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 🌾끝 단어 3,475개
- 격성 (激成) : 몹시 세차게 일어남. 또는 그렇게 일어나게 함.
- 선재성 (先在性) : 시간적ㆍ심리적으로 앞서는 성질. 예를 들어, 경험론에 있어서 감각은 지성에 시간적ㆍ발생적으로 앞서 존재한다는 것 따위이다.
- 호북성 (湖北省) : → 후베이성. (후베이성: 중국 중심부에 있는 성. 둥팅호(洞庭湖) 북쪽에 있으며, 양쯔강(揚子江)과 한수이강(漢水江)이 남쪽과 북쪽을 지난다. 수륙 교통 요충지로 쌀ㆍ밀ㆍ옥수수 따위가 많이 나는 곡창 지대이며, 화중(華中) 공업 지구를 이루고 있다. 성도(省都)는 우한(武漢), 면적은 18만 7500㎢.)
- 사천성 (四川省) : → 쓰촨성. (쓰촨성: 중국 양쯔강(揚子江) 상류에 있는 성. 비옥한 쓰촨 분지가 펼쳐져 있으며, 쌀과 차[茶]를 많이 생산한다. 성도(省都)는 청두(成都), 면적은 48만 8000㎢.)
- 잠산성 (潛酸性) : 흙 따위가 산성 반응을 일으키기 전의 상태. 물과 결합하면 활산성으로 변한다.
- 세포 변성 (細胞變性) : 활동의 저하, 노쇠 따위로 나타나는 세포의 형태 및 기능의 변화. 세포질과 세포핵에서 나타나며, 계속 변화하면 죽게 되고 그 원인이 없어지거나 적당한 조건이 갖추어지면 정상 상태로 된다.
- 자기 변광성 (磁氣變光星) : 시간에 따라 변하는 자기장을 가진 항성. 자기장은 거의 규칙적으로 변하고, 그 진폭은 매우 크며 방향은 역전하는 것이 많다.
- 변통성 (變通性) : 형편과 경우에 따라서 일을 융통성 있게 잘 처리할 수 있는 성질이나 능력.
- 일백 수성 (一白水星) : 음양가들의 말로, ‘수성’을 이르는 말. 구궁(九宮)에서의 북쪽 방위, 곧 감방(坎方)을 이르며, 겨울철을 상징한다. (수성: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행성. 공전 주기는 87.98일, 자전 주기는 59일, 반지름은 2,439km, 질량은 지구의 18분의 1, 태양과의 평균 거리는 5791만 km이다.)
- 왕검성 (王儉城) : 고조선의 도읍지.
- 화성의 위성 (火星의衛星) : 화성의 둘레를 공전하는 두 천체. 제1위성은 포보스로 반지름이 10~14km이고, 제2위성은 데이모스로 반지름이 6~8km이다. 1877년에 미국의 천문학자 홀(Hall, A.)이 발견하였으며, 1971년 11월에 미국의 화성 탐사선 매리너 9호가 근접 촬영에 성공하였다.
- 정직성 (正直性) : 마음에 거짓이나 꾸밈이 없이 바르고 곧은 특성.
- 이방성 (異方性) : 1 방향에 따라 물체가 달리 보이는 현상. 같은 길이의 선분을 수직과 수평으로 놓으면 수직 선분이 더 길게 보이는 따위의 현상이다. 2 물체의 물리적 성질이 방향에 따라 다른 성질. 물체의 탄성, 팽창률, 열전도율, 광선 굴절률 따위에서 나타난다.
- 여성 (女性) : 1 성(性)의 측면에서 여자를 이르는 말. 특히, 성년(成年)이 된 여자를 이른다. 2 서구어(西歐語)의 문법에서, 단어를 성(性)에 따라 구별할 때에 사용하는 말의 하나.
- 취몽불성 (醉夢不醒) : 술에 취하여 꾸는 꿈이 깨지 아니함.
- 책성 (責成) : 1 일의 책임과 부담을 지움. 2 남에게 맡긴 일이 잘되도록 다짐을 받음.
- 완벽성 (完璧性) : 완벽한 성질이나 상태.
- 가단성 (可鍛性) : 고체가 외부의 충격에 깨지지 않고 늘어나는 성질.
- 농가집성 (農家集成) : 조선 효종 때에 신속(申洬)이 엮은 권농서. ≪농사직설≫, ≪권농문(勸農文)≫, ≪금양잡록≫, ≪사시찬요≫를 모아 놓았다. 1책.
- 해사 위성 (海事衛星) : 항해 중인 선박의 위치를 정확히 알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전파를 발사하는 인공위성.
- 조기성 (早期星) : 별의 스펙트럼형에서, 표면 온도가 높아 청색이나 청백색으로 보이는 별. 표면 온도가 낮은 별들과 구별하기 위한 명칭이다. 오(O)형, 비(B)형, 에이(A)형, 에프(F)형 따위가 있다.
- 출몰성 (出沒星) : 천구(天球)의 일주 운동에 따라 지평선에 출몰하는 별. 적도 지대에서는 모든 별이 출몰성이다.
- 과학 위성 (科學衛星) : 지구 또는 우주 공간의 탐사나 측정 등 과학적 연구를 목적으로 발사되는 위성.
- 서강성 (西康省) : → 시캉성. (시캉성: 중국 서남쪽에 있던 옛 성. 1928년에 설치하였다가 1955년에 폐지하였다. 성도(省都)는 캉딩(康定)이었다.)
- 만백성 (萬百姓) : 나라 안의 모든 백성.
- 평등성 (平等性) : 여러 사람을 차별하지 아니하고 같이 다루는 특성.
- 검성 (黔省) : ‘구이저우성’의 옛 이름. (구이저우성: 중국 남부에 있는 성. 고원 지대이나 여러 하천에 의해 개석(開析)이 이루어져 기복이 심하고, 경지 면적이 협소하여 계단식 경작이 발달되어 있으며, 금ㆍ석탄 따위의 풍부한 광산물을 이용하여 근대 공업이 발달하였다. 성도(省都)는 구이양(貴陽), 면적은 18만 ㎢.)
- 괴성 (怪聲) : 괴상한 소리.
- 양성 (兩性) : 1 남성과 여성을 아울러 이르는 말. 2 사물의 서로 다른 두 가지 성질. 3 암컷의 성질과 수컷의 성질을 아울러 이르는 말. ... (총 4개의 의미)
- 송강성 (松江省) : → 쑹장성. (쑹장성: 중국 만주 쑹화강(松花江) 유역의 옛 성. 동쪽으로 창바이산맥(長白山脈), 북쪽으로 소싱안링산맥(小興安嶺山脈)이 뻗어 있으며 중국에서 가장 추운 지역의 하나이다. 농산물과 석탄, 금이 많이 나며 수운(水運)과 철도망이 발달하였다. 1954년에 헤이룽장성(黑龍江省)에 병합되었다.)
- 칠성 (七星) : 1 탐랑(貪狼), 거문(巨門), 녹존(祿存), 문곡(文曲), 염정(廉貞), 무곡(武曲), 파군(破軍) 따위 일곱 개의 별. 밀교에서, 이것을 섬기면 천재지변 따위를 미리 막을 수 있다 하여 북두 만다라를 본존으로 하는 북두법이 최대 비법이었다. 2 관(棺) 속 바닥에 까는 얇은 널조각. 북두칠성을 본떠서 일곱 개의 구멍을 뚫어 놓는다. 3 큰곰자리에서 국자 모양을 이루며 가장 뚜렷하게 보이는 일곱 개의 별. 이름은 각각 천추(天樞), 천선(天璇), 천기(天璣), 천권(天權), 옥형(玉衡), 개양(開陽), 요광(搖光)이라 하며 앞의 네 별을 괴(魁), 뒤의 세 별을 표(杓)라 하고 합하여 두(斗)라 한다. 위치는 천구(天球)의 북극에서 약 30도 떨어져 있으며, 천추와 천선을 일직선으로 연결한 곳에서부터 그 길이의 다섯 배만큼 떨어진 거리에 북극성이 있다. 국자의 자루 끝에 있는 요광은 하루에 열두 방위를 가리키므로 옛날에는 시각(時刻)의 측정이나 항해의 지침으로 삼았다.
- 공성 (孔性) : 분자 사이에 빈틈이 있는 물질의 성질. 설탕이나 소금 따위가 물에 녹는 것은 물의 이 성질 때문이다.
- 북두성 (北斗星) : 큰곰자리에서 국자 모양을 이루며 가장 뚜렷하게 보이는 일곱 개의 별. 이름은 각각 천추(天樞), 천선(天璇), 천기(天璣), 천권(天權), 옥형(玉衡), 개양(開陽), 요광(搖光)이라 하며 앞의 네 별을 괴(魁), 뒤의 세 별을 표(杓)라 하고 합하여 두(斗)라 한다. 위치는 천구(天球)의 북극에서 약 30도 떨어져 있으며, 천추와 천선을 일직선으로 연결한 곳에서부터 그 길이의 다섯 배만큼 떨어진 거리에 북극성이 있다. 국자의 자루 끝에 있는 요광은 하루에 열두 방위를 가리키므로 옛날에는 시각(時刻)의 측정이나 항해의 지침으로 삼았다.
- 삼랑성 (三郞城) :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의 정족산(鼎足山)에 있는 고성(古城). 단군이 세 아들에게 명하여 쌓았다는 전설이 전한다. 성안에 전등사, 정족산 사고(史庫)의 유지(遺址), 양헌수 승전비 따위가 남아 있다. 사적 정식 명칭은 ‘강화 삼랑성’이다. 사적 제130호.
- 필연성 (必然性) : 1 법칙, 규범 따위에 불가피하게 제약받고 있는 성질. 일정한 조건에서는 다르게 되지 않고 반드시 그렇게 되어야 하는 사물 현상의 연관과 그런 특성을 이른다. 2 사물의 관련이나 일의 결과가 반드시 그렇게 될 수밖에 없는 요소나 성질.
- 처녀성 (處女性) : 처녀로서 지니고 있는 특성. 특히 성적 순결을 이른다.
- 주재성 (周宰成) : 조선 시대의 학자ㆍ의병장(1681~1743). 자는 성재(聖哉). 호는 국담(菊潭). 영조 4년(1728) 이인좌의 난 때에 분치령(分峙嶺)을 방어하였으며, 난이 평정된 후에 고향에서 학문 연구와 후진 양성에 힘썼다. 저서에 ≪용학강의≫, ≪경의집록≫ 따위가 있다.
- 추성 (樞星) : 북두칠성의 머리 쪽에 있는 네 개의 별 가운데 첫째 별. 큰곰자리의 알파성(alpha星)으로, 밝기는 2.0등급이다.
- 촉성 (蜀省) : ‘쓰촨성’의 옛 이름. (쓰촨성: 중국 양쯔강(揚子江) 상류에 있는 성. 비옥한 쓰촨 분지가 펼쳐져 있으며, 쌀과 차[茶]를 많이 생산한다. 성도(省都)는 청두(成都), 면적은 48만 8000㎢.)
- 가역성 (可逆性) : 물질이 어떤 상태로 변하였다가 다시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갈 수 있는 성질.
- 기성 (棋聖/碁聖) : 1 바둑이나 장기의 재주가 뛰어나 상대할 사람이 없는 이를 높여 이르는 말. 2 우리나라와 일본의 권위 있는 바둑 대회에서 우승한 이를 이르는 말.
- 초웅성 (超雄性) : 초파리에서 한 개의 엑스(X) 염색체와 세 쌍의 보통 염색체를 가진 개체. 표현형은 수컷이다.
- 근성 (根性) : 1 뿌리가 깊게 박힌 성질. 2 태어날 때부터 지니고 있는 근본적인 성질.
- 설경성 (薛景成) : 고려 시대의 명의(名醫)(1237~1313). 찬성사를 지냈으며, 충렬왕의 병을 치료하여 유명해졌다. 원나라의 세조와 성종의 병도 고쳤다고 한다.
- 자웅성 (雌雄性) : 하나의 종에서 암컷과 수컷으로 나눌 수 있는 성질. 생식 기관의 차이로 구별된다. 장수풍뎅이의 뿔, 사자의 갈기 따위처럼 외관적으로 자웅의 구별이 가능한 것도 있다.
- 지발 우성 (遲發優性) : 개체 발육의 초기에는 나타나지 아니하고, 후기가 되면 대립 형질을 억제하고 우성으로 발현하는 형질.
- 점마별성 (點馬別星) : 조선 시대에, 임금의 명령으로 말을 검열하기 위하여 제주도에 특별히 파견하던 벼슬아치.
- 내서성 (內書省) : 고려 초기에, 경서(經書)와 축문(祝文)을 맡아보던 관아. 성종 14년(995)에 비서성으로 고치고, 충렬왕 24년(1298)에 비서감으로, 다시 34년(1308)에 전교시로 이름을 고쳤다.
- 자본 구성 (資本構成) : 1 기업에서 자기 자본과 남의 자본과의 구성 비율. 2 마르크스 자본론에서, 하나의 자본을 그 구성면에서 가변 자본과 불변 자본으로 나눈 비율.
- 지행성 (趾行性) : 포유류가 걷는 방식 가운데 하나. 개나 고양이처럼 두 발가락 마디만을 땅에 대고 걷는 것을 이른다.
▹ 품사로 구분한 통계
▹ 글자수로 구분한 통계
💡성으로 끝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0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3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620개입니다.
- 1 글자 17개 : 성
- 2 글자 997개 : 토성, 언성, 욱성, 혼성, 찬성, 중성, 계성, 공성, 도성, 왜성 3 글자 1,620개 4 글자 562개 5 글자 162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