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 🌾끝 단어 2,540개
-
휴전선
(休戰線)
:
1
휴전 협정에 따라서 결정되는 쌍방의 군사 경계선.
2
1953년 7월 27일, 6ㆍ25 전쟁의 휴전에 따라서 한반도의 가운데를 가로질러 설정된 군사 경계선.
🌏 休: 쉴 휴 戰: 싸울 전 線: 선 선 -
백우선
(白羽扇)
:
새의 흰 깃으로 만든 부채.
🌏 白: 흰 백 羽: 깃 우 扇: 부채 선 -
수선
(修繕)
:
낡거나 헌 물건을 고침.
🌏 修: 닦을 수 繕: 기울 선 -
삼도선
(三島船)
:
주로 화물선의 구조 양식으로 상갑판이 선수부(船首部)ㆍ선교부ㆍ선미부(船尾部)로 구분된 배. 선체(船體)는 최대 흘수선(吃水線)까지 화물을 실어도 상관없도록 튼튼하게 만들어져 있으며, 용적에 비하여 무거운 화물을 싣기에 알맞게 되어 있다.
🌏 三: 석 삼 島: 섬 도 船: 배 선 -
임신선
(妊娠線)
:
임신부의 배벽이나 유방의 피부에 생기는 적색의 가느다란 선. 배나 유방의 팽창으로 피부가 과도하게 늘어나서, 피부밑 조직이 끊어져서 생긴다. 분만 후에는 백색의 흉터가 되어 남는다.
🌏 妊: 임신할 임 娠: 애밸 신 線: 선 선 -
연근해 복지 모선
(沿近海福祉母船)
:
연근해를 항해하면서 바다에서 조업 중인 어선에 대하여 의료, 보급, 수선 따위의 혜택을 베풀고 조업 지도를 하는 배.
🌏 沿: 따를 연 近: 가까울 근 海: 바다 해 福: 복 복 祉: 복 지 母: 어머니 모 船: 배 선 -
외선
(外船)
:
1
외국 항로에 취항하는 배.
2
외국 정부나 외국인이 소유한 선박을 내국선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 外: 바깥 외 船: 배 선 -
삼팔선
(三八線)
:
위도가 38도가 되는 선. 특히 한반도의 중앙부를 가로지르고 있는 북위 38도선을 이른다.
🌏 三: 석 삼 八: 여덟 팔 線: 선 선 -
단색 광선
(單色光線)
:
일정한 파장을 가지는 단일한 색으로 된 빛. 스펙트럼에 의하여 더 이상 분해되지 않는 빛으로 나트륨 전등의 노란빛, 레이저 광선 따위가 여기에 속한다.
🌏 單: 홑 단 色: 빛 색 光: 빛 광 線: 선 선 -
자연 광선
(自然光線)
:
램프ㆍ전구 따위의 인공적인 광원에서 나오는 빛이 아닌, 태양 따위의 천연의 빛.
🌏 自: 스스로 자 然: 그럴 연 光: 빛 광 線: 선 선 -
연식 비행선
(軟式飛行船)
:
내부 가스의 압력을 이용하여 만든, 공기보다 가벼운 비행선. 골격이 없고 기낭(氣曩)을 접을 수 있다.
🌏 軟: 부드러울 연 式: 법 식 飛: 날 비 行: 다닐 행 船: 배 선 -
탄소선
(炭素線)
:
순수한 무명실이나 대나무의 껍질을 밀폐한 그릇 속에 넣어 태워서 만든 가느다란 줄. 전구 안의 필라멘트로 썼다.
🌏 炭: 숯 탄 素: 흴 소 線: 선 선 -
신간선
(新幹線)
:
‘신칸센’을 우리 한자음으로 읽은 이름. (신칸센: 일본의 고속 철도. 일본 혼슈(本州)의 도쿄(東京)와 규슈(九州)의 후쿠오카(福岡)를 잇는 철도이다.)
🌏 新: 새로울 신 幹: 줄기 간 線: 선 선 -
누선
(樓船)
:
다락이 있는 배. 배 안에 이 층으로 집을 지은 배로서 주로 해전이나 뱃놀이에 쓰였다.
🌏 樓: 다락 누 船: 배 선 -
여래선
(如來禪)
:
여래의 가르침으로 깨닫는 선(禪).
🌏 如: 같을 여 來: 올 래 禪: 고요할 선 -
세자우필선
(世子右弼善)
:
고려 시대에, 동궁에 속한 사품 벼슬. 공양왕 2년(1390)에 두었다.
🌏 世: 세대 세 子: 아들 자 右: 오른쪽 우 弼: 도울 필 善: 착할 선 -
점선
(點線)
:
점 또는 짧은 선 토막으로 이루어진 선.
🌏 點: 점찍을 점 線: 선 선 -
침몰선
(沈沒船)
:
물속에 가라앉은 배.
🌏 沈: 잠길 침 沒: 잠길 몰 船: 배 선 -
모선
(母船)
:
1
원양 어업에서, 많은 부속 어선을 거느리고 어획물을 처리, 냉동하는 큰 배.
2
어떤 작업의 중심체가 되는 큰 배나 비행기.
🌏 母: 어머니 모 船: 배 선 -
포작선
(匏作船)
:
바다에서, 해물을 채취하는 사람들이 타는 배.
🌏 匏: 박 포 作: 지을 작 船: 배 선 -
생물 전선
(生物前線)
:
생물이 일 년 가운데 처음으로 활동을 시작하는 전국 각지의 시기와 장소를 선으로 이어 나타낸 것. 벚꽃 전선, 배추흰나비의 초견(初見) 전선, 싸리 개화 전선 따위가 있다.
🌏 生: 날 생 物: 만물 물 前: 앞 전 線: 선 선 -
골동선
(骨董禪)
:
가볍고 오만한 마음으로 기운 없이 참선하는 모양을 꾸짖는 말.
🌏 骨: 뼈 골 董: 바로잡을 동 禪: 고요할 선 -
창선
(彰善)
:
남의 착한 행실을 세상에 드러냄.
🌏 彰: 밝을 창 善: 착할 선 -
전초선
(前哨線)
:
여러 전초 부대를 가상적으로 연결한 선. 또는 그런 지역.
🌏 前: 앞 전 哨: 망볼 초 線: 선 선 -
단선
(單船)
:
한 척의 배.
🌏 單: 홑 단 船: 배 선 -
고가선
(高架線)
:
1
도시 교통의 혼잡을 덜고 교통 소통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땅 위에 높은 구조물을 만들어 그 위에 가설한 철도.
2
높이 건너질러 가설하여 고압 전류를 송전하는 전선.
🌏 高: 높을 고 架: 시렁 가 線: 선 선 -
송과선
(松果腺)
:
‘솔방울샘’의 전 용어. (솔방울샘: 좌우 대뇌 반구 사이 셋째 뇌실의 뒷부분에 있는 솔방울 모양의 내분비 기관. 생식샘 자극 호르몬을 억제하는 멜라토닌을 만들어 낸다.)
🌏 松: 소나무 송 果: 열매 과 腺: 샘 선 -
선
(禪)
:
1
마음을 한곳에 모아 고요히 생각하는 일.
2
참선으로 자신의 본성을 구명하여 깨달음의 묘경(妙境)을 터득하고, 부처의 깨달음을 교설(敎說) 외에 이심전심으로 중생의 마음에 전하는 것을 종지(宗旨)로 하는 종파. 중국 양나라 때 달마 대사가 중국에 전하였다. 우리나라에는 신라 중엽에 전해져 구산문이 성립되었다.
3
고요히 앉아서 참선함. 인도에서 석가모니 이전부터 행하던 수행법으로 석가모니가 불교의 실천 수행법으로 발전시켰다. 특히 선종에서 중요시하는 수행법이다.
🌏 禪: 고요할 선 -
자매선
(姊妹船)
:
같은 설계로 건조(建造)한 배. 또는 그런 관계에 있는 배들.
🌏 姊: 누이 자 妹: 손아랫 누이 매 船: 배 선 -
안섶선
(안섶線)
:
안섶의 가장자리를 이루는 선.
🌏 線: 선 선 -
전리 방사선
(電離放射線)
:
물질을 통과할 때에 이온화를 일으키는 엑스선, 알파선, 감마 입자, 양성자, 중성자 따위의 방사선.
🌏 電: 번개 전 離: 떠날 리 放: 놓을 방 射: 쏠 사 線: 선 선 -
칠첩선
(漆貼扇)
:
옻칠을 한 부채.
🌏 漆: 옻 칠 貼: 붙을 첩 扇: 부채 선 -
상하선
(上下船)
:
1
사람이 배에 오르거나 배에서 내림.
2
배에 짐을 싣거나 배에서 짐을 내려 부림.
🌏 上: 위 상 下: 아래 하 船: 배 선 -
주저항선
(主抵抗線)
:
주력 부대를 배치하고 폭격 및 함포 사격을 포함한 모든 전투 준비를 갖추어서 방어하도록 설정한 전선.
🌏 主: 주인 주 抵: 거스를 저 抗: 막을 항 線: 선 선 -
계자 권선
(界磁捲線)
:
계자극에 부착하여 자화를 목적으로 적절하게 절연된 권선. 회전기에서 자극에 계자 속을 형성하기 위하여 설치하여 놓은 권선으로, 자극을 돌극(突極) 형태로 만들어 권선을 설치하거나 원통 회전자를 갖는 동기기(同期機)에서는 한 쌍의 홈 안에 권선을 설치한다.
🌏 界: 경계 계 磁: 자석 자 捲: 말 권 線: 선 선 -
저압선
(低壓線)
:
배전선에서, 전압을 낮추어 수요자에게 보내는 전선. 보통 상전압 220볼트의 삼상 사선식을 많이 쓴다.
🌏 低: 낮을 저 壓: 누를 압 線: 선 선 -
케이블 부설선
(cable敷設船)
:
바다나 강에 수중 케이블을 부설하는 배.
🌏 敷: 펼 부 設: 베풀 설 船: 배 선 -
추선
(秋蟬)
:
가을의 매미.
🌏 秋: 가을 추 蟬: 매미 선 -
금지선
(禁止線)
:
원자, 분자 따위의 에너지 상태가 준안정 상태에서 바닥상태로 옮겨 갈 때에 나타나는, 일차 섭동이 요인이 아닌 스펙트럼선.
🌏 禁: 금할 금 止: 그칠 지 線: 선 선 -
원적외선
(遠赤外線)
:
파장이 가장 긴 영역의 적외선. 파장은 50μm~1mm이다.
🌏 遠: 멀 원 赤: 붉을 적 外: 바깥 외 線: 선 선 -
치선
(癡禪)
:
침묵만을 지키고 멍청히 앉아 있을 뿐 아무런 지견(知見)이 열리지 아니한 어리석은 선객.
🌏 癡: 어리석을 치 禪: 고요할 선 -
우선
(牛癬)
:
‘백선’을 한방에서 이르는 말. (백선: 피부 진균의 침입으로 생기는 전염 피부병을 통틀어 이르는 말. 표피나 진피가 변화하여 피부의 빛깔이 변하고 살갗이나 털이 떨어지며 얼룩이 생긴다.)
🌏 牛: 소 우 癬: 옴 선 -
카르텔선
(cartel船)
:
포로를 교환하는 일과 같이 교전국 사이의 교통을 위하여 사용하는 선박. 국제법에 따르면, 이 배는 공격ㆍ나포ㆍ몰수할 수 없다.
🌏 船: 배 선 -
국내선
(國內線)
:
철도, 항공 노선이나 전화선 따위에서 나라 안의 교통이나 통신에만 이용하는 선.
🌏 國: 나라 국 內: 안 내 線: 선 선 -
겹선
(겹線)
:
두 가닥으로 겹친 선.
🌏 線: 선 선 -
공간 탐색선
(空間探索船)
:
자동 관측기와 그 관측 데이터를 송신할 무선 장치를 실은 무인(無人) 우주 비행체.
🌏 空: 빌 공 間: 사이 간 探: 찾을 탐 索: 찾을 색 船: 배 선 -
감시선
(監視船)
:
해상에서 감시 활동을 하는 배.
🌏 監: 볼 감 視: 볼 시 船: 배 선 -
속도선
(速度線)
:
배나 비행기가 나아가는 방향에 거의 직각인 위치선. 실제 속력을 정할 때 항공기나 함선 따위를 쓴다.
🌏 速: 빠를 속 度: 법도 도 線: 선 선 -
사략선
(私掠船)
:
승무원은 민간인이지만 교전국의 정부로부터 적선을 공격하고 나포할 권리를 인정받은, 무장한 사유(私有)의 선박. 16~17세기에 유럽에서 성행하였으나 1907년에 제이 차 헤이그 평화 회의 결과 금지되었다.
🌏 私: 사사로울 사 掠: 노략질할 략 船: 배 선 -
철도 간선
(鐵道幹線)
:
철도의 중심이 되는 노선.
🌏 鐵: 쇠 철 道: 길 도 幹: 줄기 간 線: 선 선
▹ 품사로 구분한 통계
▹ 글자수로 구분한 통계
💡선으로 끝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1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3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022개입니다.
- 1 글자 22개 : 선
- 2 글자 727개 : 재선, 밀선, 문선, 심선, 만선, 회선, 백선, 대선, 철선 3 글자 1,022개 4 글자 470개 5 글자 213개
▹ 분야로 구분한 통계
💡선으로 끝나는 단어들의 분야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57개의 분야 중에서 교통이 가장 많고, 단어수는 219개입니다.
- 교통 219개 : 선미 기관선, 철산선, 울산항선, 안벽선, 공기 부양선, 임항선, 해난 구조선, 개천선, 천내리선, 수선
- 수학 139개 : 공간 곡선, 측지선, 공통 내접선, 포락선, 왜곡선, 전직선, 파선, 자폐선, 삼차 곡선, 보조선 역사 130개 전기·전자 128개 물리 123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