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 🌾끝 단어 2,756개
-
조상
(弔喪)
:
남의 죽음에 대하여 슬퍼하는 뜻을 드러내어 상주(喪主)를 위문함. 또는 그 위문.
🌏 弔: 조상할 조 喪: 죽을 상 -
방상
(方箱)
:
네모난 상자.
🌏 方: 모 방 箱: 상자 상 -
차상
(嗟傷)
:
한탄하며 슬퍼함.
🌏 嗟: 탄식할 차 傷: 상처 상 -
미술의상
(美術衣裳)
:
옷에다가 예술적 창작 의도를 표현한 것.
🌏 美: 아름다울 미 術: 꾀 술 衣: 옷 의 裳: 치마 상 -
논공행상
(論功行賞)
:
공적의 크고 작음 따위를 논의하여 그에 알맞은 상을 줌.
🌏 論: 논의할 논 功: 공 공 行: 다닐 행 賞: 상줄 상 -
취상
(就牀)
:
잠자리에 들어 잠을 잠.
🌏 就: 나아갈 취 牀: 평상 상 -
전격상
(電擊傷)
:
‘전기충격증후군’의 전 용어. (전기 충격 증후군: 감전에 의하여 일어나는 상해(傷害).)
🌏 電: 번개 전 擊: 부딪칠 격 傷: 상처 상 -
진상
(進上)
:
1
진귀한 물품이나 지방의 토산물 따위를 임금이나 고관 따위에게 바침.
2
겉보기에 허름하고 질이 나쁜 물건을 속되게 이르는 말.
🌏 進: 나아갈 진 上: 위 상 -
두부 외상
(頭部外傷)
: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머리를 다치는 경우를 통틀어 이르는 말. 머리덮개와 연부(軟部) 조직만 손상된 경우와 머리뼈 골절이 일어난 경우, 머리뼈안의 출혈이 있는 경우가 있다.
🌏 頭: 머리 두 部: 나눌 부 外: 바깥 외 傷: 상처 상 -
복고사상
(復古思想)
:
복고적인 경향이 있는 사상.
🌏 復: 돌아올 복 古: 옛 고 思: 생각 사 想: 생각 상 -
사반상
(沙飯床)
:
사기로 만든 반상기.
🌏 沙: 모래 사 飯: 밥 반 床: 평상 상 -
요상
(僚相)
:
정승끼리 이름 대신 상대편을 이르던 말.
🌏 僚: 동료 요 相: 서로 상 -
유상
(有償)
:
어떤 행위에 대하여 보상이 있음.
🌏 有: 있을 유 償: 갚을 상 -
인상
(印象)
:
어떤 대상에 대하여 마음속에 새겨지는 느낌.
🌏 印: 도장 인 象: 코끼리 상 상아 상 상징 상 형상 상 징조 상 용모 상 상상 상 법제 상 역법 상 본받을 상 -
은기성상
(銀器城上)
:
임금이 쓰는 은그릇을 관리하던 별감(別監).
🌏 銀: 은 은 器: 그릇 기 城: 재 성 上: 위 상 -
접이걸상
(접이걸床)
:
접었다 폈다 할 수 있는 걸상.
🌏 床: 평상 상 -
인정상
(人情上)
:
인정에 따라 비추어 보는 일.
🌏 人: 사람 인 情: 뜻 정 上: 위 상 -
번상
(番床)
:
예전에, 번을 들 때에 자기 집에서 차려 내오던 밥상.
🌏 番: 차례 번 床: 평상 상 -
송상
(送像)
:
텔레비전이나 전송 사진 따위에서, 화면을 전파로 보냄. 또는 그런 일.
🌏 送: 보낼 송 像: 모양 상 -
전상
(戰狀)
:
전쟁의 실제 상황.
🌏 戰: 싸울 전 狀: 형상 상 -
치상
(治喪)
:
초상을 치름.
🌏 治: 다스릴 치 喪: 죽을 상 -
오만물상
(奧萬物相)
:
금강산 외금강에 있는 명소. 구만물초(九萬物草)와 십만물초(十萬物草)의 뒤쪽에 있는데, 모양새가 매우 기묘하다.
🌏 奧: 아랫목 오 萬: 일만 만 物: 만물 물 相: 서로 상 -
은상
(銀賞)
:
상(賞)의 등급을 금, 은, 동으로 나누었을 때 2등에 해당하는 상.
🌏 銀: 은 은 賞: 상줄 상 -
삼청상
(三淸象)
:
도교에서, 해ㆍ달ㆍ별을 상징하는 세 신상(神象)을 이르는 말.
🌏 三: 석 삼 淸: 맑을 청 象: 코끼리 상 상아 상 상징 상 형상 상 징조 상 용모 상 상상 상 법제 상 역법 상 본받을 상 -
곡상
(斛上)
:
조선 후기에, 세미(稅米)를 받을 때 중간 손실을 예상하여 한 섬에 석 되씩을 더 받던 일.
🌏 斛: 휘 곡 上: 위 상 -
윤두서상
(尹斗緖像)
:
조선 후기 문인이며 화가인 윤두서의 자화상. 종이에 옅은 채색으로 그린 그림으로 세로 38.5cm, 가로 20.5cm이다. 국보 정식 명칭은 ‘윤두서 자화상’이다. 국보 제240호.
🌏 尹: 다스릴 윤 斗: 말 두 緖: 실마리 서 像: 모양 상 -
액상
(額像)
:
궁중에서, ‘이마’를 이르던 말. (이마: 얼굴의 눈썹 위로부터 머리털이 난 아래까지의 부분., 어떤 물체 꼭대기의 앞쪽이 되는 부분., 아궁이 위 앞에 가로로 걸쳐 놓은 긴 돌., ‘앞머리’를 전문적으로 이르는 말. (앞머리: 정수리 앞쪽 부분의 머리.))
🌏 額: 이마 액 像: 모양 상 -
유상
(柳箱)
:
키버들의 가지로 결어 만든 상자. 주로 옷을 넣는 데 쓴다.
🌏 柳: 버들 유 箱: 상자 상 -
부식강상
(扶植綱常)
:
인륜(人倫)의 길을 바로 세움.
🌏 扶: 도울 부 植: 심을 식 綱: 벼리 강 常: 항상 상 -
퇴상
(退床)
:
1
혼인 잔치 때에 큰상을 받았다가 물린 뒤에 상을 받은 사람의 집으로 음식을 싸 보내는 일.
2
음식상을 물림.
🌏 退: 물러날 퇴 床: 평상 상 -
각내상
(閣內相)
:
영국에서, 각의(閣議)에 항상 참여하는 17~18명의 주요 각료.
🌏 閣: 문설주 각 內: 안 내 相: 서로 상 -
판막상
(瓣膜狀)
:
판막의 모양.
🌏 瓣: 외씨 판 膜: 꺼풀 막 狀: 형상 상 -
몰이상
(沒理想)
:
문학 창작에서, 이상(理想)이나 개인의 견해가 직접 드러나지 않고 이상보다는 현실이 그대로 묘사되어 있는 것.
🌏 沒: 잠길 몰 理: 다스릴 이 想: 생각 상 -
석상
(石像)
:
돌을 조각하여 만든 사람이나 동물의 형상.
🌏 石: 돌 석 像: 모양 상 -
노권상
(勞倦傷)
:
지나치게 피로하여 맥이 풀리고 열이 나며 말과 동작이 느려지고 속이 괴로운 병증.
🌏 勞: 수고로울 노 倦: 게으를 권 傷: 상처 상 -
감상
(感想)
:
마음속에서 일어나는 느낌이나 생각.
🌏 感: 느낄 감 想: 생각 상 -
어사상
(御史床)
:
어사가 받는 상이라는 뜻으로, 남을 업신여기어 초라하게 차려 내는 음식상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 御: 어거할 어 史: 역사 사 床: 평상 상 -
주체사상
(主體思想)
:
북한의 김일성이 1967년 12월 최고 인민 회의에서 발표한 내외 정책의 기본 방침. 정치 면에서의 자주, 경제 면에서의 자립, 국방 면에서의 자위(自衛)를 중심 내용으로 하는데, 이를 통하여 김일성의 지배 체제가 한층 강화되었다.
🌏 主: 주인 주 體: 몸 체 思: 생각 사 想: 생각 상 -
변화무상
(變化無常)
:
늘 변화하여 일정하지 않음.
🌏 變: 변할 변 化: 될 화 無: 없을 무 常: 항상 상 -
공고상
(公故床)
:
‘번상’을 격식을 차려 이르는 말. (번상: 예전에, 번을 들 때에 자기 집에서 차려 내오던 밥상.)
🌏 公: 공변될 공 故: 옛 고 床: 평상 상 -
별체아당상
(別遞兒堂上)
:
조선 시대에, 사역원에 속한 벼슬.
🌏 別: 다를 별 遞: 갈마들 체 兒: 아이 아 堂: 집 당 上: 위 상 -
서상
(瑞相)
:
상서로운 조짐.
🌏 瑞: 상서 서 相: 서로 상 -
예불상
(禮佛床)
:
예불할 때에 올리는 상.
🌏 禮: 예도 예 佛: 부처 불 床: 평상 상 -
산채 진상
(山菜進上)
:
해마다 첫봄에 경기의 여러 관아에서 신감채 따위의 산채를 궁중에 진상하던 일.
🌏 山: 뫼 산 菜: 나물 채 進: 나아갈 진 上: 위 상 -
유상
(謬想)
:
틀린 생각. 또는 잘못된 사상.
🌏 謬: 그릇될 유 想: 생각 상 -
탑상
(榻牀)
:
걸상과 평상(平牀)을 아울러 이르는 말.
🌏 榻: 걸상 탑 牀: 평상 상 -
열반상
(涅槃相)
:
팔상(八相)의 하나. 석가모니가 입적하는 모습이다. 머리를 북쪽에 두고, 얼굴은 서쪽을 향하며 오른쪽 옆구리를 밑으로 하고 누워 있다.
🌏 涅: 개흙 열 槃: 쟁반 반 相: 서로 상 -
잡화상
(雜貨商)
:
여러 가지 잡다한 일용품을 파는 장사. 또는 그런 장수.
🌏 雜: 섞일 잡 貨: 재화 화 商: 장사 상 -
양상
(良相)
:
훌륭한 재상.
🌏 良: 어질 양 相: 서로 상 -
잠상
(潛像)
:
필름이나 인화지에 바른 유제막의 할로젠화 은이 감광되어 만들어지는, 눈으로는 보이지 않는 화상. 현상 처리에 의하여 눈으로 볼 수 있게 된다.
🌏 潛: 자맥질할 잠 像: 모양 상
▹ 품사로 구분한 통계
▹ 글자수로 구분한 통계
💡상으로 끝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3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2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284개입니다.
- 1 글자 26개 : 상
- 2 글자 1,284개 : 세상, 미상, 명상, 여상, 쾌상, 해상, 혼상, 식상, 평상, 천상 3 글자 600개 4 글자 586개 5 글자 97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