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 🌾끝 단어 3,196개
- 의장법 (意匠法) : 의장의 보호 및 이용을 도모함으로써 의장의 창작을 장려하기 위하여 제정한 법률. 국가 산업의 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2004년 ‘디자인보호법’으로 명칭이 바뀌었다.
- 농법 (弄法) : 법을 제멋대로 악용함.
- 발열 요법 (發熱療法) : 말라리아의 열성(熱性)을 이용한 치료법. 독성이 약한 말라리아 병원충을 주사하여 40°C의 열을 10회 이상 오르게 만듦으로써 신경 계통의 매독을 치료하고, 나중에 키니네로 말라리아를 치료한다.
- 청원법 (請願法) : 헌법에 보장된 국민의 청원권 행사에 관한 절차와 처리에 대한 사항을 규정한 법.
- 회건법 (灰乾法) : 미역을 말리는 방법의 하나. 양치류나 초록색 잎을 태운 재를 미역에 묻혀서 그늘에 말린 다음 재를 씻어 내고 햇볕에 말린다.
- 토경법 (土耕法) : 특별히 고른 흙에 식물을 기르는 시험 방법. 거름의 효과나 그 식물 또는 흙의 특성을 시험한다.
- 삼척법 (三尺法) : ‘법률’을 이르던 말. 고대 중국에서 석 자 길이의 죽간(竹簡)에 법률을 썼던 데서 유래한다. (법률: 국가의 강제력을 수반하는 사회 규범. 국가 및 공공 기관이 제정한 법률, 명령, 규칙, 조례 따위이다., 국회의 의결을 거쳐 대통령이 서명하고 공포함으로써 성립하는 국법(國法). 헌법의 다음 단계에 놓이며, 행정부의 명령이나 입법부와 사법부의 규칙 따위와 구별되어 명령ㆍ규칙이 법률에 위반되면 법원에서 그 규칙이나 명령의 적용은 거부되고 법률이 헌법에 위반되면 법원은 그 법률의 적용을 거부한다., 부처가 설법한 가르침과 신자가 지켜야 할 규율.)
- 우조 탄법 (羽調彈法) : 우조 음악의 연주법. 위아래로 오르내리며 흐르는 물과 같이 연주한다.
- 적도 투영법 (赤道投影法) : 평면 또는 원통을 지구 표면과 적도에서 접하도록 하여 지구상의 형상을 이들 면에 투영하는 지도 제작법.
- 정언적 명법 (定言的命法) : 칸트 철학에서, 행위의 결과에 구애됨이 없이 행위 그것 자체가 선(善)이기 때문에 무조건 그 수행이 요구되는 도덕적 명령.
- 자본가적 생산 방법 (資本家的生産方法) : 자본가가 이윤의 극대화를 목표로 생산 활동을 행하는 일.
- 엘디법 (LD法) : 회전로의 위쪽에서부터 고압의 산소를 불어 넣어 무쇠를 강철로 만드는 방법. 제이 차 세계 대전 후에 오스트리아의 린츠와 도나비츠의 두 공장에서 상업용으로 가동한 이래 급속히 보급되었다.
- 혼인법 (婚姻法) : 남녀의 혼인 관계를 통제하는 법.
- 적층 공법 (積層工法) : 공장에서 생산한 기둥, 대들보, 벽 따위를 건설 현장에서 한 층씩 차례로 조립하여 건축하는 방법.
- 십진분류법 (十進分類法) : 미국의 듀이(Dewey, M.)가 시작한 도서 분류법. 0은 총류, 1은 철학, 2는 역사, 3은 사회 과학, 4는 자연 과학, 5는 공업, 6은 산업, 7은 예술, 8은 어학, 9는 문학의 열 개 기초류로 나누고, 그 아래에 열 개의 강(綱)과 목(目)을 두어 모든 것을 아라비아 숫자로 적는다.
- 유동법 (類同法) : 어떤 현상에 속하는 둘 또는 그 이상의 사례들이 단지 하나의 사정만을 같이 가진다면, 그 공통된 사정을 그 대상의 원인 또는 결과라고 규정하는 방법. 이를테면 얼음, 납, 구리 따위가 열이라는 사정을 같이 가진다면, 열과 고체의 액체화의 사이에서 인과 관계가 성립되는 것 따위를 들 수 있다.
- 미추린 농법 (Michurin農法) : 농작물의 싹이나 씨를 고온 또는 저온으로 처리하여 발육에 변화를 주어 수확기를 조절하는 방법.
- 진위법 (眞僞法) : 간단한 지식의 유무나 옳고 그름을 객관적으로 조사하기 위하여, 두 가지 선택할 갈래를 주어 참ㆍ거짓을 판단하게 하는 방법.
- 진공 냉각법 (眞空冷却法) : 과일이나 야채를 실어 내기 전에 냉각하는 방법. 수분을 진공 속에서 과일이나 야채의 표면으로부터 증발시켜서 냉각한다.
- 생산 방법 (生産方法) : 물질적 재화를 생산하는 기술적 방법.
- 사방요신작법 (四方搖身作法) : 불교 춤인 나비춤의 하나.
- 구고법 (勾股法) : 구고전(勾股田)을 측량하는 방법. 직각 삼각형에서 현(弦)의 제곱은 구(勾)와 고(股)의 각각의 제곱을 합한 값과 같다는 원리를 응용한다.
- 평등법 (平等法) : 모든 중생이 어떤 차별도 없이 다 부처가 될 수 있다는 법.
- 사점 방위법 (四點方位法) : 물체의 사점 방위를 측정하여 자기와 물체와의 거리를 아는 법. 항해 중인 배에서 흔히 행하는 간단한 거리 측정법의 하나이다.
- 전염병 예방법 (傳染病豫防法) : 전염병의 발생과 유행을 방지하여 국민 보건을 향상ㆍ증진할 목적으로 제정된 법률.
- 낙농 진흥법 (酪農振興法) : 낙농업의 향상과 발전에 필요한 제도를 확립함으로써 농촌 경제의 향상과 발전을 꾀하기 위하여 마련된 법률.
- 음향 어법 (音響漁法) : 음향을 이용하여 물고기를 잡는 방법. 물고기의 우는 소리를 탐지하거나, 물고기를 위협하여 유인하는 따위의 방법이 있다.
- 세법 (稅法) : 세금의 부과 및 징수에 관한 법. 납세 의무자, 과세 물건에 관한 과세 표준, 세율이나 과세의 방법, 납세 의무 위반자에 대한 처벌 따위를 규정한 법령을 통틀어 이른다.
- 묵법 (墨法) : 동양화에서, 먹으로 그림을 그리는 기법.
- 강화안심법 (降火安心法) : 눈을 약간 뜨고 발끝을 보면서 정신을 안정하는 방법. 고혈압이나 신경 쇠약증에 효과가 있다.
- 고치법 (叩齒法) : 윗니와 아랫니를 마주쳐서 소리가 나게 하여 이를 튼튼하게 하는 방법.
- 즉시 침산법 (卽時浸酸法) : 부화 기간을 줄이기 위하여 갓 낳은 알을 염산에 담그는 법. 특히 누에알을 염산에 담그는 인공 부화법이 일반적으로 쓰인다.
- 설형 문자법 (楔形文字法) : 기원전 3500년부터 기원전 1000년까지 바빌로니아, 아시리아 등지에서 설형 문자를 사용하여 법률 문서를 기재한 법.
- 구귀법 (九歸法) : 산가지나 주산으로 구귀가를 응용하여 셈하는 나눗셈.
- 은유법 (隱喩法) : 사물의 상태나 움직임을 암시적으로 나타내는 수사법. 예로는 “내 마음은 호수요.” 따위가 있다.
- 상표법 (商標法) : 상표와 상표권에 관하여 규정한 법률. 기업 경영에 있어서의 신용 확보와 부정 경쟁 방지를 목적으로 한다.
- 의인법 (擬人法) : 사람이 아닌 것을 사람에 비겨 사람이 행동하는 것처럼 표현하는 수사법. 예를 들면 ‘꽃이 웃는다’, ‘강물은 말없이 흐른다’ 따위가 있다.
- 사환곡법 (社還穀法) : 조선 시대에, 국가에서 춘궁기인 봄에 곡식을 백성에게 꾸어 주어 기근을 면하게 하고 추수기인 가을에 받아들이던 법. 고종 32년(1895)에 환곡법을 고친 것이다.
- 평로법 (平爐法) : 평로를 사용하여 강철을 만드는 방법. 선철과 고철의 비율을 대폭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고 불순물을 제거하기가 비교적 쉬워, 탄소강에서 저합금에 이르는 광범위한 강철의 생산에 적합하다.
- 마시 시험법 (Marsh試驗法) : 영국의 마시(Marsh, J.)가 밝힌 미량의 비소, 특히 아비소산을 검출하는 방법. 모든 비소 화합물이 산성 용액이며, 발생기(發生機)의 수소에 의하여 비소화 수소가 발생하는 것을 이용한다.
- 겹삼단 논법 (겹三段論法) : 두 개 이상의 삼단 논법 사이에서, 하나의 삼단 논법의 결론이 다른 삼단 논법의 전제로 연결되는 삼단 논법. 이를테면 ‘모든 A는 B이다.’ ‘모든 B는 C이다.’ ‘그러므로 모든 A는 C이다.’ ‘그러나 모든 C는 D이다.’ ‘그러므로 A는 D이다.’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 일부법 (一夫法) : 침혈의 위치를 정할 때 거리를 재는 방법. 검지에서 새끼손가락까지 네 손가락을 폈을 때 가로 길이를 3촌(寸)으로 한다.
- 직접 증명법 (直接證明法) : 증명법의 하나. 가정에서 바로 추리하여 결론을 내는 증명 방법으로, 이미 참이라고 인정을 받고 있는 명제에서 출발하여 주어진 명제가 참임을 증명한다. 즉 가정으로부터 출발하여 배리법 따위의 간접적 수단을 쓰지 않고, 유효한 추론 형식을 직접 차례차례로 적용하여 결론으로 이끌어 낸다.
- 혈청 요법 (血淸療法) : 면역 혈청을 환자에게 주사하여 병의 독소를 중화하여 치료하는 방법. 항독소 혈청 요법과 항균 혈청 요법이 있다. 디프테리아, 파상풍, 독사나 전갈에 물린 상처 따위를 치료하는 데에 쓰인다.
- 대등법 (對等法) : 의미적으로 서로 대등한 두 문장을 연결 어미로 연결하여 접속문을 만드는 방법. ‘산은 높고 물은 맑다.’와 ‘물은 깊고 하늘은 높다.’와 같은 예들이 있다. ‘-고’, ‘-(으)며’ 따위가 쓰인다.
- 전자법 (轉字法) : 1 암호 통신에서, 보통 문장의 개별적 구성 요소들을 순서를 바꾸어 알아볼 수 없게 만드는 암호 구성 방법. 2 다른 나라의 말을 철자대로 자기 나라 글자로 맞추어 적는 방법.
- 근궤적법 (根軌跡法) : 근궤적을 이용한 자동 조종 체계의 해석 및 설계 방법.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의 비나 시상수의 변동에 따르는 특성 방정식의 근의 분포 변화를 명백히 알게 해 주며, 조종 체계의 안정 구역을 구분할 수 있고 합리적인 근 분포에 대응하는 정숫값들을 결정할 수 있게 하여 준다.
- 내부 표준법 (內部標準法) : 성질을 알고 있는 물질을 일정량 시료 속에 넣고 그것을 표준으로 하여 알고자 하는 물질을 정량하는 분석 방법.
- 안공법 (按孔法) : 관악기 지공(指孔)에 손가락을 짚는 법.
- 사법 (司法) : 국가의 기본적인 작용의 하나. 어떤 문제에 대하여 법을 적용하여 그 적법성과 위법성, 권리관계 따위를 확정하여 선언하는 일이다.
▹ 품사로 구분한 통계
▹ 글자수로 구분한 통계
💡법으로 끝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3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3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189개입니다.
- 1 글자 3개 : 법
- 2 글자 290개 : 양법, 오법, 시법, 상법, 날법, 온법, 조법, 건법, 사법 3 글자 1,189개 4 글자 562개 5 글자 693개