 뫼 산 廣: 넓을 광 域: 지경 역 市: 시장 시 -
생진복시
(生進覆試)
:
조선 시대에, 과거에서 초시에 합격한 사람이 이 차로 시험을 보던 일. 또는 그 시험.
🌏 生: 날 생 進: 나아갈 진 覆: 엎어질 복 試: 시험할 시 -
왜모시
(倭모시)
:
당모시보다 올이 굵은 모시.
🌏 倭: 왜국 왜 -
대구광역시
(大邱廣域市)
:
‘대구’를 광역시로 이르는 이름. 경북 달성군을 관할 구역으로 편입하였다. (대구: 영남 지방의 중앙부에 있는 광역시. 섬유 공업을 비롯한 각종 공업이 활발하며, 특히 사과 산지로 유명하다. 동화사, 달성 공원, 수성 유원지, 팔공산(八公山) 따위의 명승지가 있다. 면적은 884.41㎢.)
🌏 大: 큰 대 邱: 땅 이름 구 廣: 넓을 광 域: 지경 역 市: 시장 시 -
도시
(都市)
:
일정한 지역의 정치ㆍ경제ㆍ문화의 중심이 되는, 사람이 많이 사는 지역.
🌏 都: 도읍 도 市: 시장 시 -
세모시
(細모시)
:
올이 가늘고 고운 모시.
🌏 細: 가늘 세 - 엠피시 (MPC) : 전지(戰地)나 점령지에서 군대에 필요한 물품을 구입할 때 사용하는 긴급 통화(通貨).
-
헌시
(獻詩)
:
축하하거나 기리는 뜻으로 시를 지어 바침. 또는 그 시.
🌏 獻: 바칠 헌 詩: 시 시 - 아이시시 (ICC) : 국가 간의 경제 문제를 심의하고 상업에 관한 분쟁을 중재하기 위하여 만든 경제 단체. 1920년 파리에서 창립하였으며, 우리나라는 1951년에 가입하였다.
-
의시
(蟻視)
:
개미를 보듯이 하찮게 본다는 뜻으로, 다른 사람을 깔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蟻: 개미 의 視: 볼 시 -
면시
(面試)
:
면전에서 시험함.
🌏 面: 낯 면 試: 시험할 시 -
연합 도시
(聯合都市)
:
대도시를 중심으로 주변 도시들의 시가지가 연결되어 있는 지역. 단순한 도시의 집합이 아니라 대도시를 중심으로 기능적으로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도시이다.
🌏 聯: 잇닿을 연 合: 합할 합 都: 도읍 도 市: 시장 시 -
일시
(昵侍)
:
가까이서 임금을 모심.
🌏 昵: 친할 일 侍: 모실 시 -
구궁신시
(舊弓新矢)
:
오래된 활과 새 화살이라는 뜻으로, 의외로 서로 잘 맞는 것을 이르는 말.
🌏 舊: 옛 구 弓: 활 궁 新: 새로울 신 矢: 화살 시 -
초개시
(草芥視)
:
보잘것없는 것으로 여김.
🌏 草: 풀 초 芥: 겨자 개 視: 볼 시 -
오언시
(五言詩)
:
한 구가 다섯 글자로 된 한시(漢詩)를 통틀어 이르는 말.
🌏 五: 다섯 오 言: 말씀 언 詩: 시 시 -
지방 항성시
(地方恒星時)
:
지구 표면의 한 지점에서 그 지점을 지나는 자오선을 기준으로 정한 항성시.
🌏 地: 땅 지 方: 모 방 恒: 항상 항 星: 별 성 時: 때 시 -
매방초시
(每榜初試)
:
과거(科擧)를 볼 때에, 초시(初試)에는 언제나 합격하지만 복시(覆試)에는 번번이 낙방함.
🌏 每: 매양 매 榜: 패 방 初: 처음 초 試: 시험할 시 -
위곽 도시
(圍廓都市)
:
성곽으로 둘러싸인 도시. 예전에 외적을 막기 위하여 만들었는데, 오늘날에도 흔히 볼 수 있다. 베이징이 대표적인 예이다.
🌏 圍: 둘레 위 廓: 외성 곽 都: 도읍 도 市: 시장 시 -
진혼시
(鎭魂詩)
:
죽은 사람의 넋을 달래어 고이 잠들기를 바라는 내용의 시.
🌏 鎭: 누를 진 魂: 넋 혼 詩: 시 시 - 쿠크리닉시 (Kukryniksy) : 소련의 화가 쿠프리야노프(Kupriyanov, M. V.)ㆍ크릴로프(Krylov, P. N.)ㆍ소콜로프(Sokolov, N. A.)가 공동 작업에 사용한 이름. 고리키, 체호프 등의 소설 삽화를 그렸으며 만화도 담당하였다.
-
명시
(名詩)
:
이름난 시. 또는 아주 잘 지은 시.
🌏 名: 이름 명 詩: 시 시 -
승시
(乘矢)
:
반궁 대사례(泮宮大射禮), 궁중 연사(燕射), 향음주례 때에 사용하던 화살. 길이가 석 자이고 깃이 크다.
🌏 乘: 탈 승 矢: 화살 시 -
주택 도시
(住宅都市)
:
대도시의 위성 도시로서 주택 기능이 특히 발달한 도시.
🌏 住: 살 주 宅: 집 택 都: 도읍 도 市: 시장 시 -
사마시
(司馬試)
:
생원과 진사를 뽑던 과거. 초시와 복시가 있었다.
🌏 司: 맡을 사 馬: 말 마 試: 시험할 시 -
식년시
(式年試)
:
식년마다 보이던 식년과의 시험.
🌏 式: 법 식 年: 해 년 試: 시험할 시 -
개방 도시
(開放都市)
:
국제법에서, 무장이나 방비 시설이 전혀 없고 공격이 금지된 도시. 제이 차 세계 대전 중에 파리와 로마가 이를 선언하였다.
🌏 開: 열 개 放: 놓을 방 都: 도읍 도 市: 시장 시 -
주교 도시
(主敎都市)
:
중세 유럽에서, 교회나 수도원을 중심으로 발달한 도시의 유형.
🌏 主: 주인 주 敎: 가르칠 교 都: 도읍 도 市: 시장 시 -
불시
(不時)
:
1
제철이 아닌 때.
2
뜻하지 아니한 때.
🌏 不: 아닐 불 時: 때 시 -
장시
(場市)
:
조선 시대에, 보통 5일마다 열리던 사설 시장. 보부상이라는 행상이 있어서 농산물, 수공업 제품, 수산물, 약재 따위를 유통하였다.
🌏 場: 마당 장 市: 시장 시 -
종정시
(宗正寺)
:
고려 시대에, 왕실의 보첩(譜牒)을 맡아보던 관아. 충렬왕 24년(1298)에 전중시(殿中寺)를 고친 것이다.
🌏 宗: 마루 종 正: 바를 정 寺: 내시 시 -
야다시
(夜茶時)
:
조선 시대에, 긴급한 일이 발생하였을 때 사헌부의 감찰(監察)이 밤중에 모이던 일.
🌏 夜: 밤 야 茶: 차 다 時: 때 시 -
풍시
(諷示)
:
넌지시 가리킴.
🌏 諷: 욀 풍 示: 보일 시 -
체시
(諦視)
:
사물의 본체를 충분히 꿰뚫어 봄. 또는 사물을 상세히 살펴봄.
🌏 諦: 살필 체 視: 볼 시 - 비싸리구시 :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사의 명물로, 댑싸리나무로 만든 구유. 쌀을 담아 두는 데 썼다. 길이 16자, 높이 3자 5치, 폭 4자 5치이다.
-
문신 정시
(文臣庭試)
:
조선 시대에, 임금의 특명으로 당상관 이하 문신에게 임시로 보이던 과거. 선발 인원을 정하지 않고 실력에 따라 합격시켰다.
🌏 文: 글월 문 꾸밀 문 臣: 신하 신 庭: 뜰 정 試: 시험할 시 - 손각시 : → 손말명. (손말명: 혼기가 찬 처녀가 죽어서 된 귀신.)
-
번관복시
(飜棺覆屍)
:
풍수지리에서, 묻었던 시체의 관이 뒤집혀서 시체가 엎어지는 일.
🌏 飜: 뒤칠 번 棺: 널 관 覆: 엎어질 복 屍: 시체 시 -
무역 도시
(貿易都市)
:
다른 나라와 무역하기 위하여 형성한 도시. 주로 무역을 위한 기관이나 시설들로 집중되어 있다.
🌏 貿: 바꿀 무 易: 바꿀 역 都: 도읍 도 市: 시장 시 -
신명시
(身命施)
:
굶주린 사람에게 자신의 살을 떼어 주거나 온몸을 다 주는 보시.
🌏 身: 몸 신 命: 목숨 명 施: 베풀 시 -
오시
(忤視)
:
상대편의 위세에 눌리지 아니하고 흘겨봄.
🌏 忤: 거스를 오 視: 볼 시 -
십사행시
(十四行詩)
:
14행의 짧은 시로 이루어진 서양 시가. 각 행을 10음절로 구성하며, 복잡한 운(韻)과 세련된 기교를 사용한다. 13세기에 이탈리아에서 발생하여 단테와 페트라르카에 의하여 완성되었으며, 셰익스피어ㆍ밀턴ㆍ스펜서 등의 작품이 유명하다.
🌏 十: 열 십 四: 넉 사 行: 다닐 행 詩: 시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